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 Peer Emotion Coaching Program on the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Recognizing,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또래정서코칭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 전공순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고은교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4.20
  • Accepted : 2018.06.22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s, to solve the maladjustment problems, and to provide practical data that can be used to prevent their deviant behavior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peer emotional coaching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4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14 students from 28 students who voluntaril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eer emotional coaching program from April 17 to May 29, 2017 in S high school located in G city. The peer emotional coaching program was appli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ver 12 sessions, and the pre and post test of both group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A corresponding sample T test was performed for the collected data that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Windows. As a result, the emotional awar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er emotional coaching program, but the empathy and the emotion regul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peer emotional coaching program was a medium that could affect the emotional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a way to improve the emotional awar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또래정서코칭프로그램이 고등학생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을 향상하여 관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부적응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일탈행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활용 가능한 실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 17일부터 5월 29일까지 G시 소재하는 S고등학교에 재학생 중인 또래정서코칭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28명으로 실험집단 14명과 비교집단 1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12회기에 걸쳐 또래정서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는 동시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또래정서코칭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정서인식 유의미한 효과가 규명되었으나 감정이입, 정서조절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정서코칭프로그램이 고등학생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고등학생의 정서인식 향상을 위하여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E.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Y: Norton, 1968.
  2. 강진령, 연문희, 학교상담: 학생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009.
  3. 김선주, 고등학생의 개별성-관계성과 삶의 의미증진을 위한 실존적 관계맺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 임성혜, 정신건강론, 경기: 신광문화사, 2010.
  5. 김선주, 김영희, "부모와 또래애착, 신체상이 청소년의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 소년보호연구, 제20호, pp.37-58, 2012.
  6. 유경선, 청소년 문제행동 해결방법으로 본 청소년사목의 발전방향: 정서와 감정코칭을 중심으로,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박진영, 부성숙,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995-100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995
  8. 최인주,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문용린,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1997.
  10. 박환영, 노래 중심 음악치료 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장화목, 감정이입기반 듣기 수업 활동의 효율성: 챕터북과 목소리 연극기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2. 오나영, 집단음악치료가 농촌지역아동센터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3. D. Goleman, Emotional intellingence, New York: Bantam Books, 1995.
  14. J. M. Gottman and L. F. Katz,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5, No.3, pp.373-381, 1989. https://doi.org/10.1037/0012-1649.25.3.373
  15. 신주연, 이주여성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구, 한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6. J. D. Mayer and P. Salovey,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No.3, pp.185-211, 1990.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17. C. Saami, "Emotional competence: How emotions and relationship become integrated. In R. A. Thompson (E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Li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0.
  18. 문용린, "인성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제59권, 1999.
  19. J. D. Mayer and P.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and Sluyter, D.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ew York: Basic Books, 1997.
  20. G. Matthews, M. Zeidener, and R. D. Roberts,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Emotional Intelligence: Science and Myth), (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2에 출판), 2010.
  21. D. Goleman, EQ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htan IQ, (10th anniversary reissue edition), (한창호 역), 서울: 웅진지식하우스(원서출판 1998), 2008.
  22. W. Mischell, "Predicting adolescent cognitive and self-regulatory competencies from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2, pp.78-90, 1990.
  23. J. D. Mayer, M. Dipaolo, and P. Salovey, "Perceiving the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4, pp.772-778, 1990. https://doi.org/10.1080/00223891.1990.9674037
  24. J. D. Mayer and G. Ge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Vol.22, pp.89-113, 1996. https://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25. 정옥분, 정순화, 임정화,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학지사, 2007.
  26. 김주연,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7. 김진화, 청소년 문제 행동론, 서울:학지사, 2003.
  28. 김호성, 자아존중감 향상 집단상담이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 아동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9. 최성식, "학교 갈등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감정코칭 집단상담-학교 갈등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전략," 한국카운슬러협회 상담과 지도, 제50호, pp.199-216, 2015.
  30. 최성애, 조벽,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사랑의 기술-청소년 감정코칭, 서울: 해냄, 2014.
  31. 존가트맨, 최성애, 조벽, 존가트맨.최성애박사의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서울: 한국경제신문 한경BP, 2011.
  32. 박연주, 감정코칭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3. 정미숙, 감정코칭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 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4. 이혜선, 어은경, "감정코칭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술 교육논총, 제30권, 제3호, pp.145-170, 2016.
