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osing Contribution in the Compensation for Uncontrollable Medical Malpractice during Delivery

분만관련 불가항력적 의료사고 보상제도에 있어 분담금부과에 관한 연구 -헌법재판소 2018. 4. 26. 선고 2015헌가13 사건을 중심으로-

  • 범경철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8.09.14
  • Accepted : 2018.09.28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Act on Remedies for Injuries from Medical Malpractice and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on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provides that the state should compensate the victims of medical accidents occurred irresistibly in childbirth despite that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fulfilled their duty of care for their damage within the range of its budget(Article 46 of the Act on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Given that victims of medical accidents could expect demage recovery only through lawsuits thus far, this act can be said to be a groundbreaking act. However, However, as 30% of the costs for such medical accident compensation projects are borne by those who have records of childbirth among the founders of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s (Article 21 of the Act on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there has been a question about whether doctors are held responsible despite that the accidents such as the deaths of mothers and newborn babies occurred irresistibly without doctors' fault. However, rec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range of founders of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share ratios of finances for compensation' in Article 46 (3) of the Act on Mediation of Medical Disputes' related to the imposition of the share of costs are institutional (Constitutional Court ruling dated April 26, 2018, 2015Heonga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uling in the case'). Although the ruling in the case was made based on only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and the principle of ban on comprehensive authorization, this paper added a practical judgment. This paper proved that the share of costs in this case has the nature of burden charges in pursuit of study and does not infringe on the property rights of the founders of health medical institutions even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ecause there is a legitimate reason for imposing the burden charge. The imposition of the share of costs in the system for compensation for medical accidents occurred irresistibly is against the principle of liability with fault in part. However, the medical accident compensation projects are rational a national policy for the victims of medical accidents and the medical world clearly gains some benefits from the effect to terminate medical disputes. The expansion of finances for compensation through the payments of the share of costs will reduce the suffering and misunderstanding of victims of medical accidents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ildbirth and will be very helpful to the construction of stable treatment environments of medical workers by quickly establishing the medical accident compensation projects as such.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분쟁조정법'이라 한다)에서는 보건의료인이 충분한 주의의무를 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분만 중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 의료사고에 대하여 국가가 예산의 범위 안에서 그 피해자에게 보상하도록 하고 있다(의료분쟁조정법 제46조). 지금까지 의료사고 피해자가 소송을 통해서만 피해회복을 기대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한다면 획기적인 법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료사고보상사업에 드는 비용의 100분의 30은 보건의료기관개설자 중 분만 실적이 있는 자가 부담하고 있는 바(의료분쟁조정법 시행령 제21조), 이 분담금 부과 조항이 분만 과정에서의 산모·신생아 사망 등의 사고가 의사의 과실이 없이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했음에도, 의사들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아닌지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에서 분담금 부과와 관련한 의료분쟁조정법법 제46조 제3항 중 '보건의료기관개설자의 범위' 및 '보상재원의 분담비율' 부분에 대하여 합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헌법재판소 2018. 4. 26. 선고 2015헌가13 결정, 이하 '이 사건 결정'이라 한다). 이 사건 결정에서는 법률유보원칙 및 포괄위임입법금지원칙에 의하여만 판단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실질적인 판단도 가미하였다. 이 사건 분담금운 과잉금지원칙에 비추어 보더라도 보건의료기관개설자들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 점을 논증하였다. 불가항력 의료보상제도의 분담금 부과가 민사책임의 중요 원칙인 과실책임원칙에 거스르는 측면이 존재한다. 그러나 의료사고보상사업은 의료사고 피해자를 위한 국가정책으로 합리성이 있으며, 동시에 의료분쟁의 조기종결 효과로 의료계 역시 이익을 얻는 측면이 분명 존재한다. 분담금의 납부를 통한 보상재원의 확충은 이러한 의료사고보상제도를 빠르게 정착시킴으로서 분만과정에서 발생한 의료사고 피해자의 고통과 오해를 경감시키고 의료인의 안정적 진료환경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순헌,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 저출산 시대의 안전한 분만환경 조성방안", 국회토론회 자료집(저출산 시대의 안전한 분만환경 조성방안), 대한민국 국회, 2013.
