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do people leave SNS? : The Influences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SNS Fatigue

SNS를 떠나는 사람들 : 사용자의 특성과 SNS 피로감 중심으로 SNS 중단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특성

  • Received : 2017.11.20
  • Accepted : 2018.02.04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Recently, SNS users have begun to complain of fatigue attributed by the dependency 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this trend seem to have them cease or leave the SNS despite its exponential growth. Although researchers devote their effort to identify negative effects of perceived SNS fatigue on the intention to keep using SNS, it still lacks dealing with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looked into (1)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SNS fatigue and the differences of intention to leave SNS based on the users' characteristics (demographic variables, personality traits, and SNS usages) and (2) the users'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to discontinue SNS. The results show that the users with low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feel higher SNS fatigue and to discontinue SNS than those with high self-esteem, and the users in 20s showed higher intention to discontinue SNS than those in 40s. Moreover, the younger the users were, and the lower the levels of self-esteem were, the users reported higher level of fatigue. Additionally, the female user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atigue, the stronger intentions to discontinue SN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give influences the intention to discontinue SNS, and is expecte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ever-expanding SNS market.

SNS의 폭발적인 성장 이면의 부작용으로 최근 SNS 사용자들은 피로감(SNS Fatigue)을 호소하며,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SNS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피로감이 서비스 지속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혀왔지만, 사용자의 특성들이 SNS 피로감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규명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특성(인구구성학적 특성, 성격 특성, SNS 이용 특성)에 집중하여 (1)이에 따른 SNS 피로감 지각과 SNS 중단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2) 사용자의 특성(인구구성학적 특성, 성격 특성, SNS 이용 특성)이 SNS 중단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존감 수준이 낮은 사용자는 자존감 수준이 높은 사용자 보다 더 높은 SNS 피로감과 중단의향을 나타냈으며, 20대 사용자는 40대 사용자보다 더 높은 SNS 중단의향을 보였다. 또한, 사용자의 연령과 자존감 수준이 낮을수록 SNS 중단의향이 높았으며, 피로감 수준이 높고 여성 사용자의 경우 SNS 중단의향이 높았다. 본 연구는 SNS 피로감 외에도 사용자의 여러 가지 특성이 SNS 중단의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조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SNS 시장에 실무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E., Lee, J. A., Moon, J. H.. and Sung, Y. Pictures speak louder than words: Motivations for using Instagra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9). pp. 552-556. 2015. https://doi.org/10.1089/cyber.2015.0157
  2. Moon, J. H., Lee, E., Lee, J. A., Choi, T. R.. and Sung, Y. The role of narcissism in self-promotion on Instagra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1. pp. 22-25. 2016. https://doi.org/10.1016/j.paid.2016.05.042
  3. Mander, J. Social Summary. http://insight. globalwebindex.net/social March 1, 2017.
  4. Michaelidou, N., Siamagka, N. T. and Christodoulides, G. Usage, barriers and measurement of social media marketing: Anexploratory investigation of small and medium B2B brand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40(7). pp. 1153-1159. 2011.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11.09.009
  5. 이은지. 이모티콘 사용자의 이용 동기에 대하여. 한국 HCI학회 논문지. 12(2). pp. 5-12. 2017.
  6. 김희연, 오주현. 국내외 SNS 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정보통신정책연구. 24(12). pp. 19-42. 2012.
  7. 곽규태, 천영준, 오신호, 최수건, 이인성, 김진우. 모바일 SNS 이용의 기술 사회적 환경요인이 스트레스 인지와 SNS 이용의도 저하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1(6). pp. 1405-1434. 2012.
  8. 박현선, 김상현. SNS 피로감 요인이 SNS 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과서비스 몰입의 조절효과. 경영경제. 47(2). pp. 1-24. 2014.
  9. 심완보. SNS 소외 공포증.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27505 2017. 2. 1.
  10. 이은지, 이형철, 김신우. Facebook 사용자들의 양면성에 대하여. 한국 HCI 학회 논문지. 9(1). pp. 1-9. 2014.
  11. 박경자, 유일, 이윤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의 부정적 감정과 사용중단의도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5(2). pp. 89-106. 2014.
  12. 김명수, 이동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디지털 피로감과 플로우의 역할. e-비즈니스연구. 13(1). pp. 67-87. 2012.
  13. 김'온라인인격'도 잘 챙겨야 산다. http://m.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168 2017. 1. 10.
  14. 추가영. 쉿! 이름도 나이도 묻지 마세요, 익명 SNS를 찾는 사람들. http://starwars.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090247061 2017. 2. 20.
