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Multipliership on Teacher Cooperation and Colleague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이 보육교사의 교사협동과 동료지원에 미치는 영향

  • Lee, Jee 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Park, Yoon Joe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 Welfare, Yeo Ju University)
  • Received : 2018.04.29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necessary to the correct operation of daycare centers through the relations between mulitpliership of daycare directors, and teachers cooperation and colleague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4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and Gyoungi Province in South Korea. Two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Multipliership scale, teacher cooperation scale and colleague support scale were used. As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0.0 program. Results: First, the sub-factors of multipli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such as working joyfully, settling productive discussion, increasing unity of members, and establishing personal value culture in order were the preceding factors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teachers cooperation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sub-factors of multipli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such as settling productive discussion, establishing personal value culture, working joyfully, and increasing unity of members in order were the preceding factors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colleague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es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and also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enhancing multipliership.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이 보육교사의 교사협동과 동료지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이 교사의 교사협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이 교사의 동료지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보육교사의 교사협동과 동료지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S시와 G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처리방법은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멀티플라이어십의 하위요소인 생산적 토론 정착하기, 개인적 가치 문화조성, 구성원 결속력 높이기, 신나게 일하기는 보육교사의 교사협동과 동료지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동체적 의식을 바탕으로 교사의 강점을 인정하고, 발달시킬 수 있도록 열린 분위기를 조성하고, 구성원들의 결속력이 단단하게 해주는 멀티플라이어십을 갖고, 교사들이 스스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협동적이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하여, 보육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미(2016).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정해, 김판희(2015).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4(1), 81-98.
  3. 김문주, 정예지(2013). 정서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비교. 리더십 연구, 4(2), 27-49.
  4. 김미진(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병준, 김수정(2017). 보육기관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8(2), 557-582.
  6. 김상돈(2008). 학교장의 감성적 지도성과 학교조직 개방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원형(2009). 조직 심리와 행동의 이해. 서울: 시그마프레스.
  8. 김은정, 황해익(2016a).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용, 멀티플라이어십 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36(2), 413-439.
  9. 김은정, 황해익(2016b).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의 멀티플라이어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6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118. 3월 25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교육관 LG컨벤션홀.
  10. 김의석, 김성원(2013). 근무환경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6-41.
  11. 김인선(2016). 유아교사 행복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기(2003). 리더십유형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림, 조혜진(2012).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65-83.
  14. 김종구(2009). 서번트리더십에 대한 부하직원의 인식이 상사에 대한 신뢰를 매개로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진아(2008). 보육시설 종사자가 지각한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진아, 이종희(2008).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한국영유아보육학, 55, 119-149.
  17. 김혜경(2014). 원장의 리더십. 서울: 공동체.
  18. 김희정, 이소은(2013).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소진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7(3), 369-391.
  19. 박병기(2016).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아동교육, 25(3), 59-73.
  20. 박부숙(2017). 통합적 인성교육프로그램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사의 행복 의미 탐색.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선해, 탁정화(2014).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협동적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2), 72-95.
  22. 박유진(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윤조, 한아림(2012).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12(1), 183-183.
  24. 박형신, 김정주(2011).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간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0(3), 121-135.
  25. 송지준(2010).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26. 신남철(2003). 교사들의 행복,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안지혜, 유현정(2009).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9(3), 25-40.
  28. 양미경(2010).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30.
  29. 오교선, 공인숙(2016).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87-202.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187
  30. 오승현, 권연희(2017).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1-17.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1.001
  31. 윤우제, 서인석, 권기헌(2011).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조직문화의 조절효과와 조직신뢰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해. 지방행정연구, 25(3), 155-191.
  32. 이강훈, 조은래(2017).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수몰입,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65-83.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1.065
  33.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2012).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6), 509-523.
  34. 이기숙(2015). 영아발달. 경기: 양서원.
  35. 이새별, 황희숙(2016).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보육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137-156.
  36. 이순미(2014). 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진희, 김희진(1999).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조직 헌신성. 교육과학연구, 29, 197-214.
  38. 이희은(2017). 유아교사의 사기와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심리적 안녕감, 관계지향 조직문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265-288.
