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Koreans based on Text Mining Techniques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인의 행복과 불행 탐색연구

  • Received : 2018.06.20
  • Accepted : 2018.07.10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Korean society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Similar words with keywords(happiness/unhappiness) from online news portal are extracted using Word2Vec and TF-IDF method. We also use the K-LIWC dictionary to perform the sentiment analysis of words associated with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TF-IDF analysis, happiness and unhappiness are highly related to social factors and social issues of the year. In Word2Vec analysis, 'Hope' has been similar with happiness for six years. In K-LIWC analysis, 'money/financial issues', 'school', 'communication' is highly related with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addition, 'physical condition and symptom' is highly related to unhappines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행복과 불행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 뉴스 포털에서 Word2Vec과 TF-IDF 방법을 사용하여 '행복' 및 '불행' 키워드와 유사한 단어를 추출했다. 또한 K-LIWC 사전을 사용하여 행복 및 불행과 연관된 단어들의 감성 속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TF-IDF 분석 결과, 행복과 불행은 사회적 요인과 해당 년도의 사회적 이슈들과 각각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Word2Vec 분석에서는 '희망'이 6년 연속으로 행복과 유사성이 높은 단어로 나타났다. K-LIWC 분석에서 '돈재정적이슈', '학교', '의사소통'은 행복 및 불행과 모두 관련성이 높았다. 그밖에 '몸 상태와 증상'이 불행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 E. Diener,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No.2, pp.276-302, 1999.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3. M. A. Busseri, "Examining the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s among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22, pp.68-71, 2018. https://doi.org/10.1016/j.paid.2017.10.003
  4.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5. C. L. M. Keyes,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61, No.2, pp.121-140, 1998. https://doi.org/10.2307/2787065
  6. C. L. M. Keyes and J. L. Magyar-Moe, "The measurement and utility of adult subjective well-being," In S. J. Lopez & C. R. Snyder (Eds.),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pp.411-425),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7. M. Seligman,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Snyder & S.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2002.
  8. M. Seligman, 긍정심리학 [Authentic Happiness] (김인자 역), 안양: 물푸레 (원서 2002 출판), 2011.
  9. 박선영, "한국 성인이 지각한 행복의 요인,"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017권, 제8호, pp.184-184, 2017.
  10. 박영신, 김의철, 한기혜, 박선영,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9호, pp.149-188, 2012.
  11. 전기숙, "청소년의 행복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0호, pp.411-429, 2016.
  12. 정혜숙, 김영희, "아동이 지각한 행복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7호, pp.89-118, 2014.
  13. 서경현, 이경순,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비교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5호, 제2권, pp.327-343, 2010.
  14. 조공민, 이덕남,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연구, 제22권, 제4호, pp.57-74, 2014.
  15. 구본용, 유제민, "성격 및 환경요인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1-9, 2005.
  16. 명수정, 강승호, "중학생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 및 낙관성의 효과," 교육평가연구, 제24권, 제3호, pp.619-643, 2011.
  17. 조유진, 한지숙, "저소득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제14권, 제4호, pp.541-562, 2010.
  18. 이종한, 박은아, "내-외적 자기개념, 행복조건, 사회비교와 자기존중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제16권, 제4호, pp.423-445, 2010.
  19. 전혜진, 유미숙,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및 미시체계 변인의 경로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6호, pp.75-104, 2015.
  20. 김정실, 박영신, "성격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2016권, 제8호, pp.312-312, 2016.
  21. 인보영, 김인옥, "아동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7권, 제1호, pp.81-95, 2012.
  22. C. L. M. Keyes, "Gender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United States: From subjective well-being to complete mental health," Psychology of stress, pp.1-15, 2005.
  23. J. Helliwell, R. Layard, and J. Sachs, World Happiness Report 2017, New York: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017.
  24. 구재선, 서은국,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2호, pp.143-166, 2011.
  25. S. Lyubomirsky, K. M. Sheldon, and D. Schkade,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9, No.2, pp.111-131, 2005. https://doi.org/10.1037/1089-2680.9.2.111
  26. 이제헌(책임프로듀서), 행복해지는 법 2편 행복의 비밀코드, [TV 다큐멘타리], 서울: KBS TV, 2010.
  27. 구재선, 서은국, "왜 한국 대학생이 미국 대학생보다 불행한가? 상대적 외적 가치, 사회적 지원, 사회비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9권, 제4호, pp.63-83, 2015.
  28. 박정현, 서은국, "사람의 내-외적인 모습에 두는 상대적 비중과 행복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9권, 제4호, pp.19-31, 2005.
  29. 박영신,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2권, 제5호, pp.1-28, 2006.
  30. E. M. Suh, "Downsides of an overly contextsensitive self: Implications from the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Vol.75, pp.1321-1343, 2007.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7.00477.x
  31. E. M. Suh and J. Koo, Comparing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ltures and nations: The "what" and "why" questions., In M. Eid & R. J. Larsen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NY: Guilford Press, pp.414-427, 2008.
  32. 박영신, 김의철,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95-132, 2009.
  33. 한준, 김석호, 하상응, 신인철,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 제48권, 제5호, pp.1-24, 2014.
  34. M. Luhmann, "Using Big Data to study subjective well-being," Current Opinion in Behavioral Sciences, Vol.18, pp.28-33, 2017 https://doi.org/10.1016/j.cobeha.2017.07.006
  35. C. Chung and J. W. Pennebaker,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function words," Social communication, Vol.1, pp.343-359, 2007.