  2. 강원희, "의료분쟁과 보험제도에 관한 고찰", 보험학회지 제37집, 한국보험학회, 1991.
  3. 김명엽, "의료분쟁조정법상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고찰", 법률실무연구 제1권 2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3.
  4. 김민규, "의료사고에 대한 무과실보상제안들", 동아법학 제17권,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5. 김민중, "의료분쟁조정법의 기본이념과 현실", 의료법학 제14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3.
  6. 김민중.김주경, "의료분쟁조정법을 둘러싼 쟁점과 함의", 이슈와 논점, 국회입법조사처. 2011.
  7. 김봉철, "공법적 시각에서 본 의료분쟁조정법", 토지공법연구 제57집,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8. 김용빈,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입증책임 완화에 따른 의료과실의 의미와 판단기준",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9. 김종두, "의료분쟁 조정 및 피해구제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 보건복지가족위원회 검토보고서, 대한민국 국회, 2009.
  10. 김천수, "의료분쟁과 ADR", 비교사법 제32호, 비교사법학회, 2006.
  11. 남준희, "독일의 의료분쟁과 대체적 분쟁해결방안(ADR): 독일 의료중재윈과 의료감정위원회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0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9.
  12. 류여해. 박영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제도 연구", 경찰학논총 제7권 1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2.
  13. 민혜영.원서연.선준구.김소윤, "일본 산과 무과실의료보상제도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7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09.
  14. 민혜영.손명세.김기경, "산부인과 의료사고배상의 합리적 배상방안- 유형별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2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04.
  15. 박인화,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을 위한 입법방향", 입법조사연구 제252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연구실, 1998.
  16. 박준수, 의료분쟁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7. 박지용, "의료분쟁조정법의 내용과 향후 과제", 변호사 제42집, 서울지방변호사회, 2012.
  18. 박지용, "의료분쟁조정법상 의료사고 보상사업의 법정책 방향에 대한 소고- 보상요건, 절차 및 재원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30집,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19. 박지용, "산부인과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판례상 책임제한 법리- 하급심 판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제55권 2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20. 박현수.김암.오수영, "의료분쟁조정법상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대한주산학회지 제24권 2호, 대한주산의학회, 2013.
  21. 범경철, "응급의료에 있어서 의사의 미수금 대불청구권", 의료법학 제4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3.
  22. 신은주,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조정제도 및 향후전망",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권 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1.
  23. 신은주,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론의 전개와 발전",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24. 신정호, "일본은 산부인과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였나?: 일본의 뇌성마비 무과실 보상제도의 소개", 국회토론회 자료집(저출산 시대의 안전한 분만환경 조성방안), 대한민국 국회, 2013.
  25. 신현호, "최근 의료민사소송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8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0.
  26. 안법영, "산부인과 진료와 의사의 주의의무- 대법원 판결례의 분석을 중심으로",의료법학 창간호, 대한의료법학회, 2000.
  27. 안법영.백경희,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의료법학 제12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1.
  28. 안법영.백경희, "의료사고 보상사업법상 보상 청구권에 법적 의미에 관한 일별",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9호, 한국의료법학회, 2011.
  29. 연세대학교 의료법학윤리학연구원, "의료분쟁조정제도 실행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9.
  30. 연세대학교 의료법학윤리학연구원,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사업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보건복지부, 2012.
  31. 오수영, "뇌성마비의 최신지견", 대한산부회지 제50권 9호,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32. 오수영.권자영.신정호.김암, "의료분쟁조정법 및 시행령이 산부인과 전문의의 향후 진로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회지 제55권 7호,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33. 오수영.노정래, "분만 관련 불가항력적인 의료사고에 대한 의학적 이해: 양수색전증, 폐색전증, 태변흡인증후군과 뇌성마비에 관하여", 대한의사협회지 제56권 9호, 대한의사협회, 2013.