  39. 장유자(2009).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형영유아교육연구, 3(1), 103-131.
  40. 장원일(2011). 사회복지조직에서 서번트리더십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리더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정명자(2016).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사 효능감과 행복감간의 관계분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정순영, 김경란(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1-22.
  43. 정일환(2003). 협동적 조직문화형성에 관한 연구-특성과 요인 분석. 한국정책과학회보, 7(1), 301-320.
  44. 최남례(2005). 유아교육기관 종사자의 복지를 위한 서번트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2), 79-93.
  45. 최순영(2017).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영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윤정(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최태훈(2007). 스포츠 데이터 분석. 서울: 광림북하우스.
  48. 최혜윤(2015). 유아교사 조직몰입에 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의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301-322.
  49. 한민경(2009).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 임파워먼트의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193-215.
  50. 한종화(2014).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77-95.
  51.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52. 황해익(2015).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경기: 정민사.
  53.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3).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313-335.
  54.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2014).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1), 341-363.
  55. 황해익, 이강훈(2017).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79-103.
  56. Brief, A. P., & Motowidlo, S. J. (1986).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710-725. https://doi.org/10.5465/amr.1986.4283909
  57. Chiu, S. F., & Chen, H. L. (2005).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onal role of job satisfaction.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33(6), 523-540. https://doi.org/10.2224/sbp.2005.33.6.523
  58. Decker, C. A., Decker, J. R., Freedam, N., & Knopf, H. (2009).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9th ed. Columbus, Ohio: Charles E. Merill Publishing Company.
  59. Dennis, R. S., & Bocarnea, M. (2005). Development of the servant leadership assessment instrume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6, 600-615. https://doi.org/10.1108/01437730510633692
  60. Ehrhart, E. G. (2004). 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Climate as Antecedents of Unit-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sonnel Psychology, 57(1), 61-94.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4.tb02484.x
  61. Jung, D., & Avolio, B. (2000). Opening the black box: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values congruence 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 949-964. https://doi.org/10.1002/1099-1379(200012)21:8<949::AID-JOB64>3.0.CO;2-F
  62. Jaramillo, F. (2005).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lesperson job performance: 25 years of research.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6), 705-714. https://doi.org/10.1016/j.jbusres.2003.10.004
  63. Liden, R. C., Wayne, S. J., Zhao, H., & Henderson, D. (2008). Servant leadership: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and multi-level assessment. Leadership Quarterly, 19, 161-177. https://doi.org/10.1016/j.leaqua.2008.01.006
  64. Levering, R. (2000). A great place to work: What makes some employers so good and most so bad. San Francisco: A Grate Place to Work Institute.
  65. Patterson, K. (2003). Servant leadership: A theoretica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Regent University, VA.
  66. Pearce, C. L., & Manz, C. C. (2005). The new silver bullets of leadership: The importance of self- and shared leadership in knowledge work. Organizational Dynamics, 34(2), 130-140. https://doi.org/10.1016/j.orgdyn.2005.03.003
  67. Podsakoff, P. M., MacKenzie, S. B., Paine, J., & Bachrach, D. G. (2000).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000 Yearly Review, 26, 513-563.
  68. Purvanova, R. K., Bono, J. E., & Dzieweczynski, J. (2006).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19, 1-22.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901_1
  69. Russel, R. F., & Stone, A. G. (2002). A review of servant leadership attributes: Developing a practical model.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3(3), 145-157. https://doi.org/10.1108/01437730210424
  70. Schein, E. H. (2004).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71. Sims, B. J. (1997). Servant leadership for the third millennium. Boston: Cowley Publication.
  72. Smith, C. A., Organ, D. W., & Near, J. P. (198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4), 655-663.
  73. Wheaton, C. E. (1999). Servant leadership and the public school superinten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nzaga University, WA.
  74. Wiseman, L., Allen, L., & Forster, E. (2014). 멀티플라이어 이펙트.(변봉룡 옮김). 서울: 한국 경제신문(원전은 2013에 출판).
  75. Wiseman, L., & Mckeown, G. (2012). 멀티플라이어.(최정인 옮김). 서울: 한국 경제신문(원전은 2010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