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성환, 조영하 (2010).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회보, 28(3), 79-106.
- 김연희 (2016).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유가치,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3(1), 1-32.
- 김영선, 오진주 (2017). 교대근무 경찰공무원의 수면의 질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미치는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대한보건연구, 43(4), 49-58.
- 김효준 (2010). 민간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박종표, 전인오 (2011). MICE 산업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역할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1(12), 190-205.
- 배점모 (2014).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8(6), 99-107. https://doi.org/10.7731/KIFSE.2014.28.6.099
- 송은일, 김화복 (2015). 체육행정 관련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업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2), 259-267.
- 송은일, 이종호 (2017).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263-283.
- 신강현, 오인수 (2004).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예측 시 직무열의의 중요성.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4-245.
- 신선옥 (2009). 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 안예지 (2014).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관련스트레스와 서비스지향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교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왕옥국 (2011).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이방식 (2010). 직업몰입의 조절효과 역할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관광연구, 25(2), 417-435.
- 이석만, 이주락 (2017).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3, 159-184.
- 이승환 (2005). 대학조직에서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실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 임창호 (2017).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찰학회보, 65, 163-196.
-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 전상철 (2013). 다양성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몰입, 맥락성과 및 혁신행동의 관계:비유사성 인식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전상철 (2013). 다양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몰입, 맥락성과 및 혁신행동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차영덕 (2010).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인사부서의 역할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허정수, 윤영숙 (2009). 한국형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성 모색. 한국비즈니스리뷰, 2(1), 223-248.
- 홍태경, 류준혁 (2015). 민간경비원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4(2), 133-158.
- HRKOREA (2011). 제5호.
- 경찰청 (2016).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191
- Bakker, A. B., & Geurts, S. A. (2004). Toward a dual-process model of work-home interference. Work and occupations, 31(3), 345-366. https://doi.org/10.1177/0730888404266349
- Bae, J., & Lawler, J. J. (2000). Organizational and HRM strategies in Korea: Impact on firm performance in an emerging econom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3), 502-517. https://doi.org/10.2307/1556407
- Fournet, G. P., Distefano, M. K., & Pryer, M. W. (1966). Job satisfaction: Issues and problems. Personnel psychology, 19(2), 165-18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66.tb02026.x
- Kanungo, R. N. (1982). 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3), 341. https://doi.org/10.1037/0021-9010.67.3.341
- O'Reilly, C. A., & Chatman, J. (1986).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492. https://doi.org/10.1037/0021-9010.71.3.492
- Pfeffer, J. (1998). The human equation: Building profits by putting people first. Harvard Business Press.
- Ross, G. F. (1995). Work stress and personality measures among hospitality industry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7(6), 9-13. https://doi.org/10.1108/0959611951009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