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 A generational analysis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 정영금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Received : 2018.06.01
  • Accepted : 2018.08.06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on the basis of generation, and identify leisure characteristics or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in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mprised 1,144 single householders, among whom 74 belong to the teenage generation, 288 are of the eco generation, 154 belong to generation X, 104 are baby boomers, and 524 are of the older generation. Va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ross the generations, namely, conditions for leisure, degree of leisure participation, level of work-leisure balance, persistence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activity.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leisure characteristics and leisure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among the gener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경(2012).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43(4), 91-119.
  2. 강소랑.최은영(2016).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분석: 가계자산.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2(2), 1-30.
  3. 강수택.정철규(2015).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3), 145-156.
  4.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우형과 우울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2), 184-215.
  5.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56.
  6. 김미령(2011).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51), 7-34.
  7. 김세진.강은나(2017).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110-138.
  8. 김우성.허은정(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10(4), 31-53.
  9. 김윤정.이상진(2017). 베이비붐 세대의 일, 가족생활,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예쑬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2), 671-680.
  10. 김이정(2009). 독신여성들의 여가체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359-365. https://doi.org/10.5392/JKCA.2009.9.1.359
  11. 김종순.오세숙.윤소영(2016). 20-40대 직장여성의 일과 여가 그리고 행복의 관계. 여가학연구, 14(4), 67-85.
  12. 김창원(2015). 직장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미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의용과 학대학원 스포츠테크노 산업학과 석사학위논문.
  13. 김희정.천혜정(2016). 1차 베이비붐세대, 2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 비교. 여가학연구, 14(3), 17-41.
  14. 류승아.김경미.최인철(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15-434.
  15.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
  16. 반정호(2012).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변화. 노동리뷰, (85), 55-67.
  17. 박지남.천혜정(2012). 청년 세대의 '나 홀로 여가' 문화. 여가학연구, 10(2), 87-105.
  18. 박휴경.원영신.조은영(2014). 남성노인의 홀로하는 산행의 경험과 의미.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8(3), 41-53.
  19.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20.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9-132.
  21.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22. 윤소영(2016). 고령자 대상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4), 1-13.
  23.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1), 45-60.
  24. 윤혜진.김영문.김은희(2016).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8(12), 353-370.
  25. 이국희.최인철(2018).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학연구, 16(1), 29-53.
  26. 이명우.홍윤미.윤기웅(2016). 여가 활동이 국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0(2), 264-287.
  27. 이여봉(2017).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52), 64-77.
  28. 이은희.김경자.이성림.유현정.차경욱.이영애.이준영(2015).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22(2), 197-227.
  29. 이향숙.신원우(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57-165.
  30. 이호길(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불안이 여가활동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5(4), 163-180.
  31. 정영금.윤소영(2014).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61-77.
  32.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고서.
  33. 통계개발원(2017). 국민 삶의 질 2017. 통계개발원 조사보고서.
  34.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35. Karl Mannheim(1952). The problem of Generation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276-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