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Elementary Schoolers'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and Playfulness on School Happiness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놀이성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강형길 (경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 조진호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 Received : 2018.04.11
  • Accepted : 2018.05.17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and playfulness influence school happines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00 students in five elementary schools in I city. After the exclusion of 22 incomplete questionnaires, a total of 2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every subset of variables of the study was positively inter-corre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ental fluidity playfulness positively influenced every subset of school happiness variables. Physical animation playfulness positively influenced self-respect school happiness, optimism school happiness, and overall school happiness. Mental spontaneity positively influenced teacher relationship school happiness and overall school happiness.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positively influenced every subset of school happiness variables, and based on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influenced school happiness variables more so than did playfuln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and playfulness are important contributors for improving Korean elementary students' school happiness, a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and playfulness in Korean elementary school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놀이성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I 광역시의 5개 초등학교 300명의 초등학생에게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 자료를 제외한 278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상관관계분석결과, 모든 연구변인들은 상호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감정표현성은 학교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놀이성의 신체적 활기요인은 학교행복감의 자기존중감, 낙천주의, 그리고 전반적 학교행복감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놀이성의 정신적 자발성 요인은 교사관계 전반적 학교행복감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태도는 학교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회귀계수 분석결과, 체육수업태도가 놀이성에 비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태도 및 놀이성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최초의 국내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국내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성철,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의 이중 매개효과," 아동교육, 제24권, 제2호, pp.265-280, 2015.
  2. D. R. Entwisle and L. A. Hayduk, "Lasting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ociology of Education, Vol.61, No.3, pp.147-159, 1988. https://doi.org/10.2307/2112624
  3. A. Y. Kim and M. H. Le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epressive t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and highschool,"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2, No.2, pp.423-441, 2008.
  4. J. Ainley, J. Foreman, and M. Sheret, "High school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to remain in schoo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85, No.2, pp.69-80, 1991. https://doi.org/10.1080/00220671.1991.10702816
  5. X. Chen and B. S. Li, "Depressed mood in Chinese children: Development significance for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4, No.4, pp.472-479, 2000. https://doi.org/10.1080/016502500750038026
  6. S. M. Suldo and E. S. Huebner, "Does life satisfaction moderate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sychopathologic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Vol.19, No.2, p.93, 2004. https://doi.org/10.1521/scpq.19.2.93.33313
  7. http://www.koreacontents.or.kr/-paper.html, 2008.12.12.
  8.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김효진, 오미애, 정은희, 최은진, 이봉주, 김선숙,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3-92.
  9. 염유식, 김경미, 이승원, 2016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한국방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10. A. Kozma, S. Stone, and M. J. Stones, Stability in components and predictors of subject-wellbeing(SWB): Implications for SWB structure, In Diener E.(Ed.) Advanced in qualities of life injury and research. Dordrecht, The Netherlands: Kouwer, 2000.
  11. R. Veenhoven, "Is happiness a trait?,"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2, No.2, pp.101-160, 1994. https://doi.org/10.1007/BF01078732
  12. 김수진, 동효관, 박지현, 김지영, 진의남, 서지희, 김민정, TIMSS 2011 결과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 현황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7-2, 2013.
  13. A. W. Bailey, H. K. Kang, and C. Schmidt, "Leisure routine and positive attitudes: age-graded comparisons of the path to happines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48, No.3, pp.189-209, 2016. https://doi.org/10.18666/jlr-2016-v48-i3-6336
  14. 박영신, 김의철, 한기혜, 박선영,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9호, pp.149-188, 2012.
  15. 유신복, 손원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0권, 제1호, pp.179-200, 2013.
  16. R. Norris, D. Carroll, and R. Cochranc,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training on psychological stress and well-being in an adolescent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6, No.1, pp.55-65, 1992. https://doi.org/10.1016/0022-3999(92)90114-H
  17. R. W. Motta, M. E. McWilliams, and J. T. Schwartz, "The role of exercise in reducing childhood and adolescent PTS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Vol.28, No.3, pp.224-238, 2012. https://doi.org/10.1080/15377903.2012.695765
  18. H. G. Kang, Exploring how dimensions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relate to quality of life perception,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Twin-Cities, 2010.
