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oting Behavior for the 19th President Elections and Audience Analysis for Political Campaigns & Political Advertising: Focused on In-depth Interview

제 19대 대통령 선거의 유권자 투표행태와 정치캠페인 및 정치광고에 대한 수용자 분석: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차영란 (수원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8.04.05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by analyzing voters' behaviors and attitudes of political campaigns & political advertising audience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ith 59 voters who voted in the last election were conducted, and interviewees were allocated by their gender and age. As a result, the motivation to ballot for a candidate was based on the candidates' political affiliations to a party, political inclinations, and election pledges. Voters also determined whom they would vote for after watching the final TV debate. The biggest issue of this election was to create jobs in the public sector, an economical issue. TV was the most trusted medium among the voters, and TV debat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in changing the minds of the voters. Voters thought that Shim, Sang Jung was the best on TV debates and that An, Chul Soo was the worst. Also, voters recalled An, Chul Soo the most among all election posters, but they recalled Moon, Jae In the most out of other political advertisement methods. Therefore, the results elucidated the voters' behaviors and the audience's attitudes in political advertising, and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utilized in future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and political advertising endeavors.

본 연구는 제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드러난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를 분석하고 정치 캠페인 및 정치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태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번 선거에서 투표를 한 유권자들을 성별, 연령별로 할당하여 총 5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후보자 투표 결정 동기는 소속 정당 및 정치적 성향과 대선공약이었으며,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TV토론과 팩트 체크 및 언론보도로 나타났다. 아울러 후보를 결정한 시기는 마지막 TV토론을 본 후에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선에서 가장 큰 쟁점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로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권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매체는 TV이며, 중간에 후보를 바꾸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TV토론으로 나타났다. TV토론을 가장 잘 한 후보로는 심상정 후보가, 가장 못한 후보로는 안철수 후보가 꼽혔다. 또한 정치 캠페인에 대한 회상 중 선거벽보에서만 안철수 후보의 회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정치 광고에서는 문재인 후보의 회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정치캠페인 및 정치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심도 있게 파악한 것으로 앞으로의 대통령 정치 캠페인 및 정치 광고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중앙선거 관리 위원회, 2017.
  2. 김종갑, 허석재,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유권자 투표행태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제1368호, 2017.
  3. 이수범, "제 17대 대통령 선거의 정치광고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 8호, pp.87-113, 2008.
  4. M. S. Lewis-Beck and T. Rice, Forecasting Elections Washington, DC. Congressional Quarterly.
  5. 조현걸, 박창규, "6.4 지방선거에서 선거공약이 유권 자의 투표행태에 미친 영향분석," 대한정치학회보, 제8권, 제2호, pp.209-245, 2000.
  6. 송건섭,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후보자 선택모델,"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5권, 제4호, pp.111-135, 2015.
  7. 안병만, 김인철, 서진완, "6.27 지방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자치정향과 투표행태," 한국정치학회보, 제29권, 제4호, pp.373-392, 1995.
  8. 차영란, "6.2 지방선거를 통해 본 유권자들의 정보채널 이용 행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145-156, 2011.
  9. 김하나, 오창우, "정치 커뮤니케이션에서 TV 토론의 효과에 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42호, pp.117-149, 2016.
  10. M. S. McKinney and I. A. Rill, "Not Your Parents' Presidential Debates : Examine the Effect of the CNN/YouTube Debates on Young Citizens' Civic Engagement," Communication Studies, Vol.60, No.4, pp.392-406, 2009. https://doi.org/10.1080/10510970903110001
  11. W. L. Benoit, M. S. McKinney, and R. L. Holbert, "Beyond Learning and Persona : Extending the Scope of Presidential Debate Effects," Communication, Monographs, No.66, pp.341-357, 2001.
  12. M. S. McKinne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ocus Group Study, In D. B. Carlin & M. S. McKinney (Eds,), The 1992 Presidential debates in Focus, New York : Prager, 1993.
  13. 문성철, 양문희, "대통령 선거 토론 프로그램 시청이 정치효능감과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1호, pp.131-168, 2009.
  14. 안치수, "정치후보자의 이미지 구성과 측정도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의 후보자 이미지 속성과 지지도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21-354, 2011.
  15. 김하나, "여성 후보자의 정치광고 사용 및 효과에 대한 정치광고 전략가와 언론인의 인식 연구," 광고학 연구, 제24권, 제2호, pp.7-29, 2013.
  16. 김재영, 강태중, "정치광고에 대한 유권자의 인지욕구 수준과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에 따른 투표 행동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30호, pp.251-288, 2013.
  17. 문재학, "정치광고의 메시지 유형이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380-38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380
  18. J. R. Petrocik, "Issue Ownership in presidential election, with a 1980 case study,"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40, No.3, pp.825-850, 1996. https://doi.org/10.2307/2111797
  19. L. L. Kaid and A. Johnston, "Negative versus Positive television advertising in U. S. presidential campaigns, 1960-1988," Journal of Communication, No.41, pp.53-64, 1991.
  20. M. Roberts and M. McCombs, "Agenda setting and political Advertising : Origins of the news agenda," Political Communication, No.11, pp.249-262, 1994.
  21. 민영, "정치광고의 이슈현저성과 후보자 선호도에 대한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5호, pp.108-131, 2006.
  22. 박관일, 하승태, "정치광고의 의제설정효과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39호, pp.5-42, 2015.
  23. Frank W. Baker 지음, 이희복, 차영란 옮김, 정치캠페인과 정치광고, 한경사, 2010.
  24. 이호영, 문영주, "제 16대 대선의 미디어 선거 홍보전략 비교연구: 노무현, 이회창 후보의 미디어 전략 비교분석,"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통권2호, pp.167-193, 2005.
  25. 박선희, 주정민,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인터넷 대안언론의 영향력 : 오마이뉴스 이용자 집단의 온라인 정치활동과 투표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14-242, 2004.
  26. 송경재, 임정빈, 장우영, "SNS는 정치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정치정보 신뢰, 지지의 전환 및 참여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154-16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154
  27. 김유향, "제19대 대선 후보자의 소셜미디어 이용동향과 특징," 이슈와 논점, 제1406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