DOI QR코드

DOI QR Code

Optimal Location Analysis in terms of Efficiency for Solar Energy Facilities

효율성 측면에서 태양광 에너지 시설 최적입지에 관한 연구

  • 양일승 (동신대학교 건축공학과) ;
  • 안형순 (동신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Received : 2018.05.29
  • Accepted : 2018.07.20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in terms of efficiency for solar energy facilities, and to propose a policy implications for the orientation of the installments. 92 cases in Jeollanam-do Province were selecte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average electricity generation tim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facility, weather and site condition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5 variables were deemed significant. Larger site areas, closer proximity to rivers, islands, oceans, etc., least south-oriented, higher average wind speed, and facilities in agricultural land use and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land use had the highest efficiency. This study minimized the possibility of secure databases and errors following facility types, and was limited in the number of sites studied, since this was only conducted in Jeollanam-do Province. Nevertheless, these conclusions still offer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the most optimal location for solar energy facilities.

본 연구는 효율성 측면에서 태양광에너지 시설의 최적입지 조건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향후 태양광 시설입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지역에 입지한 92개 사례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평균 발전시간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설비조건, 기상조건, 대지조건을 설명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의미한 5개의 변수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지면적이 넓을수록 둘째, 하천 섬 바닷가 등에 입지할수록 셋째, 대지의 주 방향이 남향이 아닐수록 넷째, 평균풍속이 높을수록 다섯째, 농림지역이나 자연환경보전지역 등에 태양광시설이 입지할수록 발전효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통계자료 확보가능성과 설비종류에 따른 오류를 최소화하고, 전라남도 지역으로 연구를 한정함에 따라 사례 대상지가 많지 않은 점이 연구의 한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태양광시설의 최적입지를 선정하는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2017.
  2. 임대환, 태양광발전소 사업의 사업성 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 데이코산업연구소, 태양광시장의 실태와 전망, 진한엠엔비, 2008.
  4. 김진영, 수치지도 기반의 도시지역 소규모 태양광발전 최적입지 의사결정,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46-156, 2010.
  6. 김병우, 강인준, 한기봉, "기후요소와 지형 공간요소를 이용한 일사량 모델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4호, pp.79-86, 2010.
  7. 박유민, 김영호, "환경적,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태양광발전소의 기존 입지 타당성 평가 및 지속가능한 입지 제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37-455, 2012.
  8. 원종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효율분석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구현,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 김수완, 제주지역 대용량 태양광발전소의 발전특성 분석,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0. 이근호, 기상자료를 활용한 태양광 예측 연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 양승우,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조직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2. 서혜선, 양경숙, 김나영, 김희영, 김미경, SPSS 회귀분석(제3개정판), 한나라아카데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