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tree stem weight prediction equation of Larix kaempferi in central region by selecting a standard site, taking into account of diameter and position of the local trees. Fifty five sample trees were selected in total. By utilizing actual data of the sample trees, 11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estimate four different kinds of weights which include fresh weight, ovendry outside bark weight, ovendry inside bark weight and merchantable weight. As to estimate its weight, the study has classified its model according to three parameters: DBH, DBH and height, and volume. The optimal model was chosen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model using the fit index and standard error of estimate and residual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formula utilizing DBH (Variable 1) is $W=a+bD+cD^2$ (3) and its fit index was 90~92%. The formula for DBH and height (Variable 2) is $W=aD^bH^C$ (8) and its fit index was 97~98%. In summation, Variable 2 model showed higher fitness than Variable 1 model. Moreover, fit index of formula for total volume and merchantable volume (W=aV) showed high rate of 98~99%, as well as resulting 7.7-17.5 with SEE and 8.0-10.0 with CV(%) which lead to predominately high fit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weights for single trees and furthermore, to be used as a basic study for weight of stand unit and biomass estimation equations.
본 연구는 중부지역 일본잎갈나무의 수간중량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역별 개체목의 지위와 직경을 고려하여 표준지를 선정한 뒤, 총 55본의 표본목을 선정하였다. 표본목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수피외생중량, 수피외건중량, 수피내 건중량 및 이용중량 등 네종류의 중량을 추정하기 위해 11개의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량을 추정하기 위해 흉고직경을 변수로 이용하는 경우,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경우, 재적을 이용하는 경우의 3개 변수에 따라 모형을 구분하였다. 최적의 모형은 적합지수와 추정의 표준오차 및 잔차의 분포를 이용하여 모형의 이행능력을 비교하여 선정하였다. 그 결과, 1변수인 흉고직경을 이용하는 식은 $W=a+bD+c^D^2$이며 설명력은 90~92%를 나타냈고,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2변수식은 $W=aD^bH^C$으로 97~98%의 설명력으로 2변수 모형이 1변수 모형 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전체수간에 대한 재적과 이용재적에 대한 식인 W = aV로 중량추정설명력이 98~99%으로 높게 나타났고 SEE도 7.7~17.5, CV(%)도 8.0~10.0으로 우세한 적합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개체목의 중량정보 제공 및 임분단위의 중량 바이오매스추정식의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