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s of Re-entry at Labor Market of Career Interrupted Woman by Social Support

사회적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신연하 (건국대학교 벤처기술학과(신산업융합학과)) ;
  • 이동명 (건국대학교 벤처기술학과(신산업융합학과))
  • Received : 2018.05.23
  • Accepted : 2018.06.19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to individual desire of reemployment and satisfaction to reemployed work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We surveyed about 400 career interrupted women living in Seoul who quit their job within 3 years, analyzed collected data with empirical analysis, and applie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 verify the assumed model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 supports influence career interrupted women's individual desire of reemployment, satisfaction to their work, and self-esteem. A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esire of reemployment performs a parametric role between social supports and satisfaction of reemployment. As a consequence, this study showed importance of social supports to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satisfaction to their reemployment, therefore, can be helpful to build public policies to promote social manage of women resources.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재취업욕구가 매개로써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활성화 방안과 여성 인적자원 양성에 따른 정책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자료 제공과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경력단절여성 중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을 하여 3년 미만의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지지에 따라 직업만족과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취업욕구는 사회적지지와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추진해 오면서 간과했던 사회적지지에 대한 파악과 이들이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여성인적자원 개발과 활용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에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희경,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재취업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98, 2010.
  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6.
  3. 박성미,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pp.165-179, 2010.
  4. 이경아, "대만 기혼여성의 취업구조와 경력단절," 여성연구, 제90권, 제1호, pp.257-295, 2016.
  5. 김정희, 변상해,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4호, pp.237-246, 2016.
  6. 여성가족부, 여성인력 관련 주요통계, 2016.
  7. 하애란,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 과제-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여성정책논집, 제10권, pp.471-508, 2010.
  8. 이진숙, 이슬기, "젠더에서 본 보육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 젠더와 문화, 제6권, 제2호, pp.85-123, 년도삽입.
  9.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산업관계연구, 제26권, 제2호, pp.1-27, 년도삽입.
  10. 이성미,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부산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17.
  11. E. N. Gallagher and D. A. Vella-Brodrick,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4, No.7, pp.1551-1561, 2008. https://doi.org/10.1016/j.paid.2008.01.011
  12.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13. 홍경임, 직장인의 행복,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4.
  14. 백인화,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구직결정 요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16.
  15. 김선화,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문집, 제21집, pp.95-131, 2010.
  16. 이정숙, 강기정, "경력단절여성의 희망근로형태(시간제/전일제)에 영향을 미치는 재취업결정요인,"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8권, 제4호, pp.23-51, 2015.
  17. 허성호, 김종대, 정태연, "취업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1권, pp.1103-1118, 2011.
  18.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Vol.1, pp.73-115, 2002.
  19. P. Warr, V. Butcher, I. Robertson, and M. Callinan, "Older people's wellbeing as a function of employment, retirem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role preference,"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95, No.3, pp.297-324, 2004. https://doi.org/10.1348/0007126041528095
  20. 김병주, 서화정, "신규 대졸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제22권, 제4호, pp.243-268, 2014.
  21. 이효진,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22. 이준희, 중.장년층의 가족특성, 노후인식 및 사회 적 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7.
  23. 최효미, 기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4.
  24. 장지현, 김민영, 장원섭, "경력단절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제78권, 제1호, pp.31-76, 2010.
  25.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질문," 페미즘연구, 제16권, 제1호, pp.321-359, 2016.
  26.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진로 탐색경험," 한국평생교육학회, 제14권, 제1호, pp.83-112, 2008.
  27. E. Shafer, "Wives' Relative Wages, Husbands' Paid Work Hours, and Wives' Labor-Force Exi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73, No.1, pp.250-263, 201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0.00802.x
  28. H. Stier and M. Yaish,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 women," European Socialogical Review, Vol.19, pp.1-15, 2008.
  29. 최태을, 도시지역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2017.
  30. 박은선, 중고령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박사논문, 2016.
  31.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출판사, 2016.
  32. H. Stier and M. Yaish,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 women," European Socialogical Review, Vol.19, No1, pp.1-1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