  19. 오대균, 이기대, "학교스포츠클럽 우수 운영 사례를 통한 교육적 운영 특성, 효과 및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5-79, 2014.
  20. 허창혁, 오교문, "서울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51-70, 2013.
  21. 한정규, 허원석,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pp.31-43, 2013.
  22. 송경미, 박형란, 이태구, 이한주, "현장관찰도구를 이용한 체육시간과 점심시간 신체활동비교,"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제12권, 제2호, pp.53-64, 2010.
  23. M. K. Tappe and C. Burgeson, "Physical education: A cornerstone for physically active lifestyle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Vol.23, No.4, pp.281-299, 2004. https://doi.org/10.1123/jtpe.23.4.281
  24. 이승엽, 송승혁, 조강옥, "중고등 학생의 주관적 행복감과 체육수업 참여와의 관련성," 코칭능력개발지, 제17권, 제2호, pp.23-30, 2015.
  25. 오정우, 권현진, 이온, 우승석, 송봉길, 조강옥, 김연수,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주관적 행복 인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지, 제54권, 제3호, pp.219-230, 2015.
  26. 남광우, 최영준, 강형숙,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만족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행복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6호, pp.943-955, 2016.
  27.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975.
  28. 이향원, 학생중심 토의수업과 교사중심 토의 수업이 학습능력에 따라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0.
  29. 강준호, 놀이중심 유아 체육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0. N. J. Lieberman,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New York, NY: Academic Press, 1977.
  31. B. Chandler, "Where do you want to play? Play environments: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In Chandler, B. E. (Ed.), The essence of play: A child's occupation (pp.159-175), Bethesda, MD: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Inc, 1997.
  32. K. M. Christian, The construct of playfulness: Relationships with adaptive behaviors, humor, and early play ability,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12.
  33. S. Jenkinson, The genius of play: Celebrating the spirit of childhood, Hawthorn Press, 2001.
  34. K. S. Meador, "Emerging rainbow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creativity in preschooler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Vol.15, No.2, pp.163-181, 1992. https://doi.org/10.1177/016235329201500205
  35. G. S. Moran, "Some functions of play and playfulness: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Vol.42, No.1, pp.11-29, 1987. https://doi.org/10.1080/00797308.1987.11823479
  36. R. T. Proyer, "To love and play: Testing the association of adult playfulness with the relationship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Current Psychology, Vol.33, No.4, pp.501-514, 2014. https://doi.org/10.1007/s12144-014-9225-6
  37. M. B. Staempfli, Adolescent playfulness, leisure, and well-being,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terloo, 2005.
  38. 한국교육과정개발원,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체육교육 평가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개발원, 1992.
  39. 오중근,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배려가 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14, 2017.
  40. 강영하,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상담연구, 제11권, 제2호, pp.219-235, 2012.
  41. 김종백, 김태은, "학교행복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1호, pp.259-279, 2008.
  42. 김영진, 김영환, 김영선, "초등학생의 놀이 활동 실태 및 요구분석," 교과교육학연구, 제11권, 제1호, pp.121-141, 2007.
  43. L. A. Barnett,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Vol.4, No.6, pp.51-74, 1991.
  44. 유한나, 엄정애,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기대,"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255-284, 2014.
  45. 신은수, 김은정, 유영의,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1권, 제2호, pp.200-228, 2012.
  46. L. A. Barnett,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2, No.2, pp.138-153, 1990. https://doi.org/10.1080/00222216.1990.11969821
  47.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제33권, 제2호, pp.69-89, 2012. https://doi.org/10.5723/KJCS.2012.33.2.69
  48. L. Kjonniksen, I. Fjortoft, and B. Wold, "Attitude to physical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organized youth sports during adolescenc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young adulthood: A 10-year longitudinal study,"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Vol.15, No.2, pp.139-154, 2009. https://doi.org/10.1177/1356336X09345231
  49.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아동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29-144, 2009.
  50. 최태산, 조미정, "초등학생의 놀이성과 정서지능 간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제13권, 제2호, pp.31-45, 2010.
  51. 황선희, 박익렬, "교사의 체육수업지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449-456,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449
  52. 성지현, 변혜원, 남지해, "아동 놀이성향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606-62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