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에 대한 주요 정책 이슈 고찰

A Study on the Policy Issues of Basic Research Promotion in Korean Academics

  • 박귀순 (한국연구재단 정책연구혁신센터) ;
  • 김해도 (한국연구재단 정책연구혁신센터) ;
  • 장경수 (한국연구재단 정책연구혁신센터)
  • 투고 : 2018.05.22
  • 심사 : 2018.07.11
  • 발행 : 2018.09.30

초록

우리나라의 기초연구는 1977년 한국과학재단설립(현(現) 한국연구재단), 1989년 기초과학 연구진흥 원년 선포와 기초과학연구진흥법 제정을 거치며 정부 연구비 투자 확대와 이공계 인력양성 등에 힘입어 양적 질적으로 눈에 띄게 성장하였다. 하지만 지속적인 정부 기초연구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학 연구자의 낮은 체감도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동 연구에서는 기초연구 투자 현황과 수준을 대학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주요 정책 이슈 고찰을 통해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의 다음단계 도약을 위해 시급히 검토해야 할 핵심이슈는 (1) 대학에 대한 기초연구 투자 규모, (2) 교수 1인당 적정 지원 규모, (3) 기초연구비 지원 방식, (4) 연구과제선정률의 적정선 유지, (5) 우수 연구자의 체계적 지원, (6) 연구몰입환경 조성이다. 이러한 진단을 기반으로 대학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의 지속적 혁신을 위한 다섯 가지 발전과제를 제안하였다. 발전과제는 (1) 대학연구비 증액, (2) 기초연구 펀딩방식 다양화, (3) 연구분야별 연구지원체계 구축 및 예측 가능한 원칙 수립, (4) 우수연구자에 대한 안정적이고 충분한 지원, (5) 연구행정 부담 완화이다.

