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amily Particpation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Culture Festival" at the Educational Museum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문화 페스티벌" 개최를 통해 본 가족 참여 교육 가능성 고찰

  • Received : 2018.04.06
  • Accepted : 2018.05.02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As the share of leisure culture increases these days, expectations are rising for the high quality of culture while increasing interest in leisure and tourism.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going on weekend trips to broaden the horiz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s continued to rise in proportion to the expectations for cultural enjoyment. We expect that visitors' weekend family activities will include relaxing, playing and educational purposes. Recent educational programs have moved from the past where only children were allowed to be onsite, to a shared style in which parents can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potentially leading to the implicit involvement of family ties and family elasticity. The effects of education are not expressed by the period that ends in a single moment of experience, but by the continuity of training and experience. The same holds true for family affinity, communication and empath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family experience and education is a national responsibility for broken family and restoring solidarity with the grow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Furthermore, it is a duty of museums and galleries today, and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thods to enhance family solidarity and family affinity. In particular,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for educational purposes at the Education Museum, and to develop " education for family " at the social level.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sults of all family participati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family education programs at the Education Museum through family surveys and interviews, and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family types education programs more actively.

최근 여가 문화 비중이 날로 증가하면서 레저 관광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와 동시에 질 높은 문화 향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초 중 고 자녀들의 견문 넓히기를 위해 주말이면 나들이를 떠나는 인구 비중 역시 문화 향유 기대치와 비례하여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관람객의 주말 가족 단위 여행을 통한 체험은 휴식과 놀이는 물론 교육적인 목적을 포함한 활동이기를 기대한다. 최근 교육 프로그램은 과거 아이들만 현장에 맡기는 탁아형에서 벗어나 부모가 교육 활동에 개입하는 공유형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며, 가족간 결속과 가족 탄력성이 은연중에 스며들도록 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현이 매우 중요해졌다. 교육의 효과는 한순간의 경험으로 끝나는 마침표가 아니라 반복된 훈련과 경험의 연속성을 통해 발현된다. 가족 간의 긴밀한 친화력과 소통, 공감 능력도 마찬가지이다.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과 교육의 기회 제공은 가족해체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결속력 회복을 위한 국가차원의 책무이다. 나아가 오늘날 박물관 미술관의 역할이자 의무이며 이를 통해 가족 결속력, 가족 친화력을 북돋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나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적 목적 실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은 필수적이며, 사회적 차원의 '가족을 위한 교육'개발은 필연적이다. 본 고에서는 교육박물관에서의 가족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온가족 참여 교육 결과를 가족 대상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고 보다 적극적인 가족 형태의 교육활성화를 제고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T. Barrett, Interpreting Art: Reflecting, Wondering, And Responding, New York: McGraw-Hill, 2003.
  2. 최종호, 한국박물관교육학, 문음사, 2010.
  3. 통계청, 2017년 사회조사 결과, 2017.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01018&inputYear=2017, 2018.3.1.
  4. C. Henry, The Museum Experience, New York: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2010.
  5. 강인애, 박물관교육의 가능성, 문음사, 2011.
  6. 교육박물관, 배움의 꿈 가르침의 희망, 교육박물관, 2010.
  7. http://museum.knue.ac.kr/, 2018.3.1.
  8. 엄혜윤, "교육박물관에서의 의미형성을 위한 가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어린이와 박물관 연구, 제11호, pp.154-173, 2016.
  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8923, 2018.3.1.
  10. 최병연, 김호정,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 교육 연구, 제1권, 제6호, pp.43-72, 2003.
  11.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교육과학사, 2014.
  12. 이정우, 개념뿌리들2, 철학아카데미, 2004.
  13. 서동은,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예술이해, 누멘, 2009.
  14. 최석영, 하인G.E.Hein의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 민속원, 2012.
  15. 백령, "박물관 교육의 새로운 개념과 범위 설정," 박물관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49-64, 2007.
  16. http://blog.naver.com/박물관마케팅, 20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