  36. P. Liu, W. Tov, M. Kosinski, D. J. Stillwell, and L. Qiu, "Do Facebook status updates reflect subjective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8, No.7, pp.373-379, 2015. https://doi.org/10.1089/cyber.2015.0022
  37. S. Collins, Y. Sun, M. Kosinski, D. Stillwell, and N. Markuzon, "Are you satisfied with life?: Predicting satisfaction with life from facebook,"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Computing, Behavioral-Cultural Modeling, and Prediction, Springer, Cham, pp.24-33, Mar. 2015.
  38. M. Settanni and D. Marengo, "Sharing feelings online studying emotional well-being via automated text analysis of Facebook posts," Frontiers in psychology, Vol.6, p.1045, 2015.
  39. 김경일, 배진희, 김영진, 김동근, "주관적 삶의 질과 언어 사용의 관계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4875-4880,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11.4875
  40. 우병현, "네이버의 뉴스스탠드 도입으로 보는 언론사의 향후 과제," 언론중재, 제33권, 제2호, pp.60-75, 2013.
  41. 이창환, 심정미, 윤애선, "언어적 특성을 이용한 '심리학적 한국어 글분석 프로그램 (KLIWC)'개발 과정에 대한 고찰," 인지과학, 제16권, 제2호, pp.93-121, 2005.
  42. 김경일, 임종섭, 이창환, "심리학 언어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문학 연구 탐색," 인문논총, 제37호(단일호), pp.131-146, 2015.
  43. G. Salton and C. S. Yang, "On the specification of term values in automatic indexing," Journal of documentation, Vol.29, No.4, pp.351-372, 1973. https://doi.org/10.1108/eb026562
  44. W. Zhang, T. Yoshida, and X. Tang, "A comparative study of TF*IDF, LSI and multi-words for text classification,"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38, No.3, pp.2758-2765, 2011. https://doi.org/10.1016/j.eswa.2010.08.066
  45. T. Mikolov, K. Chen, G. Corrado, and J. Dean,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arXiv preprint arXiv:1301.3781, 2013.
  46. D. Alessia, F. Ferri, P. Grifoni, and T. Guzzo, "Approaches, tools and applications for sentiment analysis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Vol.125, No.3, 2015.
  47. D. E. Rumelhart, G. E. Hinton, and R. J. Williams, "Learning representations by back-propagating errors," nature, Vol.323, No.6088, p.533, 1986. https://doi.org/10.1038/323533a0
  48. 송해엽, 양재훈, "포털 뉴스 서비스와 뉴스 유통변화,"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4호, pp.74-109, 2017.
  49. 김우주, 김동희, 장희원, "Word2vec 을 활용한 문서의 의미 확장 검색방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87-69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687
  50. 이연경, 송의령, 이소현, 김희웅, "텍스트마이닝기법을 이용한 국가간 행복과 불행 토픽 비교 분석: 한국, 미국, 영국, 브라질,"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 pp.738-749, 2017.
  51. M. E.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김인자 역, 긍정심리학, 서울. 물푸레, 2006), 2004.
  52. 노지혜, 이민규,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30, No.1, pp.159-183, 2011.
  53. 이명자, 신현숙, 염시창, "대학생의 자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목표추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Vol.16, No.9, pp.53-79, 2009.
  54. 황진석, 이명자, "자기설정목표동기, 자기설정목표, 목표전념,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Vol.24, No.2, pp.397-421, 2010.
  55. 소연희,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Vol.21, No.4, pp.1007-1028, 2007.
  56. 곽숙영, "OECD 의 사회정책관련 변화와 한국사회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 Vol.18, No.4, pp.299-332, 2011.
  57. 이내찬,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 pp.5-40, 2012.
  58. 차용진,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7권, 제2호, pp.1-26, 2013.
  59.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7-48, 2011.
  60. 이규동, 이재은, "자아 개념 명확성과 자기 개방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대한 애착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제27권, 제11호, pp.1845-1861, 2014.
  61. J. E. Katz, R. E. Rice, and P. Aspden, "The Internet, 1995-2000: Access, civic involvement, and social interactio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5, No.3, pp.405-419, 2001. https://doi.org/10.1177/0002764201045003004
  62. R. Kraut, T. Mukhopadhyay, J. Szczypula, S. Kiesler, and W. Scherli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lternative uses of the Internet in households," In Proceedings of the CHI 98 (pp. 368-383), New York: ACM, 1998.
  63. N. H. Nie and L. Erbring. "Internet and society: a preliminary report," IT&Society, Vol.1, No.1, pp.275-283, 2002.
  64. D. Nettle, Happines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5. 이보라, 박재황, "대학생의 긍정정서, 몰입, 삶의 의미와 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 현실치료연구, 제6권, 제1호, pp.1-16, 2017.
  66. E. Diener, E. M. Suh, C. Kim-Prieto, R. Biswas-Diener, and L. S. Tay, "Unhappiness in South Korea: Why it is high and what might be done about it,"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pp.1-23, 2010.
  67. 박영신, 김의철, 박선영, "성인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 가정,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제20권, 제2호, pp.153-184, 2013.
  68. 유나영, 정여진, 김비아, 정영숙, 신현정, "한국인의 행복 개념 탐색연구," 한국민족문화, 제55권, pp.197-230, 2015.
  69. 구재선, 김의철,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2권, 제2호, pp.77-100, 2006.
  70.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71. 김숙연, 조규판, "중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 심리적 성장환경, 사회적 지지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259-279, 2016.
  72. 김정엽,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복지행정논총, 제20권, 제2호, pp.29-6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