Korea's basic research has been rapidly expended in both quantative and qualitative aspect since establishment of 'the Korea Science & Engineering Foundation' in 1977, proclaiming of 'the First Year of Basic Research Promotion' and enactment of 'the Basic Sciences Promotion Act' in 1989. Despite the continuous increment of government basic research funding, the problem of low perceptions of university researchers on the funding increment has been constantly raised. Based on an intrinsic review on the core issues are diagnosed based on Korean academics' basic research status analysis and future challenges are proposed based on the precedent diagnoses. The six key issues that need to take the next step in Korean academics' basic research are as follows: (1) basic research investment in universities, (2) appropriate research expenses for supporting individual researcher, (3) basic research funding allocation method, (4) maintaining the sustainable success rate of research projects, (5)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for excellent researchers, (6) creating research-immersive environment. The five challenges to promote basic research in academics are as follows: (1) increasing in university research expenses, (2) diversification of basic research funding allocation method, (3) establishment of research field-specified support system and predictable principles, (4) stable and sufficient support for outstanding researchers, (5) reducing burden on research adminis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1),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과학기술 50년사, 과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2019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과 기준(안), 과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2017), 기초원천분야 과제 기획/선정/평가/보상 프로세스 혁신-연구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대전 : 한국연구재단.
  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기여도 국제비교, 과천 : 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08-2012), 과천 :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12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과천 : 교육과학기술부.
  8. 교육과학기술부 (2013), 2013년도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과천 : 교육과학기술부.
  9. 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 (2016), 2017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세종 : 교육부,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10.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8),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 서울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11. 국가과학기술심의회.기초연구진흥협의회 (2017), 2017년도 정부 기초연구비 비중, 과천 :국가과학기술심의회.
  12. 국가재정전략회의 (2017), "국가 재정 전략 2차 회의 중간 브리핑", (2017.7.21.).
  13.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서울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14. 권용민 (2016), "기초과학 키워야 노벨상 보인다, AI 뜨니 너도나노... 돈되는 곳만 몰리고 기초 과학은 뒷전", 서울경제, (2016.10.05.).
  15. 기획재정부 (2017), 내 삶을 바꾸는 2018년도 예산안-일자리소득주도 및 혁신 성장 지원,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17.8.29.).
  16. 김미정.이흥권.최태진 (2011), "기초연구의 예산배분체계 및 관리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小考", 기술혁신학회지, 14(2): 177-204.
  17. 김성태.정규철.황세진.이우열.정대희.구희일.오지윤.이유진.조덕상.신동한.권규호.한일수.황순주.권수연.김지운.정유경.천소라.원선재.이재준.김신영.이상규.류지영.노경아. 김현애 (2017), KDI 경제전망, 세종 : 한국개발연구원.
  18. 김이경.김소라.윤이경 (2016), 대학 연구자의 행정부담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 KISTEP ISSUE PAPER 이슈페이퍼 2016-14, 서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9. 김준헌 (2007), 네이처.사이언스.셀 한국인 과학자의 논문 현황 분석, 대전 : 한국과학재단.
  20. 김해도 (2006), 기업화 실패사례와 원천기술 개발의 애로점, 대전 : 한국과학재단.
  21. 김해도 (2015), 미국대학 연구개발 성과물의 지식재산 관리정책 고찰, NRF ISSUE REPORT 2015-02, 대전 : 한국연구재단.
  22. 김해도 (2017), 주요 경쟁국 대비 한국의 R&D 투자와 혁신 지표 비교, NRF R&D Brief 2017-07, 대전 : 한국연구재단.
  23. 노유진.김윤배.이광희.장경수 (2016), 2016년도 전국대학 대학연구활동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대전 : 한국연구재단.
  24. 류영수.이일환.김수연.김미 (2017), "연구개발정책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탐색 : 기초연구개발 정책에의 적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3): 1-26.
  25.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2017),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확대에 관한 청원 심사보고서, 서울 :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26.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4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과천 : 미래창조과학부.
  27. 미래창조과학부 (2016가), 2016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과천 : 미래창조과학부.
  28. 미래창조과학부 (2016나), 과학기술논문(SCI) 분석 연구, 과천 : 미래창조과학부.
  29.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2015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천 : 미래창조과학부.
  30. 박귀순 (2018가), 기초.원천연구 성과활용 패스트 트랙 구축 아이디어, NRF CEO Brief 2018-06, 대전 : 한국연구재단.
  31. 박귀순 (2018나), 노벨상 수상자 예측 DB-Citation Laureates, NRF R&D Brief 2018-19, 대전 : 한국연구재단.
  32. 박귀순 (2018다), NIH(미국립보건원) R01 프로그램 운영체계 분석, NRF R&D Brief 2018-04, 대전 : 한국연구재단.
  33. 박귀순.김해도.장경수 (2017), "한국의 기초연구 40년, 합리적 진단과 발전과제",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81-1603.
  34. 박귀순.석혜은.박진서.김해도 (2017), "과학기술 통계정보에 기반한 한국의 기초연구 효과성에 관한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331-341.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331
