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상경(2012).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43(4), 91-119.
- 강소랑.최은영(2016).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분석: 가계자산.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2(2), 1-30.
- 강수택.정철규(2015).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3), 145-156.
-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우형과 우울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2), 184-215.
-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56.
- 김미령(2011).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51), 7-34.
- 김세진.강은나(2017).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110-138.
- 김우성.허은정(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 김윤정.이상진(2017). 베이비붐 세대의 일, 가족생활,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예쑬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2), 671-680.
- 김이정(2009). 독신여성들의 여가체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359-365. https://doi.org/10.5392/JKCA.2009.9.1.359
- 김종순.오세숙.윤소영(2016).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학연구, 14(4), 67-85.
- 김창원(2015). 직장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미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의용과 학대학원 스포츠테크노 산업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희정.천혜정(2016). 1차 베이비붐세대, 2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 비교. 여가학연구, 14(3), 17-41.
- 류승아.김경미.최인철(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15-434.
-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
- 반정호(2012).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변화. 노동리뷰, (85), 55-67.
- 박지남.천혜정(2012). 청년 세대의 '나 홀로 여가' 문화. 여가학연구, 10(2), 87-105.
- 박휴경.원영신.조은영(2014). 남성노인의 홀로하는 산행의 경험과 의미.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8(3), 41-53.
-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9-132.
-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 윤소영(2016). 고령자 대상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4), 1-13.
-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1), 45-60.
- 윤혜진.김영문.김은희(2016).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8(12), 353-370.
- 이국희.최인철(2018).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학연구, 16(1), 29-53.
- 이명우.홍윤미.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 이여봉(2017).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52), 64-77.
- 이은희.김경자.이성림.유현정.차경욱.이영애.이준영(2015).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22(2), 197-227.
- 이향숙.신원우(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57-165.
- 이호길(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불안이 여가활동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5(4), 163-180.
- 정영금.윤소영(2014).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61-77.
-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고서.
- 통계개발원(2017). 국민 삶의 질 2017. 통계개발원 조사보고서.
-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 Karl Mannheim(1952). The problem of Generation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276-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