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예비보건의료인을 위한 결핵 교육 모형 구축

Development of Tuberculosis Education Model for Junior Health Care Professionals

  • 백설향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이지수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이현정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투고 : 2018.03.19
  • 심사 : 2018.05.17
  • 발행 : 2018.05.28

초록

예비보건의료인들을 포함한 보건 의료인들은 결핵에 노출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들이 적절한 수준의 지식과 예방행위를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비보건의료인들을 위한 결핵 교육 모형을 구축함에 있어서 문헌고찰을 실시함과 동시에 129명의 예비 보건 의료인과 14인의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결핵의 역학, 결핵의 전파 및 병태생리, 검사와 진단, 잠복결핵, 결핵의 치료, 그리고 결핵의 예방 등을 포함한 총 6개의 교육 주제가 파악되었다. 둘째, 예비보건의료인들은 결핵의 역학, 전파 및 병태생리, 잠복결핵 분야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식수준을 보였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이러한 지식이 낮은 영역에 더 많은 시간이 할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의료인들은 결핵역학 교육 시, 결핵의 정의와 유형이 잘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으며, 결핵의 전파와 병태생리를 교육할 때에는 병원감염과 감염회로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된다고 답변하였다. 이에 덧붙여, 의료인들은 결핵의 진단과 집단검진을 강조하였으며, 잠복결핵 교육 시에는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반응하였다. 또한, 결핵의 치료에 대한 교육 시, 환자 교육 및 결핵약의 부작용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덧붙여 예비보건의료인들의 자기건강증진 행위 및 체계적인 결핵 교육이 결핵 예방의 중요한 수단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한된 수의 응답자들과 표집 오차를 포함하고 있기에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므로 더 큰 연구집단을 이용한 후속 연구를 통해 결핵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HCPs) who have relatively higher possibility of exposing tuberculosis(Tb), it is important for them to equip with proper levels of knowledge and prevention activities.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Tb education model for junior HCPs, therefore, literature review was done alongside 129 junior HCPs and 14 HCPs were asked to answer questionnaires and telephone survey.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ly, six educational themes such as epidermiology of Tb, Tb transmission and patho-physiology, test and diagnosis, latent Tb, Tb treatment, and Tb prevention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econdly, the junior HCPs showed lower levels of knowledge regarding epidermiology, transmission and patho-physiology and latent Tb, compared to the other themes. When education courses are planned, longer period of time should be given to the lower level of knowledge areas. Thirdly, the HCPs emphasized that definition and type of Tb should be well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 in particular epidermiology education. They also responded that hospital infection and infection cycle of Tb need to be addressed during educational session about transmission and patho-physiology. in addition, they said that specific and detailed contents about diagnosis and group examination should be carefully delivered during the education, along with diagnosis, test and application of personal protective devices during education of latent Tb. They also answered that patient education and adverse effect of Tb medication should be taught during Tb treatment session, as well as self activities of health promotion for junior HCPs and systematic TB education as key way of Tb prevention. As the findings were from limited numbers of respondents and contained the sampling bias, the result has to be carefully interpretated prior to generalization. Therefore, further survey with larger study population is required in terms of development of Tb education model.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인숙, "한국과 중국 일 도시 간호 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274-28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74
  2. http://tbzero.cdc.go.kr/tbzero, 2018.2.10.
  3. 이인숙, 박호란, "북한이탈 부모의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 Child Health Nurs Res, 제21권, 제3호, pp.216-226, 2015.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16
  4. https://www.knta.or.kr, 2017.8.20.
  5. 정은경,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 2017, 질병관리본부, 2018.
  6. 이민현, 성재진, 은병욱, 조혜경, "새로 진단된 결핵 환자의 가족 내 2차 감염 양상 조사," Pediatr Infect Vaccine, 제22권, 제1호, pp.7-15, 2015. https://doi.org/10.14776/piv.2015.22.1.7
  7. 전미영, 류은정, "폐결핵 환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그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75-584, 2004.
  8. 황선영, 연령별 폐결핵 유병 유무에 따른 특성 및 위험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 최상봉, 균 양성 결핵환자의 밀접접촉자에서 흡연과 결핵감염의 관련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 박수정, 안민정, 소향숙, "결핵환자의 스티그마,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285-29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285
