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 of Common Space in Multi-unit Dwelling Through Domestic Research - Focused on the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

공동주택 공유공간 연구의 흐름에 관한 연구 -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 이학성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안소미 (백석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8.05.15
  • Accept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the 1960s,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created the social atmosphere of individualism in Korea. Individualism has weakened social ties, led to the breakdown of communities, and caused various social problems. So, the paradigm is shifting to a shared society and there are moves to seek ways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community. As part of the initiativ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ommon space in multi-unit dwelling, the typical Korean housing type, is increas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about common space,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cademic world and explore the future plans of the common space.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mainly used and statistics were additionally used to analyze 172 preceding research. As a result, research on common spaces showed a steady increase to the current time. And research was being diversified in the field of publishing journals,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facilities. Until now,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improvement of plan and the quality of common space by identifying the attitude survey, space planning, and the actual situation. Thus many more studies about proper way to operate and manage common space need to be conduc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mon space will develop more efficiently.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on space and serve as concrete data to show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 대한주택공사 30년사, 대한주택공사, 1992
  2. 주거학연구회,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2005
  3. 한국성인교육학회, 교육평가 용어사전, 학지사, 서울, 1998
  4. Altman, Irwin,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Privacy, Personal Space, Territory, and Crowding, Wadsworth Pub. Co., USA, 1975
  5. Newman, Oscar, Creating Defensible Space, DIANE Publishing, USA, 1997
  6. 김미희, 문희정,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용공간에 대한 연구, 대한주거학회논문집, 8(3), 1997
  7. 김우성, 심재현, 박승, 초고층 주거 복합 건축물의 사례에서 나타난 공용시설의 현황과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1(12), 2005
  8. 류현주, 양세화, 노인주거 연구 경향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5), 2010
  9. 박재현, 이연숙, 안소미, 최근 지원주택 연구의 흐름과 특성,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2), 2017
  10. 박정은, 이효원,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6), 2010
  11. 박지선, 이연숙, 장미선, 주택개조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 경향,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6(1), 2017
  12. 변은영, 김주연, 하은경, 소통하는 주거공간 디자인을 위한 경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7권, 3호, 통권 21호, 2012
  13. 서귀숙, 도시 집합주택 공용공간의 구성형태와 활성화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19(12), 2003
  14. 서수정, 백혜선, 공동주택단지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0(11), 2004
  15. 서희숙, 아파트 주동 공용공간 구성요소의 선호도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3), 2011
  16. 오정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및 향후 과제, 한국지적학회지, 제33권, 제2호, 2017
  17. 우소연,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2), 2013
  18. 이남식, 서귀숙, 1960-2007년 수도권 아파트단지의 공동생활공간 변화 과정,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3), 2008
  19. 정헌목,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 수도권 브랜드 단지에서의 공동체 형성의 조건과 실천, 비교문화연구, 22(1), 2016
  20. 조성희, 강혜경, 아파트 공유공간에 대한 거주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9(3), 1998
  21. 조성희, 강혜경, 아파트 단지내 공동생활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1), 2004
  22. 주서령, 박연심, 장성수, 박경옥, 공동주택 커뮤니티 센터의 공간프로그램 개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3(3), 2002
  23. 최병두, 도시공동체를 위한 아파트 단지 공유공간의 활성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8권, 3호, 2005
  24. 최인영, 생활공간적 측면의 아파트 공용공간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계획계 29(12), 2013
  25. 최혜진,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8
  26. 황미영, 공유문화의 장으로서의 도서관 공간의 설계요소 및 인프라 체계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7(2), 2018
  27. 남원석, 서울시 공동체주택 정책의 현황과 과제, 건축 60(6), 2016
  28. 최병두, 공동체 이론의 전개과정과 도시 공동체운동, 도시연구 6(0), 2000
  29. CERIK, 건설동향브리핑 295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 브리핑 2011-1,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