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의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

Oral Health Awareness According to Actual Condi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s

  • 투고 : 2018.06.20
  • 심사 : 2018.06.28
  • 발행 : 2018.07.28

초록

본 연구는 대구 경북에 소재하는 대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p<0.05). 연구대상자가 사용하는 칫솔이 2개인 남성은 43명(19.4%), 여성은 50명(22.5%)이었고(p=0.047), 전공계열은 문과인 대상자는 칫솔을 2개사용하는 대상자가 18명(8.1%)로 이과전공대상자 75명(33.8%)으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 중 남성은 72명(32.4%), 여성은 46명(20.7%)로 남자가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가 많았고 (p<0.005), 이과계열 대학생이 휴대하는 대상자는 83명(37.4%), 문과 대학생의 경우 21명(9.5%)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인식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3.031배였고(p<0.001), 전공계열이 이과인 집단이 문과인 집단에 비해 2.57배였다(p<0.001). 칫솔을 살균하는 하지 않는 대상자는 살균하는 대상자에 0.459배로 구강건강 인식도가 낮았다(p<0.05). 우리나라의 대학생의 구강보건청책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만을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강건강인식도가 구강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학적 변수, 구강건강에 관한 변수의 효과까지 반영하는 만큼 다양한 구강건강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management in 222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p<0.05).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43 men (19.4%) and 50 women (22.5%) with two toothbrushes (p<0.05), and the major subjects were 2 tooth brushes The subjects were 18 (8.1%) and 75 subjects (33.8%) were subjects of science major (p<0.001). Among the subjects who did not carry a toothbrush, 72(32.4%) were male and 46 (20.7%) were female. The number of subjects who did not carry the male was higher (p<0.05)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83 (37.4%), and 21. Oral health awareness was 3.031 times higher than that of male (p<0.001), and the major group was 2.5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p<0.001). Subjects who did not sterilize the toothbrush had 0.459 times lower oral health perception (p<0.05). In order to establish and evaluate the oral health polic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only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used as an index.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reflect the variables affecting oral health awareness as much as the oral health awareness reflects not only oral health condition but also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effect of variables on oral health.

키워드

참고문헌

  1. 남상미, "치위생과 실습실 내원환자의 구강위생 보조용품 사용유무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73-381, 2011.
  2. 노은미, 백종욱,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0권, 제4호, pp.233-239, 2010.
  3. 장경애, 성미경, "일부 치과병원 흡연환자의 구강위생용품 이용도," 치위생과학회지, 제8권, 제1호, pp.7-12, 2008.
  4. 구경미, 김연화, 김인숙, 김혜진, 박영남, 구강보건교육학, 고문사, 2008.
  5. 이미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56-168, 1997.
  6. 김수진,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 및 행태조사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 제15권, 제2호, pp.89-100, 2013.
  7. 보건복지부, "제1차(2017-2021)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2017.
  8. 임지나, 정영란, "대학생의 구강보건행태와 교육요구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매체 개발안,"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권, 제2호, pp.323-334,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2.323
  9. 박참빛, 박선영, 정유은, 이정화, 김혜진, 이민경, 윤현서, "일부대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한 조사(보건계열학생과 비 보건계열로 구분)," 한국구강보건학회지, 제3권, 제1호, pp.41-49, 2015.
  10. 박홍련, 문선정, "일부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지 특성과 구강보건 지식 및 구강보건 실천 행태의 연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 권, 제1호, pp.300-3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00
  11. 임미영, 한국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묘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12. 강명신, 구강보건인식, 태도, 행동 및 지식도가 치태관련 질환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3. 김수진, 전라북도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 및 행태조사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이홍수, 윤영만, 이재승, 김수남,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한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5권, 제3호, pp.245-258, 2001.
  15. 정기천, 이홍수, 김수남, "앤더슨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구강진료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7권, 제3호, pp.357-373, 2003.
  16. 이선미, "일부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과 그 영향요인 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제7권, 제1호, pp.41-51, 2007.
  17. 박영남, 이혜진, "남자대학생에서 흡연과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연구," 한국위생과학회지, 제13권, 제12호, pp.79-86, 2007.
  18. 노형록, 오한나,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제12권, 제8호, pp.431-438, 2014.
  19. 보건복지부, "2014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 2014.
  20. 정미애, 김민지, 하정은, "대학생의 구강관리용품 휴대여부에 따른 구강건강행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243-24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43
  21. 오정현, 칫솔관리방법에 따른 세균량 조사 연구,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2. 김선주, "대학생의 칫솔 마모도 평가 및 관련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609-61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609
  23. 정영기, "가정용 칫솔의 세균학적 오염도 조사 및 개선책,"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47-155, 1992.
  24. 지윤정, "Microwave를 이용한 칫솔 살균효과,"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3호, pp.641-646,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3.641
  25. 이미옥, "치면세균막 산생성도 및 칫솔관리행동별 칫솔 세균오염도," 한국치위생학회지, 제4권, 제2호, pp.255-263, 2004.
  26. P. C. Kitchin and H. B. C. Robinson, "How abrasive needdentifrice be," Dent Res, No.27, pp.501-514, 1948.
  27.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특수선치제의 치은염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7-24, 1989.
  28. K. A. Atchison, R. E. Matthias, T. A. Dolan, J. E. Lubben, F. De Jong, S. O. Schweitzer, and S. A. Mayer-Oakes, "Comparison of oral health ratings by dentists anddentate elders," J Public Health Dent, No.53, pp.223-230,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