  11. H. Stevens, R. A. Ximenes, O. M. Dantas, and L. C. Rodrigues, "Risk factors for tuberculosis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 a matched case-control study in Recife, Brazil," Stevens et al. Emerging Themes in Epidemiology, Vol.11, No.20, pp.1-7, 2014. https://doi.org/10.1186/1742-7622-11-1
  12. 양미정, 종합병원 결핵 고위험부서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 지식, 태도, 인식, 수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 배미혜, 송보경, 김경민, 손승국, 박수은, "두 개 대학병원에서 진단된 학동기 소아 및 청소년 폐결핵의 임상양상과 접촉자 검진의 실태," Korean J Pediatr Infect Dis, Vol.21, No.3, pp.191-198, 2014. https://doi.org/10.14776/kjpid.2014.21.3.191
  14. 최영순, 태윤희, 김지윤, "우리나라 결핵 환자의 치료 장기화와 다약제 내성 결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1, No.3, pp.344-350, 2016. https://doi.org/10.21032/jhis.2016.41.3.344
  15. 김희진, 적극적 환자관리를 통한 민간 의료기관에서의 결핵 치료 성공률 향상에 대한 개입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이나영, 김경희, 강희선, "의료기관의 결핵 감염 관리 현황," 기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359-371, 2013. https://doi.org/10.7739/jkafn.2013.20.4.359
  17. G. S. de Araújo, S. M. Pereira, D. N. dos Santos, J. M. Marinho, L. C. Rodrigues, and M. L. Barreto, "Common Men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 A Matched Case-Control Study," Journals of plosone organization, Vol.9, No.6, pp.1-5, 2014.
  18. 이은규, 결핵관리사업체계 내 폐결핵 환자의 치료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9. 결핵 진료 지침 개정 위원회, 2017 결핵 진료지침(3판), 결핵 진료 지침 개정 위원회, 2017.
  20. 임승주, 이현주, "간호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결핵감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학회, 제18권, 제1호, pp.43-50, 2016.
  21. 황은정, 나백주, "보건소관리 결핵환자의 퇴록시 치료성공요인,"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제32권, 제3호, pp.125-138, 2007.
  22. 조경숙, 2017 결핵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2017.
  23. 차미숙, 고등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김수연, 채덕희, 소향숙, 유성희, "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결핵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4권, 제5호, pp.71-82, 2017.
  25. http://cdc.go.kr/, 2017.8.23.
  26. 윤진하, 이기현, 김성경, 오성수, 장세진, 박종구, 차봉석, 고상백, "일개 삼차 병원 간호사의 결핵 발생률에 관한 연구 : 후향적 코호트 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328, 2010.
  27. 유현숙, 소아 결핵에 대한 부모의 지식 및 태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8. 조경욱, 국내 한 대학병원 직원들에서 결핵의 발생률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9. 이종철, 이인숙, "한국과 중국 일도시 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2, pp.235-254, 2016.
  30. 정진옥, 김성수, 강미경, 조은희, 이은엽, 장철훈,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교 학생들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조사," Vol.65, No.5, pp.369-378, 2008.
  31. L. A. Hatzenbuehler, J. R. Starke, E. O. Smith, T. L. Turner, D. F. Balmer, Z. Arif, F. Guzman, and A. T. Cruz, "Increased adolescent knowledge and behavior following a one-time educational intervention about tuberculosi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100, No.5, pp.950-956, 2017. https://doi.org/10.1016/j.pec.2016.11.020
  32. 이춘희, 김미숙, 안이숙, 정미영, 서혜영, 최규영, 윤태화, 초중고등학교 결핵 예방 활동지 교사용 지도서, 대한결핵협회, 보건교사회, 2015.
  33. 이순영, 이충란, 양선희, 유정옥, 이향숙, 박용숙, 중고교 보건교사대상 결핵 예방 교육, 질병관리본부, 대한간호협회, 보건교사회, 2017.
  34. Hanan R. Atalla, Samira E. Aboalizm, and Hasnaa A. Shaban, "Effect of nursing guidelines compliance to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udent,"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 Science, Vol.5, No.1, pp.23-34, 2016.
  35. Thais Virginia Felicio Mussi, Maria Cristina Traldi, and Juliana Nery de Souza Talarico, "Knowledge as a factor in vulnerability to tuberculosis among nursing students and professionals," Rev Esc Enferm USP, Vol.46, No.3, pp.696-703, 2012. https://doi.org/10.1590/S0080-62342012000300023
  36. http://www.hrc.co.kr
  37. 유선욱, 신호창, 노형신, 조성은, "결핵에 대한 낙인과 발병 공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Vol.103, pp.214-262, 2014.
  38. 김춘배, 조희숙, 이정애,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폐결핵 환자의 환자역할행태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Korean J of Rural Med, Vol.28, No.1, pp.1-13, 2003.
  39. 진보영, 김신미, "비말감염 예방을 위한 대학생의 기침예절 지식과 이행수준," 기초간호자연과학회, Vol.17, No.4, pp.348-355, 2015.
  40. 김수정, 강지연 "응급실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2010.
  41. 성영희, 남혜경, "병원감염관리에 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직접건강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40-49, 2006.
  42. Division of Tuberculosis Elimination, National Center for HIV/AIDS, Viral Hepatitis, STD, and TB Prevention, 2013.
  43. http://denverpublichealth.org
  44. http://khna.or.kr/homecare/02_respi/tb08.php
  45. 김양기, 박재석, 강지영, 조대선, 은병욱, 조혜경, 김예진, "결핵은 무슨 병인가요?,"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질병관리본부, 2014.
  46. 김경미, 김희진, 남정모, 지선하, "초등학생의 결핵 예방 교육 후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한 지속성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9권, 제3호, pp.209-217, 2016.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