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fungus, Podosphaera pannosa, was identified in 1991 as the cause of powdery mildew symptoms on peach (Prunus persica var. persica) fruit from Kor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l state. Recently, however, in Serbia and France, the cause of 'rusty spot' found on peach fruit was identified as P. leucotricha, and the cause of 'powdery mildew' on nectarine (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fruit was identified as P. pannosa.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Korean pathogen, we collected four samples of powdery mildew from Korean peach fruit: three with the 'powdery mildew' symptom and one with the 'rusty spot' symptom. Morphological examination of the four samples confirmed P. pannosa as the pathoge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DNA were analyzed for molecular characterization. A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the Korean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a clade containing P. pannosa from Rosa species, with high sequence similarities of more than 99%. Thus, we showed that the powdery mildew and rusty spot symptoms on peach fruits from Korea are associated with P. pannosa.
1991년에 우리나라에서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var. persica) 과실에 흰가루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형태적 특징에 의거하여 Podosphaera pannosa로 동정되었다. 복숭아 과실이 P. pannosa에 감염된다는 사실은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알려져 왔다. 2011년에 Jankovics 등[11]은 세르비아 및 프랑스에서 채집한 10점의 시료를 연구하여 복숭아 과실의 '녹얼룩점(rusty spot)' 증상은 P. leucotricha에 의한 것이며, 천도(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과실의 '흰가루(powdery mildew)' 증상은 P. pannosa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에 발생한 흰가루병을 4점 채집하여 형태적 검경 및 분자적 분석을 통해 병원균의 정체를 밝혔다. 3점의 시료는 흰가루 증상, 1점의 시료는 녹얼룩점 증상을 나타냈다. 형태적으로는 4점 모두 P. pannosa로 동정되었다. 분자적으로는 2점의 시료에서 ITS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99% 이상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maximum likelihood 방법으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분자계통학적으로 동일한 클러스터에 소속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의 흰가루 증상과 녹얼룩점 증상은 모두 P. pannosa에 의해 발생됨을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