  35. 박동휘 (2017), "지방 공대는 이미 초토화... 석박사 한 명 없는 학과 수두룩", 한국경제, (2017.07.20.), A10면.
  36. 박문수.박귀순.김해도 (2017), 산학협력단의 연구관리 혁신에 관한 연구-연구자 설문 중심으로-, NRF ISSUE REPORT 2017-08, 대전 : 한국연구재단.
  37. 박문수.박귀순.김해도.이흥우.김광제.장민석.가남희.김태흥.정진우.김민영 (2018), 산학협력단의 연구관리 갈등요인 해결에 관한 연구-산학협력단 연구관리자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NRF ISSUE REPORT 2018-01, 대전 : 한국연구재단.
  38. 서옥이.박귀순.신숙경.이성종.이원근.이윤희 (2013), "한국형 그랜트 지원방식 도입에 따른 선정평가 효율화를 위한 정량적 가이드라인 수립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6(2):424-443.
  39. 송충한.조현대 (2010), "창의적 기초연구성과를 위한 연구관리제도 개선방안", 기술혁신학회지, 13(4): 656-679.
  40. 신정범 (2017), 현장중심 R&D 체계 구축을 위한 미국의 FDP 활동, NRF R&D Brief 2017-25, 대전 : 한국연구재단.
  41. 신정범 (2018가), 공공연구의 파급효과에 대한 다양한 견해, NRF R&D Brief-2018-06, 대전: 한국연구재단.
  42. 신정범 (2018나), EU의 신진연구자 Stating Grants, NRF R&D Brief-2018-10, 대전 : 한국연구재단.
  43. 신태영 (2004), 기초연구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4. 안화용 (2014), "노벨상과 기초과학-연구자 중심의 선진화된 연구지원체계 구축해야...", 과학과 기술, 10: 14-18.
  45. 연구제도혁신기획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현장 연구자와 정부가 함께하는 국가 R&D제도 혁신-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과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6. 유승준 (2014), "노벨상과 기초과학-노벨상의 시작은 연구와 평가의 다양성에 있다", 과학과기술, 10: 19-23.
  47. 윤현석 (2009), 연구중심의 기초연구현황진단과 중장기 과제 도출 기획, 대전 : 한국연구재단.
  48. 이계준 (2001),기초연구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대전 : 한국과학재단.
  49. 이민형 (2009), 창의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 및 지원방안,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0. 이민형 (2016), "노벨상이 멀리 있는 이유", 아시아경제, (2016.11.09.).
  51. 이민형.성경모.이혜진 (2013), 창의적 성과 창출을 위한 기초연구 지원관리제도 개선방안,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2. 이상정.임근영 (1998), 지식재산권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통합 관리 방안을 중심으로-, 서울 : 한국발명진흥회.
  53. 이우성.박미영.김보현 (2014),기초.원천연구 투자의 성과 및 경제적 효과분석,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4. 이태종 (2009), 기초연구지원사업 중장기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대전 : 한국연구재단.
  55. 이한진.박귀순 (2017), 일본의 기초연구 정책평가-연구비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NRF ISSUE PAPER 2017-02, 대전 : 한국연구재단.
  56. 임명환 (2016), "연구개발 성과지표 개선해야", 디지털타임스, (2016.12.20.), 22면.
  57. 장경수.박귀순.김해도.조석민.황은희.조영돈.박숙미 (2017), 기초연구의 진단과 미래 과제, NRF ISSUE REPORT-2017-03, 대전 : 한국연구재단.
  58. 전국대학연구산학협력관리자협의회 (2017), http://www.kucra.or.kr/, (2017.09.01.).
  59. 전세림.정은희.조석민.이광희.장경수 (2016), 2005-2015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대전 : 한국연구재단.
  60. 전승준 (2011), "연구중심대학의 발전 과정과 육성 방향", 과학기술정책, 21(2): 27-41.
  61. 정세환.설성수 (2010), "한국의 기초과학연구 발전의 시대구분과 발전요인 도출", 기술혁신학회지, 13(3): 587-616.
  62. 조석민.김윤배.양정모.장경수 (2017), R&D 통계 핸드북, 대전 : 한국연구재단.
  63. 천기우 (2017), 美 NIH의 연구자별 연구비 상한선제도 도입 추진, NRF R&D Brief 2017-16, 대전 : 한국연구재단.
  64. 한국연구재단 (2017가), 한국연구재단 40년사, 대전 : 한국연구재단.
  65. 한국연구재단 (2017나), "연구지원 통계 포털", https://stats.nrf.re.kr/, (2017.06.01.).
  66. 한국연구재단 (2018), R&D 아는 만큼 보인다, 대전 : 한국연구재단.
  67. 황정환 (2017), "서울대 공대 대학원 첫 미달", 한국경제, (2017.07.20.), A1면.
  68. 황혜란 (2004), "신흥공업국의 기초연구능력 축적과정의 특성에 대한 탐색연구-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7(1): 42-63.
  69. Ahmadpoor, M. and Jones, B. F. (2017), "The Dual Frontier: Patented Inventions and Prior Scientific Advance", Science, 357(6351): 583-587. https://doi.org/10.1126/science.aam9527
  70. ARWU (2016), ARWU 세계대학평가 사이트, http://www.shanghairanking.com, (1 July 2017).
  71. Catanzaro, M. (2016), Self-organised Scientific Crowds to Remedy Research Bureaucracy, http://www.euroscientist.com/self-organised-scientific-crowds-remedy-research-bureaucracy/, (9 November 2016).
  72. Clarivate Analytics (2017), http://webofknowledge.com/, (accessed July 01, 2017).
  73. Dolgin, E. (2017), "NIH Grants Yield Windfall", Nature, 544: 14-15. https://doi.org/10.1038/nature.2017.21752
  74. JSPS(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2017), 科学研究費助成事業(2017): 新たな 知の創造, 世界をリードする知旳資産の形成と継承のために, Tokyo: JSPS.
  75. Kaiser, J. (2017), "Critics Challenge NIH Finding That Bigger Labs Aren′t Necessarily Better", Science News, (2017.06.07.).
  7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0), Managing University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Public Interest,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7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Research Universities and the Future of America: Ten Breakthrough Actions Vital to Our Nation's Prosperity and Security, Washington, DC:The National Academies Press.
  78. NISTEP(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Policy) (2016), 日本の科学研究力の現状と課題, Tokyo: NISTEP.
  79. OECD (2017),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MSTI), (2017/2).
  80. QS (2017), QS 세계대학평가 사이트, https://www.topuniversities.com, (1 July 2017).
  81. Salter, A. J. and Martin, B. R. (2001), "The Economic Benefits of Publicly Funded Basic Research: a Critical Review", Research Policy, 30(2001): 509-532. https://doi.org/10.1016/S0048-7333(00)00091-3
  82. THE (2017), THE 세계대학평가 사이트, 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 (1 July 2017).
  83. 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16), WIPO IP Facts and Figures 2016, WIPO: Switzerland.
  84. YTN Science (2017), "인공지능 날개 달고 신약 개발 '훨훨'", (2017.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