  15. 김경달, 김현주, 배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의 피로감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26(1). pp. 102-129. 2013.
  16. Ravindran, T., Chua, A. Y. and Hoe-Lian, G. 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fatigue. In Proceedings of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New Generations (ITNG). pp. 431-438. 2013.
  17. 김형지, 최홍규, 김성태, 안미선, 이유민. 소셜미디어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6(4). pp. 439-464. 2012.
  18. 황성욱, 박재진.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광고연구. 91. pp. 68-95. 2011.
  19. 이원태, 차미영, 양해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24(2) pp. 44-79. 2011.
  20. 이현지, 정동훈.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이용중단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4). 269-293. 2013.
  21. 곽기영, 김효준. 소셜 네트워크 스트레스가 소셜 미디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발표논문집. pp. 83-114. 2011.
  22. 배영. 한국과 미국의 인터넷 이용 행태 비교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23(1). pp. 100-126. 2012.
  23. 이재용, 성동규. SNS 품질 특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SNS 사용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보연구. 52(2). pp. 64-102. 2015.
  24. 비쥬얼 다이브. 모바일 이용자 50%, "SNS 2-3개 동시사용"[데이터뉴스]. http://www.visualdive.com/2016/03/모바일-이용자-50-sns-23개-동시-사용-데이터뉴스/ 2016. 3. 1.
  25. Moreno, M. A., Parks, M. R., Zimmerman, F. J., Brito, T. E. and Christakis, D. A. Display of health risk behaviors on MySpace by adolescents: prevalence and association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3(1). pp. 27-34. 2009. https://doi.org/10.1001/archpediatrics.2008.528
  26. Barker, V. Older adolescents' motivations for social network site use: The influence of gender, group ident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Cyberpsychology & Behavior. 12(2). pp. 209-213. 2009. https://doi.org/10.1089/cpb.2008.0228
  27. Caldwell, M. A. and Peplau, L. A. Sex differences in same-sex friendship. Sex Roles. 8(7). pp. 721-732. 1982. https://doi.org/10.1007/BF00287568
  28. Baumeister, R. F. The self. In D. Gilbert, S. Fiske, & G. Lindzey (Ed.),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pp. 680-740. 1998.
  29. 박영화, 고재홍.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 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pp. 65-83. 2005.
  30. Mehdizadeh, S. Self-presentation 2.0: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4). pp. 357-364. 2010. https://doi.org/10.1089/cyber.2009.0257
  31. Forest, A. L. and Wood, J. V. When social networking is not working: Individuals with low self-esteem recognize but do not reap the benefits of self-disclosure on Facebook. Psychological Science. 23(3). pp. 295-302. 2012. https://doi.org/10.1177/0956797611429709
  32. Ellison, N. B., Steinfield, C. and Lampe, C.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4). pp. 1143-1168.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67.x
  33. Buffardi, L. E. and Campbell, W. K.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 si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10). pp. 1303-1314. 2008. https://doi.org/10.1177/0146167208320061
  34. Ong, E. Y., Ang, R. P., Ho, J. C., Lim, J. C., Goh, D. H., Lee, C. S. and Chua, A. Y. Narcissism, extraversion and adolescents' self-presentation on Facebook.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2). pp. 180-185. 2011. https://doi.org/10.1016/j.paid.2010.09.022
  35. Bevan, J. L., Gomez, R. and Sparks, L. Disclosures about important life events on Facebook: Relationships with stress and quality of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9. pp. 246-253. 2014. https://doi.org/10.1016/j.chb.2014.07.021
  36.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7. Gentile, B., Miller, J. D., Hoffman, B. J., Reidy, D. E., Zeichner, A. and Campbell, W. K. A test of two brief measures of grandiose narcissism: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13 an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16. Psychological Assessment. 25(4). pp. 1120-1136. 2013. https://doi.org/10.1037/a0033192
  38. Pujazon-Zazik, M. and Park, M. J. To tweet, or not to tweet: gender differences and potential positive and negative health outcomes of adolescents' social internet use. American Journal of Men's Health. 4(1). pp. 77-85. 2010. https://doi.org/10.1177/1557988309360819
  39. Rainie, L. Teenage life online: The rise of the networked generation. http://www.pewinternet.org/-/media//Files/Presentations/2003/2003%208.14.03%20%20Singapore%20Youth.Net%20Conference.ppt.ppt. 2017. 1. 3.
  40. Shin, D. The role of affordance in th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learning: technological and affective affordances in virtual reality.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8). pp. 1826-1836. 2017. https://doi.org/10.1016/j.tele.2017.05.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