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learning attitude in instruction utiliz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1.25
  • Accepted : 20180229
  • Published : 2018.05.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through the foster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STAD cooperative learning. For this purpose, we made up an experimental class. And then we investigated the students' change in these aspects after the foster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STAD cooperative learn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find that significant changes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utilizing the foster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STAD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I want to solve the particular problems that follow. First, what is the reaction of utilizing the foster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STAD cooperative learning mathematical program for students? Is it effective utilizing the foster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STAD cooperative learning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 Third, does utilizing the foster self-confidence and learning motivation by STAD cooperative learning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

본 연구에서는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수학교과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하여 STAD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수학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에서 조사한다.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과 전통적인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한 집단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에서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아 (2012). STAD 협동학습이 수학학습 효과-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자연이공과정 학생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Kwon, H. A. (2012). The effects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Mathematics focused on second graders in natural sciences of a general high school.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김길섭 (2012). STAD 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Kim, G. S. (2012).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s related attitude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3. 김희정.김응환 (2006). TAI 모델과 STAD 모델을 혼합한 협동학습이 수학과의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1), 1-17. Kim, H. J., & Kim, Y. H.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blended with the TAI and STAD Models on the students' ability of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9(1), 1-17.
  4. 류희찬.조완영.이정례.선우하식.이진호.손홍찬....정성윤 (2015). 고등학교 수학 II 교과서, 서울 : 천재교과서. Ryu, H., Cho, W., Lee, J., Sun. W., Lee, J., Shon, H.,... Jeong, S. (2015). High School Math II textbooks, Seoul : Genius Textbooks
  5. 서관석.안진수 (2003). 협동학습에서의 초등학생 수학적 신념 및 학습태도 변화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5(4), 541-553. Seo, K. S., & Ahn, J. S. (2003). The inquiry of change of mathematical beliefs and attitudes in elementary cooperative learning class. School Mathematics, 5(4), 541-553.
  6. 신희경.김언주.민현숙.정찬우 (2010).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 신정. Shin, H., Kim, E., Min, H., & Jeong, C. (2010). Educational Psycology for the motivation of learners. Seoul : Sinjeong.
  7. 이보람 (2015). 체험수학을 통한 중학생의 수학적 학습태도 변화 : 다면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Lee, B. R. (2015). Changes in mathematic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experimental mathematics-focused on polyhedron,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8. 안미정 (2005). 수학과 협동학습이 자아효능감 및 학습태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An, M. J. (2005). The impact on self-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cooperative learning.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9. 양경화 (2012).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교 수학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Yang, G. H. (2012). The effects of the STAD cooperative learning on computation abilities and learning attitudes of Low-achieving students in Mathematic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임지숙 (2002). STAD 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와 학습태도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Lim, J. S. (2002). The impact on the mathematics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in STAD cooperative learning.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1. 이미숙 (2015).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좋은땅. Lee, M. S. (2015). Theory and practice of cooperative learning, Seoul : Good Land.
  12. 전성연, 최병연 (2010). 협동학습 모형 탐색, 서울 : 학지사. Jeon, S. Y., & Choi, B. Y. (2015). Cooperative learning model navigation, Seoul : Hakjisa.
  13. 정문성.김동일 (1998). 열린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형설출판사. Jeong, M. S., Kim, D. I. (1998). Theory and practice of cooperative learning for open education, Seoul: Hyungseol Publishing Company
  14. 조도연.신인선.김상근.김태국.이석현.강현종....유형우 (2015). 고등학교 수학 II 교과서, 경기도 : 경기도 교육청. Jo, D., Shin, I., Kim. S., Kim, T., Lee, S., Kang, H., ... Yo, H. (2015). High school math II textbooks, Gyeonggi-do :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15. 최승현.박상욱.황혜정 (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Choi, S. H., Park, S. W., & Hwang, H. J. (2014).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7(1), 23-43.
  16. 하현숙 (2000). 그래픽 계산기를 이용한 실용수학 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Ha, H. S. (2000). The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pratical mathematics by the use of a graphic calculator.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 한유미 (2008). STAD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Han, Y. M. (2008). The effect on achievement of studies and affective domain by STAD cooperative studying.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18. 황선욱.강병개.김영록.윤갑진.김수영.송미현....박진호 (2015). 고등학교 수학 II 교사용 지도서, 서울 : 좋은책 신사고. Hwang, S., Kang, B., Kim, Y., Yun, G., Kim, S., Song, M., ... Park, J. (2015). High school math II textbooks instructions, Seoul : Good Book Sinsago.
  19.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 An overview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Reston, VA : Author.
  20. Hart, L. (1989). Classroom processes, sex of student, and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3), 242-260. https://doi.org/10.2307/749514
  21. Boekaerts, M. (1994). Confidence and doubt in relation to mathematics, ERIC(ED 375 009).

Cited by

  1.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신장을 위한 매쓰투어(Math-Tour) 개발 및 효과 vol.34, pp.4, 2020, https://doi.org/10.7468/jksmee.2020.34.4.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