  35. 마성애, 정서 및 문제행동 유아의 관계형성과 소통을 위한 감정코칭의 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6. 손영희, 감정코칭을 활용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7. 백성희, 감정코칭이 만 3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8. 박유정, 유아의 기질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및 감정코칭 매개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서유리안나,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0. 장영애, 김용미, "부모의 성역할 태도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8권, 제2호, pp.3-11, 2010.
  41. 이수진, 존 가트만의 감정코치법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2. 임창현, 긍정정서코칭이 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3. 정경숙, 정봉교, "긍정적 자기표현 코칭 프로그램이 장노년 여성의 자존감, 정서적 안녕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 연구, 제32 권, 제2호, pp.229-245, 2016.
  44. 김지영, "일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감정코칭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8권, 제5호, pp.79-97, 2014.
  45. 손영희, 김판희,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제24호, 제2호, pp.249-264, 2015.
  46. 장혜진,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7. 최영례, 위인동화를 활용한 NLPia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8. 이규연,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자기격려 및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9. 김지혜, 감정코칭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0. 김주영, 학령초기 아동의 마음이론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중재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1. 박지은,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2. 서숙경, 김은경,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 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 연구, 제16권, 제1호, pp.95-109, 2012.
  53. 이혜숙,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4. 신정민, 어머니 대상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갈등대처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3.
  55. 김선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기대, 학업성취와 행복인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6. 최경화, 홍상욱,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코칭학회 코칭연구, 제9권, 제3호, pp.53-76, 2016.
  57. 유인숙, 김민화,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21-44, 2016.
  58. 백승선, 안연경, 곽경화,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24, 2017.
  59. 하정희, "교사 및 상담자의 감정 코칭: 교사(상담자)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학생들을 위한 감정 코칭기법," 상담과 지도, 제47권, pp.371-388, 2012.
  60. 최문정, 황민철, "감정인식기술 기반 교사의 감정코칭이 유아에게 미치는 반응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p.323-330,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7.323
  61. 김라진, 장인희, "상업 계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135-14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135
  62. 김희은, 이호준, "감정코칭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2호, pp.625-632,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625
  63. 나옥희, 비폭력대화와 감정코칭을 통합한 청소년 정서조절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4. 이윤우,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65. 임은정, 김수영,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 및 관련 변인들과 사회적 능력간의 구조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5-31, 2011.
  66. 이정순,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고찰," 칼빈논단, 제2000권, pp.325-346, 2000.
  67. 이보경, 청소년의 정서지능 및 스트레스 대처 유형이 우울 및 비행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8. 강원덕,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9. 이주일, 민경환, "정서지능 : 개념의 소개 및 연구전망,"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제5권, 제1호, pp.67-84, 1996.
  70. 김금순, 아동의 정서지능과 공격.비행 행동 간의 관계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71. 김성애, 부모 간 양육태도의 일치도와 자녀의 인지양식과의 관계,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72. 이숙영, 약물남용 청소년 상담프로그램,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6.
  73. 홍정주, 아동의 감정이입과 공격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74. C. Saarni,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pp..218-248, 1999.
  75. 여은진,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76. 박재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7. R. Pekrun, T. Goetz, W. Titz, and R. P. Perry,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7, No.2, 2002.
  78. 문용린, 문용린 교수의 정서지능 강의: 부모와 아이가 함께 키워야 할 마음의 힘, 서울: 북스넛, 2011.
  79. 신주혜, 한국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0. Klaus F. Riegel, "The Recall of Historical Events, Behavioral science," Vol.18, No.5, pp.354-364, 1973. https://doi.org/10.1002/bs.3830180504
  81. 육명신,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및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조절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82. N. Schutte, R. Manes, and J. Malouff, "Antecedent-focused emotion regulation, response modulation and well-being," Current Psychology, Vol.28, No.1, pp.21-31, 2009. https://doi.org/10.1007/s12144-009-9044-3
  83. 이서정, 현명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제13권, 제4호, pp.887-905, 2008.
  84. 이경희, "중.고등학생의 정서조절 전략과 학교생활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59-169, 2009.
  85. 곽윤정, "청소년을 위한 정서지능 프로그램 효과분석," 청소년학 연구, 제17권, 제4호, pp.263-281, 2010.
  86. 김정은, 아동의 분노 표출을 위한 정서중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7. 강지예, 놀이중심의 정서지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88. A. G. Halberstadt, S. A. Denham, and J. C. Dunsmore, "Affective social competence," Social Development, Vol.10, pp.79-119, 2001. https://doi.org/10.1111/1467-9507.00150
  89. 정현희, 한정혜,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계발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8권, 제1호, pp.63-102, 2001.
  90. 김미애, 자살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감정코칭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계명대학교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