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Affecting Application of Job Training in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ersonnel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조적 관계

  • 박귀화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
  • 김현주 (인천광역시의료원) ;
  • 임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 Received : 2018.04.11
  • Accepted : 2018.06.08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affecting application of job training in the Integrated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Personnel(IPHPPP); in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program. The subjects were 115 IPHPPP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program of Incheon C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Support Team.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a ANOVA, correlational analysis,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job training was high in the 4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variable by job application. Application of job trai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program. Further, Application of job training was directly by in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and indirectly by satisfaction of program. Satisfaction of program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achievement and application of job training. This showed that satisfaction of program play an important role in application of job training. Increasing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is necessary as a way to increase application of job training. This findings may help to design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application of job training for IPHPPP.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성취동기, 교육성취도, 교육만족도, 현업적용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 직무교육에 참여한 115명을 대상으로 참여동기, 성취동기, 교육성취도, 교육만족도, 현업적용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업적용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 간의 가설적 경로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40대에서 현업적용도가 유미하게 높았으며, 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내재적 동기와 개인지향 성취동기는 현업적용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는 교육성취도와 현업적용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현업적용도 향상을 위해 참여자의 동기와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건강증진 담당자의 현업적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8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서, 2018.
  2. 이주열,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발전 방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제30권, 제4호, pp.1-7, 2013.
  3.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Core competencies for public health in Canada: Release 1.0, 2008.
  4. Australian Health Promotion Association, Core competencies for health promotion Practitioners, 2009.
  5. 오영아, "지역사회 건강증진인력 직급별 핵심역량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보건연구, 제41권, 제1호, pp.95-106, 2015.
  6. 김정원, 김동철, "공무원교육의 현업적용도 영향요인과 정책적 제고방안," 대한경영정보학회, 제32권, 제3호, pp.43-59, 2013.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79092&cid=51072&categoryId=51072, 2018.3.26.
  8. 박병식, 전오진, "청소년지도자 교육훈련의 현업적용도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4권, 제1호, pp.155-183, 2015.
  9. 박윤영, 건강증진사업수행을 위한 보건소의 조직 및 인력운용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3.
  10. 김혜련, 국민건강증진사업 수행을 위한 영양사인력 수요 파악 및 향후 수급 전망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2007.
  11. 이수진, 보건기관의 효과적 업무 수행을 위한 인력활용 및 확충방안 개발, 보건복지부, 2007.
  12. 권명순, 양순옥, 엄선옥, "강원도 통합건강증진사업 방문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자신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9권, 제2호, pp.190-202, 2015.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190
  13. 유효현, 임준, 박귀화, "건강증진사업인력의 개인적 특성,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양식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제39권, 제1호, pp.97-114, 2015.
  14. 오영아,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93-105, 2015.
  15. 박수경, 한양금, 김영경, 임현주, 권양옥, 김한미, 오막엽, 김남희,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에 따른 보건치과위생사의 직무역량 교육요구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제39권, 제2호, pp.127-133, 2015.
  16. 김은주, 고승덕, "국민건강증진사업 인력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제17권, 제2호, pp.207-218, 2000.
  17. A. P. Margaret, L. P. Christine, I. F. Carl, and M. D. Virginia, "Needs assessment and a model agenda for training the public health workforc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90, No.8, pp.1294-1296, 2000. https://doi.org/10.2105/AJPH.90.8.1294
  18. 오영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인력 중장기 교육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2014.
  19. 박미주, 교수체제 모형(ADDIE)을 적용한 통합건강증진사업 직무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0. 배을규, 장민영, 김대영,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기업, 학교, 병원을 대상으로," 성인교육학회, 제12권, 제2호, pp.29-60, 2009.
  21. R. A. Neo and N. Schmitt,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est of a model," Personnel Psychology, Vol.39, No.3, pp.497-523, 1986.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6.tb00950.x
  22. 김나영, 강정은,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58-96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23. 최우재, 신제구, "학습 상황요인, 학습 참여동기 및 이러닝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HRD연구, 제13권, 제2호, 2011.
  24. 정선정, "재직근로자의 훈련 참여동기와 훈련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현업적용 예상도의 관계," 기업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401-430, 2016.
  25. 유경훈,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외재적 동기와의 관계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제15권, 제3호, p.73, 2006.
  26. T. T. Baldwin and J. K. Ford,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Vol.41, No.1, pp.63-105, 1988.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32.x
  27. 하영자, "e-Learning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성취동기 요인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2권, 제2호, pp.275-296, 2006.
  28. 주영주, 김소나, 박수영, 김은경, "기업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의 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전이간의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1호, pp.23-43, 2009.
  29. 김국희, 기업 집체교육훈련의 유효성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0. 이재형, 기업 교육훈련 특성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 농협중앙회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1. 하영자, 공무원의 동기변인과 자기조절학습수행력을 이용한 온라인 직무교육의 만족도, 성취도 및 직무몰입 수준의 예측,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2. 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만족도 평가 설문지, 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7.
  33. 노동원, 송영수, "기업 코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HRD연구, 제12권, 제1호, pp.161-185, 2010.
  34. 현영섭, "훈련전이연구의 새로운 도전: 훈련전이의 하위범주와 전이거리모형," 인력개발연구, 제6권, 제2호, pp.69-94, 2004.
  35. 최희숙,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관련변인, 개인 및 조직성과와의 영향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6. G. W. Dalton and P. H. Thompson, "Accelerating obsolescence of older engineers," Harvard Business Review, Vol.49, No.5, pp.57-67, 1971.
  37. 나승일, 김기용, "서울대학교 직업교육 CEO과정 참여자의 학습 전이 수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9권, 제4호, pp.111-141, 2007.
  38. 박혜진, 유병민, "농대생의 농업교육훈련 만족도, 학습전이,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제23권, 제3호, pp.233-242, 2016.
  39. 한안나, 기업교육에서 학습의 직무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40. 박영용, 김진모, "기업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제38권, 제4호, pp.215-239, 2006.
  41. 최창환, 정철영, "연구소 기술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제40권, 제3호, pp.247-27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