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Marriag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현식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 최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옥진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8.08.31
  • Accepted : 2018.11.21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relation to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social support of immigrant women. The research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iheung of Gyeonggi-do and Ansan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1, 2017, and a total of 223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or effects.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PSS 22.0. The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 -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o improve marriag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정천석(2009). 다문화 가정의 가정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3(2), 153-167.
  2. 공미혜.오세자(2010).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2, 95-120.
  3. 계선자.강혜경.정미선(2009). 다문화 가정의 결혼 생활에 관한 분석-용산구 다문화 가정 사례 연구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31-57.
  4. 김미영(2017).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 자기효능 감, 생활만족도를 위한 가정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미정.염동문(2015).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31(3), 1-25.
  6. 김순연(2012).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경제적, 관계적 요인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와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순옥.김현숙(2016).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462-473.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462
  8. 김순옥.임현숙.정구철(2015).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85-186.
  9. 김유경(2009).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151(0), 29-52.
  10. 김정아.김인경(2011),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52-6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52
  11. 김진.이종운.김영숙(2015).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41(2), 79-103.
  12. 김희숙(2011).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 실증적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나동석.박종인(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과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1(4), 1-20.
  14. 남인숙.안숙희(2011),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2): 99-108. https://doi.org/10.4069/kjwhn.2011.17.2.99
  15.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2010).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경진.
  16. 서홍란.정한나(2010). 경남지역 거주 국제결혼 한국남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6(3), 27-48.
  17. 송복희(2012). 아시아 지역 가정생활문화를 통해서 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전략.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송태연(2017).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허용성 및 자기효능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신유경.장진경(2010).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109-122.
  20. 양정빈.이종환(2011). 지역사회 성인중도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재활동기간의 인과관계 모형분석.
  21. 유은광.김혜진.김명희(2012).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2(2), 171-179. https://doi.org/10.4040/jkan.2012.42.2.171
  22. 이상균(2007). 사회복지연구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리뷰. 12(0), 19-36.
  23. 이신동.김진호.이상희.이경숙.차재경. 이영(2017). 다문화와 교사교육. 학지사.
  24. 이애련(2010).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이해 및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서울지역 어린이집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299-321.
  25. 이은주.전미경 (2014).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인 메타분석. 한국사회정책, 21(4), 9-44.
  26. 이정희(201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창운(2017).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중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혜경.전혜인(2013).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4), 413-432. https://doi.org/10.13049/kfwa.2013.18.4.413
  29. 이훈(2016).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수진(2010). 배우자의 사회적 지지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의정.하규수(2012).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22-231.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22
  32. 채옥희.한은진.송복희(2012). 캄보디아 결혼 이주여성 부부의 결혼동기와 한국가정생활 경험 및 지원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6 (4), 111-129.
  33. 행정자치부(2016). 주민등록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수.
  34. 현경자.김연수(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4), 653-677.
  35. Bandura, A.(1977).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s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6. Bandura, A. (2000). Exercise of human agency through collective effic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3), 75-78. https://doi.org/10.1111/1467-8721.00064
  37. Baron, R. M. and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8.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9. Proulx, C. M., Helms, H. M., Milardo, R. M., & Payne, C. C. (2009). Relational support from friends and wives' family relationships: The role of husbands' interferenc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6(2-3), 195-210. https://doi.org/10.1177/0265407509106709
  40.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290-312. Washington DC :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