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unn hemp (Crotalaria juncea) is used as a nitrogen-fixing green manure in Korea to improve soil quality, reduce soil erosion, and suppress weeds and nematodes. In 2014, wilting sunn hemp plants were observed in green manure-cultivated fields in Wanju, Korea. Leaves of the infected plants began yellowing, starting with the lower leaves, eventually leading to their death. Moreover, a number of dark perithecia were observed on the wilting stems. Six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ese perithecia by single spore isolation.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usarium udum (teleomorph: Gibberella indica). Macroconidia were slightly curved with almost hooked apical cell, and microconidia were formed on false heads by monophialides. Chlamydospores were produced abundantly in the hyphae, either singly or in clusters. To confirm the identification,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TEF), calmodulin (CAL), and histone 3 (HIS3). The sequences of TEF, CAL, and HIS3 showed 94.4~96.2%, 99.7%, and 99.6~99.8% similarity to the reference sequences of F. udum in NCBI GenBank, respectively. Pathogenicity was tested on sunn hemp and two soybean cultivars using the inoculation method of soil drenching with spore suspension. The wilting symptoms were observed only in sunn hemp and one cultivar of soybean (cv. Teagwang) after 14~21 days of inoculat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f wilt disease in sunn hemp caused by Fusarium udum in Korea.
클로탈라리아는 국내에서 토양개량을 위한 질소고정, 토양침식 감소, 잡초 및 선충 억제를 위해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고 있다. 2014년, 클로탈라리아를 풋거름작물로 재배하는 완주 지역의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아래잎부터 황화 되면서 시들기 시작하였고, 위쪽 잎도 황화 되었으며, 결국 식물체는 완전히 고사하였다. 감염된 식물체 줄기에서 어두운 색의 자낭각이 다수 관찰되었고, 이 자낭각으로부터 자낭포자를 단포자 분리하여 6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균학적 특성에 의해 분리균은 Fusarium udum(완전세대: Gibberella indica)로 동정되었다. 대형포자의 정단세포는 대부분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고, 소형포자는 단경자에서 false head 상으로 형성되었다. 후벽포자는 균사에서 단일 혹은 무리지어 풍부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동정 결과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TEF), calmodulin (CAL), histone 3 (HIS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되었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NCBI GanBank에 등록된 F. udum과 TEF 유전자는 94.4~96.2%, CAL 유전자는 99.7%, HIS3 유전자는 99.6~99.8%의 상동성을 보였다. 클로탈라리아와 두 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포자현탁액을 토양에 관주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14~21일 이내에 접종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udum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