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상기준점 개수 변화에 따른 무인항공 사진측량 성과물의 위치 정확도 분석

Location Accuracy of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Results According to Change of Number of Ground Control Points

  • 윤부열 (창신대학교 토목공학과) ;
  • 성상민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8.05.08
  • 심사 : 2018.05.11
  • 발행 : 2018.06.30

초록

무인항공사진측량(UAV Photogrammetry)의 대표적인 성과물인 DSM(Digital Surface Model)과 정사영상은 고품질 공간정보 데이터로써 최근 공간정보산업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인항공사진측량은 무인항공기체의 촬영고도, 촬영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 촬영 당시의 기상조건, 기체에 사용된 GPS/IMU의 성능, 지상기준점의 개수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성과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준점 개수 변화에 따른 무인항공사진측량 성과물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기체는 고정익 기체이며, 촬영고도는 130m와 260m로 설정하였다. 사용한 지상기준점은 총 9개이며 각각 9, 8, 5, 4개를 사용하였다. 검사점은 연구 대상지에 골고루 분포된 총 10개의 검사점을 사용하였으며, RMSE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정사영상에서는 XY RMSE를 DSM에서는 Z RMSE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정사영상의 해상도가 평면위치 정확도 검증시 작업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여 Siemens star 타겟을 이용하여 시각적해상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상기준점의 개수가 달라지는 경우 평면위치 정확도의 변화량보다 수직위치 정확도의 변화량이 더 큰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지상기준점의 개수의 변화가 위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결과를 나타내었다.

DSM and orthoimage, which are representative results of UAV photogrammetry, are high-quality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in recent years. However, the UAV photogrammetry h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output of the UAV deteriorates due to the altitude of the UAV, the camera calibration, the weather conditions at the time of shooting, the performance of the GPS / IMU and the number of the ground reference 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accuracy of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number if ground control points. Experiments were made with fixed wing, and the shooting altitude was set at 130m and 260m. The number of ground reference points used was 9, 8, 5, and 4, respectively. Ten checkpoints were used. XY RMSE for orthoimage and Z RMSE for DS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resolution of the orthoimage was determined to affect the judgment of the operator in the verification of the planimetric position accuracy, and the visual resolution was analyzed using the Siemens star targ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riation of the vertical position accuracy is larger than the variation of the planimetric position accuracy when the number of the ground reference points are different. Also The higher the flying height, the greater the effect of change of ground control points on position accuracy.

키워드

참고문헌

  1. Agisoft, 2014. Photoscan User Manual: Professional Edition, Ver 1.1.
  2. Gerke, M. and Przybilla, H.J. 2016. Accuracy analysis of photogrammetric UAV image blocks: influence of onboard RTK- GNSS and cross flight patterns. PFG Photogrammetrie, Fernerkundung, Geoinformation 2016/(1):17-30. https://doi.org/10.1127/pfg/2016/0284
  3. Han, J.D. 2013. A study on the plan to optimize photo reference point using GPS/IN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한지동. 2013. GPS/INS를 이용한 사진기준점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 Han, S.H. 2015. Accuracy analysis of bundle adjustment for low altitude aerial photo according to density and array pattern of GCPs. Proceedings of the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73-74 (한승희. 2015. 지상기준점 밀도 및 기하학적 배치에 따른 저고도 항공영상의 번들조정 정확도 분석. 2015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 초록집. 73-74쪽).
  5. Kim, K.J. 2008. This study on the optimal ground control point for ADS 40.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김경종. 2008. 디지털 항공카메라 ADS40 사진기준점 측량의 최적 기준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6. Lee, J.O., B.Y. Yun, and J.B. Lee. 2015. A study on the work regulation for uUAV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1): 397-405 (이재원, 윤부열, 이재봉, 2015, 초경량 무인비행장치(uUAV)의 공간정보 분야 적용을 위한 작업규정(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8(1): 397-405).
  7. Lee, T.Y. and J.O. Lee. 2016. Analysis of spatial resolution characteristics for DMC/Ulatra CamXp /ADS80 digital aerial image based on visual method,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4(1):61-68 (이태윤, 이재원, 2016, 시각적 기법에 의한 DMC/UlatraCamXp/ADS80 디지털 항공영상의 공간해상도 특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4(1):61-68). https://doi.org/10.7319/kogsis.2016.24.1.061
  8. Yoo, Y.H. 2016. Effect analysis of overlap and GCPs for generating orthoimage and DSM based on fixed wing UAV.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유용호. 2016. 고정익 UAV 기반 정사영상 및 DSM 제작을 위한 중복도와 지상기준점의 영향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9. Yun, B.Y. 2017. Experimental applicability evaluation for renewal and modification task of digital topographic map by low-cost drone acquired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4):115-126 (윤부열, 2017, 저가형 드론영상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수정.갱신업무 적용 가능성 실험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4):115-126).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4.115
  10. Yun, B.Y. and J.O. Lee. 2014.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UAV in Korea for integrated opera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2(2):3-9 (윤부열, 이재원. 2014, 무인항공기(UAV)의 공간정보 통합운영을 위한 국내적용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2):3-9).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2.003
  11. Vega, F.A., F.C. Ramirez and P.M. Carricondo. 2017. Assessment of photogrammetric mapping accuracy based on variation ground control points number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Measurement 98:221-227. https://doi.org/10.1016/j.measurement.2016.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