  34. 윤석찬, "의료분쟁조정법의 주요 쟁점과 평가", 재산법연구 제29권 3호, 한국재산법학회, 2012.
  35. 이동학, "자회통합을 위한 의료분쟁의 조정과 중재", 저스티스 제134권 3호, 한국법학원, 2013.
  36. 이백휴, "의료라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상 감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제11집 4호, 한국법정책학회, 2011.
  37. 이백휴.이얼.최진우, "의료분쟁조정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대한의료정책,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1.
  38. 이상국, 산재보상책임의 이론적 배경 및 보상책임의 발전에 관한 연구, 노동법 논총 제11집,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07.
  39. 이인영, "무과실의료사고의 피해구제에 관한 법정책의 고찰", 의료법학 제4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3.
  40. 이인영, "무과실의료사고의 피해자 구제제도를 위한 실태조사 및 인식도 조사에 관한 연구", 의료정책연구소 보고서, 대한의사협회, 2003.
  41. 이재경, 독일 의료과오책임의 구조와 입증 책임의 전환에 관한 연구, 원광법학 제30집 4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42. 이호용,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보상의 공법적 검토", 의료법학 제11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0.
  43. 전병남, "의료분쟁조정법안(약칭)의 민사법적 고찰", 의료법학 제11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0.
  44. 전광석, "의료분쟁조정법상 의료사고보상사업의 헌법적 쟁점", 의료법학 제13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2.
  45. 전현희, "의료분쟁조정법의 쟁점사항 검토", 대한의사협회지 제489호, 대한의사협회, 2000.
  46. 정용엽, "의료사고피해구제법안상 무과실책임주의의 도입 문제", 의료법학 제7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6.
  47. 정호성, "의료분쟁조정법 입법방안: 의료제도발전특별위원회 의결안을 중심으로", 의료분쟁조정법 제정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국회보건복지위원회, 2003.
  48. 조용균, "양수색전증", 대한산부회지 제42권 11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49. 조정호, "불법행위 책임에 관한 고찰-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3집 2권, 영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3.
  50. 조형원,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51. 조형원, 의료분쟁과 피해자구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52. 표희진,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체계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연구- 한국, 미국, 일본, 뉴질랜드, 스웨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학위논문, 2015,
  53. 최상희, "무과실책임의 현대적 의미", 법학연구 제12권 1호,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1.
  54. 한두희,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고찰", 법조 제675호, 법조협회, 2012.
  55. 국회사무처, 제285회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회의록(법안심의소위원회) 제2호, 2009.
  5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불가항력의료사고 보상사업의 효율적 재원 운영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 2015.
  57.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15년도 의료분쟁 조정․ 중재 통계연보", 2016.
  58.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15년도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재원 분담금 부과.징수 공고(제2015-32호)", 2015.
  59. 보건복지부, "규제영향분석서-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제도 재원 분담 비율 재검토 기한 설정", 2016.
  60. 의협신문,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재원 계속 내라고?", 2016. 4. 30.
  61. 메디파나뉴스, 분만사고 급증.. 병원 40% 불가항력 분담금 미납, 2017. 7. 15.
  62. http://www.aekno.de 독일의료중재원 홈페이지
  63. http://www.acc.co.nz 뉴질랜드 무과실보상제도 관련 홈페이지
  64. http://www.nica.com 미국 무과실보상제도 기관 홈페이지
  65. http://www.sanka-hp.jcqhc.co.jp/outline/index.html 일본의료기능평가기구 홈페이지

Cited by

  1. 불가항력 의료사고 보상사업에 대한 헌법적 쟁점 검토 vol.21, pp.1, 2018, https://doi.org/10.29291/kslm.2020.21.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