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오산대학교 실용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05.23
  • 심사 : 2018.06.22
  • 발행 : 2018.07.28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50세 이상의 장애노인 506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ke a look 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s the aging population grows. For this purpos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cepts were defined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06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over the age of 50. They were originally extracted from the 4th main survey and 3rd, 4th additional survey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For data analysis purposes,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v2.16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the elderly with disability. Secondly,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has a in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rough soci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enhance the preparation for aging and social support.

키워드

참고문헌

  1.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7.09.03, 2017.
  2. 통계청, 2016 고령자통계, 2016.
  3.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2015.
  4. 김성희, 이송희, 노승현, 정일교,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5. 이준우, "고령화 사회에서의 장애노인 복지전략," 재활복지, 제9권, 제2호, pp.1-28, 2005.
  6. 김고은, 이종림, "장애노인의 이중차별경험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9권, 제12호, pp.257-280, 2013.
  7. 박수경, 문수경, "성공적 노화를 위한 신체 장애노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6권, 제1호, pp.77-89, 2005.
  8. 이미정, 삶의 만족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지기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9. 김승완, 전지혜, "중고령 장애여성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장애정도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90권, pp.131-162, 2016.
  10.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11. 홍영준, 이정훈, "노후준비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생산적 활동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8권, 제4호, pp.91-110, 2014.
  12. 홍금희, 하주영, "중년 전.후기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9권, 제1호, pp.29-39, 2015. https://doi.org/10.5932/JKPHN.2015.29.1.29
  13. 신근영,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노후준비를 매개효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20권, pp.65-91, 2016.
  14. 신수민,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3호, pp.57-83, 2013.
  15. 정일영, "과거 노후준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9권, 제3호, pp.161-191, 2015.
  16.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Random House, 1998.
  17. 정옥분, 임정하, 정순화, 김경은, "노년기 사회적 자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자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제20권, 제1호, pp.79-99, 2013.
  18. 최해경,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과 예측 요인 : 한국적 성공적 노화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1호, pp.193-2176, 2013.
  19.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2권, pp.35-58, 2013.
  20. L. M. Verbrugge and L. S. Yang,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Vol.21, No.4, pp.253-267, 2002.
  21. 최성일, 노승현, 이의정, 중고령 장애인의 노후대비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22. 황주희, 김성희, 노승현, 강민희, 정희경, 이주연, 이민경, 장애노인 대상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3. 박주영, 오혜경, "독거가구 고령여성장애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2권, pp.109-128, 2013.
  24. S. Torres, "Relational values and ideas regarding Successful Aging,"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Vol.33, No.3, pp.417-432, 2002.
  25. 정여진,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정영숙,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34권, 제4호, pp.781-797, 2014.
  26. 이정화,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75-289, 2009.
  27. 강유진,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59-174, 2005.
  28. 정주원, 조소연, "중장년층의 소득계층별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9-33, 2015.
  29. 최은정, 농촌노인의 노후준비 실태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0.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281-302, 2012.
  31. 김재희, 김욱, "노인의 노후준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2권, pp.231-256, 2013.
  32.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2.
  33. 송기영, "노인의 장애유무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재활복지, 제21권, 제1호, pp.71-95, 2017.
  34. 윤은경, "노인의 차별경험과 사회적 활동 어려움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4권, pp.113-134, 2015.
  35. G. G. Ayre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nd positive health practices in middle adolescent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Vol.22, pp.94-102, 2008. https://doi.org/10.1016/j.pedhc.2007.02.010
  36. 김진영, 노인들의 인지된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노인차별 및 무력감과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7. M. Wilson, Physical, pychological, and social envrionmental variable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disability in community residing elders, Johns Hopkins Univ. Doctor dissertation, 2005.
  38. 이승희, 장형숙, 양영희,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 제46권, 제5호, pp.744-752, 2016. https://doi.org/10.4040/jkan.2016.46.5.744
  39. 박순조, 베이비부머세대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도․농간 비교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0. 여미옥,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1.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325-352, 2012.
  42.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3호, pp.97-119, 2010.
  43. 김미령,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2권, pp.257-288, 2013.
  44. 김정희, 박지영,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210-22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210
  45. 임은의, 구본진, 임세현,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567-590, 2014.
  46. K. L. Chou and I. Chi,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4, No.1, pp.1-14, 2002. https://doi.org/10.2190/9K7T-6KXM-C0C6-3D64
  47. 박영란, 박경순,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323-352, 2013.
  48. 김미혜, 신경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35-52, 2005.
  49. 정여진, 안정신,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535-550, 2010.
  50. 정요한, 김동배, "은퇴노인의 경제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제4회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393-418, 2013.
  51. 정여진, 안정신,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185-206, 2012.
  52. 남연희, 설진화, 이기량, 장애인복지론, 공동체, 2013.
  5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4. 이현응,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The Korean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제16권, 제2호, pp.225-249, 2014. https://doi.org/10.18211/kjhrdq.2014.16.3.009
  55. A. F. Hayes,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2013.
  56. A. F. Hayes, "Beyond Baron and Kenny: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in the New Millennium," Communication Monograph, Vol.76, No.4, pp.408-420, 2009. https://doi.org/10.1080/03637750903310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