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o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sion among Female Low-wage Workers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박수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선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배종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18.03.02
  • Accepted : 2018.03.27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conflic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sion of female low-wage workers. Participants included 190 low-wage workers whose monthly salary was less than 2 million Korean won (approximately $1,9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sion. Second, job stress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sion, and family cohesion hav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mong the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policies and progra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to decrease work-family conflicts and job stress and to strengthen family cohesion to reduce the turnover of female low-wage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가족응집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월 임금 200만원 이하의 여성근로자 190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임금 여성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임금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응집력은 직장-가정갈등,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가정갈등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일-가정양립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강화, 가족응집력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8월 자료," 2017.
  2. 류정순, "세상읽기: 여성노동운동 복지권 확보에도 관심 가져야," 노동사회, 제85권, 단일호, pp.40-44, 2004.
  3. 정성미, 여성시간제근로자의 현황 및 특징, 한국노동연구원, 2010(12).
  4.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6, 보건복지부, pp. 256-300, 2016.
  5. 정영순, 어윤경, 최인선, "전일제와 시간제 기혼취업 여성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제39권, 제3호, pp.91-115, 2012.
  6. 장지연,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돌봄노동 사회화정책의 방향성: 여성 경력단절 실태를 통해 본 일.가정 양립과 저 출산 대안 모색 토론회 자료집, 한국여성노동자회, 2010.
  7. S. C. Wong and A. Ko, "Exploratory Study of Understanding Hotel Employees' Perceptions on Work-Life Balance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28, No.2, pp.195-203, 2009. https://doi.org/10.1016/j.ijhm.2008.07.001
  8. 신경아, "시간제 일자리에 관한 여성주의적 소고," 페미니즘 연구, 제13권, 제2호, pp.121-141, 2013.
  9. 이종민, 이진호, "항공사 기혼객실여승무원의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생활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연구," 관광경영연구, 제18권, 제3호, pp.227-247, 2014.
  10. 손태주, 제주기업의 가족친화제도 이용실태 및 활성화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7.
  11. 김경희,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디지털컨버전스 저널, 제15권, 제7호, pp.425-434, 2017.
  12. 유미애, 손윤정, "한국 병원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사회적지지, 직업 만족 및 조직 몰입의 관계," 한국간호기초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15-523, 2009.
  13. 강현아, 노충래, 박은미, 신혜령,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 와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회, 제60권, 제3호, pp.107-127, 2008.
  14. 최수찬, 이지선, 이은혜, "중소기업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WFC)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8호, pp.271-279, 2015.
  15. J. D. Quick, A. Henley, and J. C. Quick, "The Balancing Act-At Work and at Home," Organizational Dynamics, Vol.33, No.4, pp.426-438, 2004. https://doi.org/10.1016/j.orgdyn.2004.09.008
  16. 김경륜, 조가영, 한윤영, 김주영,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일 - 가정 양립과 주간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제53권, 제1호, pp.91-120, 2014.
  17. A. B. Burtler, J. G. Grzywacs, B. L. Bass, and K. D. Linney, "Extending the Demand-Control Model: A Daily Study of Job Characteristics,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Facili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8, No.0, pp.155-169, 2005. https://doi.org/10.1348/096317905X40097
  18. B. Cornwell, "Switching Dynamics and the stress Proces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76, No.2, pp.99-124, 2013. https://doi.org/10.1177/0190272513482133
  19. 이현주, "여행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탈진감과 직장-가정갈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 제27권, 제1호, pp.231-250, 2012.
  20. D. H. Olson, FACES III. :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5.
  21. 김유심, 곽지영, "빈곤여성가장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가족응집력이 우울에 미치는영향: 서울시 거주18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1권, 제1호, pp.161-179, 2010.
  22. 이진석, "긍정적 가족관계가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정-일 충실화 과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4권, 단일호, pp.195-217, 2017.
  23. 하헌국, "가족기능과 직무환경이 고객서비스 담당요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0권, 제23호, pp.96-114, 1997.
  24. G. Adams, L. A. King, and D. W. King, "Relationships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pp.411-420, 1996. https://doi.org/10.1037/0021-9010.81.4.411
  25. 하동현, 황성혜, "호텔 종사자의 서비스 회복에서 가족기능과 일-가족 영역의 갈등과의 관련성," 관광연구, 제21권, 제4호, pp.83-100, 2007.
  26. C. A. Thompson, L. L. Beauvais, and K. S. Lyness,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pp.392-415, 1999. https://doi.org/10.1006/jvbe.1998.1681
  27.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5년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 비교," 2016.
  28.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5, 보건복지부, 2015.
  29. 통계청,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2017.
  30. 박준식, 신경아, 김영범, 노광표, 여성 저임금 근로자 고용지위 향상 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1.
  3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8월 보도자료, 통계청, 2016.
  32. Jick and Mitz, "Sex differences in work str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0, pp.408-420, 1985. https://doi.org/10.5465/amr.1985.4278947
  33. 박홍주, 이은아,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 제20권, 제2호, pp.141-178, 2004.
  34. 박기남,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갈등연구: 연령계층별, 성 역할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5권, 제2호, pp.37-71, 2009.
