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onfucian Politics about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through Big Data Analysis

조선왕조실록의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유교정치 연구

  • 문혜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아이엘피/서울과학기술대학교)
  • Received : 2018.05.24
  • Accepted : 2018.07.17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heories of public policy in Confucian politics during Chos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five implications. First, the area of Confucian policy of Choson consisted in authority, organization, financial policy, affection for the people, and li(ritual propriety). Second, major political context had been maintained from King Se-Jong, through King Sung-Jong and King Yeong-Jo to King Jeong-Jo in the perspective of dynasties' characteristic. Third, there were major ideas on Confucius's idea for li in early period, $Zh{\bar{u}}z{\check{i}}^{\prime}s$ idea for the authority in late period and Mencius's idea for financial policy in major risk situation. Fourth, there were five periods with establishment, foundation, crisis, restoration and collapse in the change of public policy. Fifth, $Zh{\bar{u}}z{\check{i}}^{\prime}$ and $Ch{\acute{e}}ng{\cdot}zi$ had influenced bigger than Confucius as a factors of policy making. This study has been promoted the complement of contex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semantic analysis with implementing dictionary using two language with Korean and Chinese.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정책학의 이론적 근거를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사례에서 찾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유교 관련 기사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에 근거한 사례분석이며,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모집단 전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분야, 왕조별특징, 분야별주제, 정책변화, 결정요인을 확인했다. 조선의 유교정책은 제도, 조직, 재정, 애민, 예(禮) 다섯 분야이다. 왕조별특징으로 세종, 성종, 영조, 정조를 중심으로 정치적인 맥이 계승되었다. 분야별주제는 전기는 공자 중심의 예(禮)를, 후기는 주자 중심의 제도를, 위기 시 맹자 중심의 재정이 주된 내용이다. 정책변화는 초기 건국, 전기 정비, 중기 위기, 후기 재건, 말기 몰락 시기로 구분되었다. 결정요인은 빈번히 거론된 공자보다 주자나 정자가 큰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한글과 한자를 병기한 사전을 구축하여 해석과 맥락분석의 정확성을 높였다. 유교정치를 서양의 정책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동양의 정책학 구현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08.
  2. 정정길,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03.
  3.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민족사상, 제3권, 제2호, pp.125-165, 2009.
  4. 김석근, "[훈요십조] 와 [시무 28 조]: 고려 전기(前期) 정치사상에 관한 소묘(素描)," 아세아연구, 제42권, 제1호, pp.337-369, 1999.
  5. 박재우, "고려의 정치제도와 권력관계," 한국중세사연구, 제31권, pp.195-228, 2011.
  6. 장일규, "최치원의 유교적 정치이념과 사회개혁안," 한국고대사연구, 제38권, pp.243-280, 2005.
  7. 부남철, "준비되지 않은 혁명: 조선 건국기 유교와 정치," 동양문화연구, 제25권, pp.63-92, 2016.
  8. E. M. Cline, "Justice and confucianism," Philosophy Compass, Vol.9, No.3, pp.165-175, 2014. https://doi.org/10.1111/phc3.12108
  9. F. Fukuyama, "Confucianism and democracy," Journal of Democracy, Vol.6, No.2, pp.20-33, 1995. https://doi.org/10.1353/jod.1995.0029
  10. B. He, "Four model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democracy,"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ol.37, No.1, pp.18-33, 2010. https://doi.org/10.1111/j.1540-6253.2009.01561.x
  11. S. P. Huntington, "Democracy's third wave," Journal of democracy, Vol.2, No.2, pp.12-34, 1991. https://doi.org/10.1353/jod.1991.0016
  12. L. H. Ling and C. Y. Shih, "Confucianism with a liberal face," The Review of politics, Vol.60, No.1, pp.55-82, 1998. https://doi.org/10.1017/S003467050004393X
  13. S. H. Tan, "Democracy in confucianism," Philosophy Compass, Vol.7, No.5, pp.293-303, 2012. https://doi.org/10.1111/j.1747-9991.2012.00481.x
  14. 金容郁, "朝鮮朝의 儒敎的政治體系이데올로기 硏究," 한국행정학보, 제18권, 제1호, pp.243-263, 1984.
