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Anxiety on Adolescent De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사회적 자본과 불안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의식의 조절효과

  • 김현옥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점희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진향 (거제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8.05.15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anxiety on the depression of the adolescent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and anxiety and depression. To do this,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Social and Psychological Anxiety Survey of Korean Society in 2015. The subject is 4,724 adolescent aged 14-18 year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able, we conducted a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nd confirmed the explanatory force change. As a result of that, first, social capital, anxiety and self-awareness all had a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is results show that the better social capital, the lower anxiety, and the higher self-awareness is, the lower depression i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awareness was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of anxiety and depression.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has propo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불안이 청소년의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자본 및 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의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사회의 사회 심리적 불안 실태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은 만 14~18세 청소년 4,724명이다.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설명력의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자본, 불안, 자아의식은 모두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는 청소년들의 사회적 자본이 많을수록, 불안이 낮을수록 그리고 자아의식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가 낮음을 보여준다. 둘째, 자아의식은 사회적 자본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불안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2015.
  2. 최인재, 모상현, 강지현, 김윤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3. 여성가족부, 2012년 청소년 백서, 2012.
  4. H. Y. Park, J. Heo, S. V. Subramanian, I. Kawachi, and J. Oh,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Adolescent Depression in South Korea: A Multilevel Analysis," Vol.7, No.10, pp.1-7, 2012.
  5. S. K. Bhatia and S. C. Bhatia, "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Department of Psychiatry, Vol.75, No.10, pp.73-80, 2007.
  6. 공은화, 김원영, "청소년 우울 영향 변인들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3호, pp.61-75, 2017.
  7. 염소림, 최유석,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55-26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55
  8.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S95-S120, 1998.
  9. P. Br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 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241-258,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986.
  10. 최혜지, 이소영, 정순둘,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우울의 최적모형 탐색과 영향관계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2호, pp.149-175, 2015.
  11. B. Lancee, Immigrant Performance in the Labour Market: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2.
  12. 강희경,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326-33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326
  13. 최규련, "가족환경과 학업 및 친구요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6호, pp.95-111, 2010.
  14. 강정애, 임성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갈등적 친구관계 및 심리적 불안감과 문제행동의 구조관계: 성별 및 학교급별의 다집단 분석," 복지상담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97-221, 2018.
  15. 노안영, 강영신, 성격심리학, 서울:학지사, 2008.
  16. 홍봉선, 남미애, (개정판)학교사회복지론, 공동체, 2011.
  17. 이미리, "고3 청소년의 시험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과 우울증 수준과의 관계-복합적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3 권, 제5호, pp.89-99, 1995.
  18. 노윤채, 김경숙, 박희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성별 차이검증,"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제20권, 제5호, pp.133-140, 2015. https://doi.org/10.9708/JKSCI.2015.20.5.133
  19. 최인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6권, 제3호, pp.611-628, 2007.
  20. 최외선, 오미나, "대학생의 특성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문연구, 제19권, 제1호, pp.261-276, 1997.
  21. 홍세희, 박언하, 홍혜영,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 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부모효과와 또래효과의 검증," 한국 청소년연구, 제17권, 제2호, pp.241-263, 2006.
  22. L. B. Alloy and L. Y. Abramson, "Judgement of Contingenc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Students: Sadder but Wiser?,"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108, No.4, pp.441-485, 1979. https://doi.org/10.1037/0096-3445.108.4.441
  23. 문경숙,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아동학회지, 제29권, 제5호, pp.285-299, 2008.
  24. 배정이, 김은정, "청소년 우울의 인과적 구조분석," 스트레스연구, 제17권, 제3호, pp.295-305, 2009.
  25. 김혜금, 조혜영, "부모의 방임 & middot: 학대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9-36,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19
  26. P. B. Kle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ed..), Guiford Press, 2010.
  27. 최미혜, "부모의 방임․학대 양육방식이 청소년기 자녀의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7권, 제2호, pp.59-92, 2016.
  28. 윤명숙, "알코올중독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음주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113-140, 2011.
  29. J. Cohen, P. Cohen, S. G. West, and L. S. Aik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 /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3rd Ed.), Mahwa, NJ: Erlbaum, 2003.
  30. 김중백, 김두환, "유년기 학업중단 경험과 우울증: 가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pp.405-424, 2012.
  31. 김봉금, "청소년의 가정요인이 친구요인을 매개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층과 중산층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493-50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493
  32. C. Steinfield, N. B. Ellison, and C. Lampe,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A Longitudinal Analysis," J.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9, pp.434-445, 2008. https://doi.org/10.1016/j.appdev.2008.07.002
  33. S. J. Leathers, Behavioral Disturbance Among Foster Children: The Role of Detachment from Caregivers and Community Instit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Doctoral Dissertation, 2000.
  34. 배성만,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 및 진로성숙도가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6호, pp.317-332, 2016.
  35. 전현민, 노명래, "자아개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조망,"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0권, 제1호, pp.114-125, 1991.
  36. 송인섭, "The Construct Validity of higher Order structure of self-concept," 교육학 연구, 제22권, 제1호, pp.55-64, 1984.
  37. 송인섭, "영재아를 중심으로 한 자아개념 증진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제11권, 제2호, pp.25-46, 2012.
  38. 강미영, 김치곤,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제10권, 제2호, pp.235-26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