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Influence of V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Focusing on VR Presence, User Characteristics, and VR Sickness-

VR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R 프레즌스, 이용자 특성, VR 멀미를 중심으로-

  • 장형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 대학원 방송통신정책) ;
  • 김광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 대학원 방송통신정책)
  • Received : 2018.03.22
  • Accepted : 2018.05.15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s the subject of satisfaction and persistent use intention based on pres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VR). VR presence, user characteristic, and VR sickness, content satisfaction and system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intention through this of 569 men and women commissioned by the survey agency were investigated. In the content of the study, the constituent factors of VR presence,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set as realism, immersion, and interaction. The user characteristics were set as the individual 's propensity to innovate, the degree of immersion, and the experience of using VR. VR Presence, User Characteristics, VR Sickness of Intention of Continuous Usage were set as research problems and models. Eight hypotheses were adopted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roblem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ode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ntent satisfaction,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VR content satisfaction and persistent intention, is suggested.

본 연구는 가상현실(VR)을 주제로 이용자 관점에서 프레즌스를 기반으로 만족과 지속 이용 의도에 관한 주제로 접근하였다.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의뢰한 569명의 남녀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과 이를 매개로 한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에서는 독립변수인 VR 프레즌스의 구성 요인을 사실감이나 몰입감, 상호작용으로 설정 하였다. 이용자 특성은 개인의 혁신적 성향이나 몰입의 정도, VR 이용 경험으로 설정 하였다. VR 프레즌스와 이용자 특성 그리고 어지러움이나 시각적 피로도로 대표되는 VR 멀미가 콘텐츠 만족과 시스템 만족에 미치는 관계와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해 연구 문제와 모델을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SEM) 모델을 적용한 연구 문제의 해석으로는 8개의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에서 VR 콘텐츠의 만족을 높이는 요인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으로 작용하는 콘텐츠 만족이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핵심 시사점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진흥원,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전망, 2012.
  2. 정아름, VR에 주목하라, KISDI, 2016.
  3. 최창열, "제 4 차 산업혁명과 e-비즈니스 기업의 발전전략과 시사점,"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3호, pp.39-54, 2017.
  4. 박영근, 연광호, 전춘화, "IPTV 특성이 소비자 시청만족도와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0권, 제2호, pp.191-205, 2010.
  5. 정철호, 정덕화,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94-30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94
  6. 임소혜, 이영주,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99-1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099
  7. 양명자, " N-스크린 서비스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1호, pp.131-166, 2013.
  8. J. Fiske, British cultural studies and television, Channels of Discourse, Reassembled: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1987.
  9. Z. Papacharissi and A. M. Rubin,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75-196,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2
  10. I. Ang and D. Couling, Watching Dallas: Soap opera and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Psychology Press, 1985.
  11. 이옥기, 이인희, "HDTV의 사실성이 프레즌스 경험과 각성, 감동에 미치는 영향 실험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2호, pp.197-236, 2006.
  12. J. Lessiter, J. Freeman, E. Keogh, and J. Davidoff, "A cross-media presence questionnaire: The ITC-Sense of Presence Inventory,"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Vol.10, No.3, pp.282-297, 2001. https://doi.org/10.1162/105474601300343612
  13. 조은정, 권상희, 조병철, "3DTV 영상의 장르별 프레즌스 인식 특성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4호, pp.253-292, 2010.
  14. T. Kim and F. Biocca. "Telepresence via television: Two dimensions of telepresence may have different connections to memory and persuas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3, No.2, 1997.
  15. M. Slater, M. Usoh, and A. Steed, "Depth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Vol.3, No.2, 1994.
  16. A. M. Rubin, E. M. Perse, and R. A. Powell, "Loneliness, parasocial interaction, and local television news viewing,"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2, 1985.
  17. 김태용, "텔레프레즌스 경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2호, pp.111-142, 2003.
  18. B. G. Witmer and M. J. Singer, "Measuring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A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Vol.7, No.3, 1998.
  19. 권중문, 이상식, "프레즌스 (presence)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2호, pp.5-38, 2007.
  20. 김혜진, 김도연, "스마트폰 채택단계별 스마트폰 인식과 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382-405, 2011.
  21. 김광재, "DMB 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3호, pp.296-323, 2009.
  22. 임동진, "VR에 관한 사용자 관점의 이론과 실제," 정보화정책저널, 제24권, 제1호, pp.3-29, 2017.
  23. 노기영, "체감형 헬스게임에서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pp.15-29, 2012. https://doi.org/10.7583/JKGS.2012.12.2.015
  24. 권상희, "3D 입체영상의 휴먼팩터에 관한 근거 요인연구: 3D 영상 인식과 미디어, 콘텐츠의 중요도 측정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제15권, 제1호, pp.31-65, 2012.
  25. 김윤정, "VR 콘텐츠의 멀미유발요인 감소를 위한 연출법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2권, 제2호, pp.27-45, 2016.
  26. 황인성, 정문열, 장민선, "인터랙티브 TV 드라마와 수용자 간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4호, pp.44-87, 2004.
  27. 신호영, 김기수, "인터넷 포털사이트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pp.1-14, 2010.
  28. E. Zoller and J. Doran, The emerging service landscape and competitive environment, New dynamics in mobile TV and video, 2011.
  29. 최민수, 개인의 혁신성, 사회적 영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인이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