  35. J. H. Greenhaus and N. Beutell,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0, pp.76-88, 1985. https://doi.org/10.5465/amr.1985.4277352
  36. G. L. Staines, "Spillover versus compens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nonwork," Human relations, Vol.33, No.2, pp.111-129, 1980. https://doi.org/10.1177/001872678003300203
  37. 최현정, 김영화, "전이이론에 입각한 일-가족 갈등과 서비스회복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3권, 제1호, pp.345-364, 2009.
  38. 이병재, 정태석,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1권, 제8호, pp.75-93, 2013.
  39. M. Veldhoven and S. E. Beijer, "Workload, work-to-family conflict, and health: Gender differences and the influence of private life context," Journal of Social Issues, Vol.68, No.4, pp.665-683, 2010. https://doi.org/10.1111/j.1540-4560.2012.01770.x
  40. 장재윤, 김혜숙, "직장-가정 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1호, pp.23-42, 2003.
  41. 김용흔, 이규만, "직장-가정 갈등의 영향요인과 생활만족간의 관계," 기업경영연구, 제39권, 단일호, pp.101-117, 2011.
  42. 강혜련, 최서연,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6권, 제1호, pp.23-42, 2001.
  43. S. L. Boyar, C. P. Maertz, and A. W. Pearson, "Work-Family Conflict: A Model of Linkages between Work and Family Domain Variables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15, No.2, pp.175-190, 2003.
  44. 나병진, 김은정,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장-가정의 매개 및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60-269,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60
  45. J. E. Oliver, A. Mansell, and P. E. Jose,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ole of Negative Affectivity on the Work Stressor Strain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Vol.17, No.1, pp.56-77, 2010. https://doi.org/10.1037/a0017696
  46. 최수찬, 이희종, 정선아, 이지선,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복리후생제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제27권, 제3호, pp.543-562, 2014.
  47. 김재엽, 최수찬, 정윤경, "직장-가정갈등과 스트레스가 남편의 아내폭력에 미치는 영향-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남편을 중심으로,"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21-135, 2008.
  48.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pp.203-225, 2005.
  49. 이영란, 박선남, 주민선, "아이돌보미 여성의 근무환경, 직업정체성,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62-70, 2016.
  50. 권중돈, 김동기, 김기수, 박수진, "노인의 가족응집력,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25, 2012.
  51. 이상문, "빈곤계층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3년간의 패널연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2권, 제3호, pp.119-146, 2008.
  52. 진유식, "사회복지사의 직무역할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9권, 단일호, pp.31-55, 2009.
  53.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관계가 관리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79-905, 2012.
  54.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97-317, 2005.
  55. D. Abrams, K. Ando, and S. Hinkle,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group: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subjective norms as predictors of workers' turnover intention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4, No.10, pp.1027-1039, 1998. https://doi.org/10.1177/01461672982410001
  56. M. E. M. Barak, A. Levin, J. A. Nissly, and C. J. Lane, "Why do they leave? Modeling child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28, No.5, pp.548-577, 2006.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05.06.003
  57. O. Hjemdal, O. Friborg, T. C. Stiles, J. H. Rosenvinge, and M. Martinussen, "Resilience predicting psychiatric symptoms: A prospective study of protective factors and their role in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Vol.13, No.3, pp.194-201, 년도삽입. https://doi.org/10.1002/cpp.488
  58. 정정희, 김지수, 김경희,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5-44, 2008.
  59. 최현정, 김영태, "일-가족 갈등 (WFC)의 다차원 척도가 서비스 회복 행동,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호텔 접객 직원을 대상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71-189, 2009.
  60. 손일락, "외식사업 비정규직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4권, 제6호, pp.181-195, 2015.
  61.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2013.
  62. 이형권,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63. 이선희, 김문석, 박수경, "가족친화적 경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가설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1권, 제3호, pp.383-410, 2008.
  64. 김효선, 차운아,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2권, 제4호, pp.515-540, 2009.
  65. 김경희,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7호, pp.425-434,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7.425
  66. 김영곤, 최일환, 강제상, "우리나라 직장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1권, 제4호, pp.19-41, 2017.
  67. R. J. Burke, "Some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J.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3, No.4, p.287, 1988.
  68. M. Watanabe and C. D. Falci,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to understanding faculty turnover intentions due to work-family balance," J. of Family Issues, Vol.37, No.3, pp.393-415, 2016. https://doi.org/10.1177/0192513X14530972
  69. 김성천, 탁진국,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5-44, 2008.
  70. 김영조, 이유진,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 관리연구, 제19권, pp.71-99, 2012.
  71. 백정원, 최정숙, "유자녀 보육교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41권, 단일호, pp.167-198, 2013.
  72. R. Batt and P. M. Valcour, "Human resources practices as predictors of work family outcomes and employee turnover,"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Vol.42, No.2, pp.189-220, 2003. https://doi.org/10.1111/1468-232X.00287
  73. 이요행, 방묘진, 오세진,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8권, 제3호, pp.639-657, 2005.
  74. 손태주, 제주기업의 가족친화제도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