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a Writing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Universities Based on Media Education Models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이란 (서울신학대학교)
  • Received : 2018.05.25
  • Accepted : 2018.06.30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writing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Universities based on both Hobbs' media education model and Vanhoozer's media text analysis model. This model consists of 6 steps- Christian worldview establishment, access, analysis and evaluation, creation, reflection and social action. This was developed in order to be applied for the class "reading and writing" of liberal arts. Also, this is an appropriate model for media text writing education aiming at an alternative creation activity through a critical comprehension of the complex texts consisting of sounds, images, letters and so on. Furthermore, this is designed to train the capable persons having intelligence, character, and spirituality balanced, whom the education of Chrisitian universities aims at. Finally, this model pursues the student-friendly and amalgamative text writing appropriate for a new era and has an advantage to raise the power of various forms of letter writing which all the universities should stress as well.

본 연구는 Hobbs의 미디어교육 모형과 Vanhoozer의 미디어텍스트 분석모형에 기초하여 기독교대학 글쓰기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개발한 모형은 기독교 세계관 수립, 접근, 분석과 평가, 창작, 성찰, 사회적 실천의 6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독교대학의 교양과목인 "독서와 글쓰기" 과목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 모형은 소리, 이미지, 글자 등의 복합텍스트의 비판적 '수용'을 토대로 대안적 '창작'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미디어텍스트 글쓰기 교육에 적합한 모형으로 기독교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목적인 지성, 덕성, 영성이 조화된 인재형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이 모형은 새 시대에 맞도록 학생 친화적이면서도 융합적인 텍스트 쓰기를 지향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강조되어야 할 다양한 유형의 문자 글쓰기 역량 역시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금, "영화매체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의 학습모형," 독어교육, Vol.43, pp.117-143, 2008.
  2.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이광우,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2012.
  3. 김인경, 영상매체 활용을 통한 설명하는 글쓰기 연구, 사고와 표현, Vol.7, No.1, pp.189-206, 2014,
  4. 임지원, "참여적 글쓰기를 위한 복합양식 리터러시 기반의 매체언어 연구," 사고와 표현, Vol.8, No.2, pp.279-307, 2015.
  5. 이란, 현은자, "디지털 시대의 아동 미디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Vol.35, No.4, pp.17-40, 2014. https://doi.org/10.5723/KJCS.2014.35.4.17
  6. 이순영,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독서연구, Vol.24, pp.87-109, 2010.
  7. 윤여탁, 최미숙 , 김정자, 정현선,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8. J. Meyrowitz, "Multiple Media Literac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1, pp.96-108, 199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8.tb02740.x
  9.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Polity, 2003.
  10. 김양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1.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교양교육연구, Vol.6, No.4, pp.103-137, 2012.
  12.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블로그를 활용한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 제고와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Vol.8, No.4, pp.137-165, 2014.
  13.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Vol.6, No.3, pp.249-279, 2012.
  14. 송선령, "창의적 글쓰기 수업 연구," 이화어문논집, Vol.30, pp.29-54, 2012.
  15. 임지원, "창의적인 글쓰기 전략을 위한 사고 모형으로서 인지적 의미 분석 모델의 제안," 비평문학, Vol.49, pp.293-331, 2013.
  16. 이란, 현은자,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pp.462-47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62
  17. http://www.stu.ac.kr/CmsHome/stu03_01_10.eznic
  18.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2010.
  19. K. Vanhoozer, Everyday Theology, 윤석인 역, 문화신학,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07.
  20. 신국원, 니고데모의 안경, IVP, 2005.
  21. K. Vanhoozer, Is There a Meaning in this Text?, Michigan: Zondervan, 1998.
  22. 이란,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문학 읽기 교육모형 개발과 모형 적용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3. F. E. Gablein, The Pattern of God's Truth: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ning, ACSI.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