  15. 朴丙鍊, "韓國의 儒敎的政治倫理," 정신문화연구, 제14권, 제4호, pp.27-41, 1991.
  16. 양정하, "선진유가 정치사상의 사회정책적 함의," 한국사회정책, 제22권, 제4호, pp.43-71, 2015.
  17. 오종록, "유교는 고려와 조선의 통치에 어떤 역할을 하였나?," 내일을 여는 역사, 제16권, pp.285-290, 2004.
  18. 한석태, "한국행정문화의 유교적 전통요소,"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4호, pp.95-111, 2000.
  19. 우홍준, "조선시대 향약정착의 한 원인으로서의 유교정치사상,"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pp.103-114, 2001.
  20. 이진경, "정조의 성리학적 이념과 황로정치적 모색," 도교문화연구, 제46권, pp.265-313, 2017.
  21. 배병삼, "정치가 세종의 한 면모," 정치사상연구, 제11권, 제2호, pp.13-39, 2005.
  22. 박홍규, "유교적 정치가와 성숙한 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보, 제47권, 제4호, pp.29-49, 2013.
  23. 유정환, "한국문화와 정치," 한국정치학회보, 제29권, 제4호, pp.45-68, 1996.
  24. 이주희, "조선초기 인사정책을 통해서 본 군신관계,"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5권, 제2호, pp.223-244, 2006.
  25. 부남철, "유교적 학자군주 정조의 종교정책," 한국정치학회보, 제37권, 제2호, pp.47-65, 2003.
  26. 윤대식, "맹자의 왕정에 나타난 사회보장정책,"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4권, 제2호, pp.215-229, 2005.
  27. 이봉춘, "조선 성종조(成宗朝)의 유교정치와 배불정책(排佛政策)," 불교학보, 제28권, pp.259-290, 1991.
  28. 김훈식, "朝鮮初期의 정치적 변화와 士林派의 등장," 한국학논집, 제45권, pp.25-54, 2011.
  29. 배병삼, "전통한국의 '정치'의 의미변화에 대한 연구," 21 세기정치학회보, 제11권, 제2호, pp.47-71, 2001.
  30. 이영찬, "최근 한국 사회과학계의 유교연구 현황: 1997-2006," 한국학논집, 제37권, pp.319-340, 2008.
  31. 강문식, "[조선왕조실록] 연구의 현황," 조선시대사학보, 제74권, pp.215-245, 2015.
  32. 김학용, 김학봉, "조선왕조실록 네트워크의 동적변화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529-53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529
  33. 정진수, 김학용, "고구려, 백제, 신라 왕조실록 인명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474-48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474
  34. 한용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분석," 민족문화연구, 제74권, pp.357-380, 2017.
  35. Hood, Christopher, The Tools of Government, Mac millan, pp.4-18, 1983.
  36. Alexander L. George and Andrew Bennett, The Method of Structured, Focused Comparison in Case studies and theory development in the social sciences, MIT Press, 2005.
  37. V. Wouter Hendrick Atteveldt, Semantic network analysis, BookSurge Publishers, pp.18-23, 2008.
  38. H. J. Moon and S. K. Kim, "Study on Perceptions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Gambling related News in Korea,"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ol.22, No.4, pp.438-447, 2017. https://doi.org/10.5909/JBE.2017.22.4.438
  39. 성백효, 논어집주,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7.
  40. 윤무학, "중국유학사상: 중국 논리학사에 있어서 공자의 위치," 유교사상연구, 제6권, pp.73-96, 1993.
  41. M. Douglas and Aaron Wildavsky, Risk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