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Teachers' Robot-based SW Education Acceptance in Primary School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의도와 영향 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 Received : 2018.03.29
  • Accepted : 2018.05.17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teachers' robot-based SW education acceptance in primary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ge, and experience. For this purpose, 171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sonal innovativeness had direct effects on attitude. Furthermore, attitude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sonal innovativeness and intention to use.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erience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sonal innovativeness and attitude were significant, but gender and age were not significant on all path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ccessful teaching practices, cases, and contents should be shared with teachers. Also, continuous supports and differentiated strategies based on experience are needed.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 성별, 연령, 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진행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로봇활용SW교육에 대해 느끼는 유용성, 용이성, 개인혁신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용성, 용이성, 개인혁신성은 태도를 매개로 활용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적 관계에서 경험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별, 연령은 용이성, 유용성, 태도, 개인혁신성, 수업활용의도 변인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 촉진을 위해 성공적인 수업사례, 활용사례, 콘텐츠를 공유하고 이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의 관련 경험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코딩 (Coding) 교육-미래를 준비하는 코딩교육," 사학, 제143권, pp.22-23, 2016.
  2. 김경현,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1호, pp.69-91, 2015.
  3. 교육부,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계획 발표 - 초.중등 SW교육 필수화 준비 및 학교 중심의 SW교육 추진 -, 교육부, 2015.
  4. 송정범, 조성환, 이태욱,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23-332, 2008.
  5. 황요한, 문공주, 박윤배,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스크래치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6권, 제2호, pp.325-335,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25
  6. 김형철, 고영민, 김한일, 김철민, "PSA 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1-13, 2015.
  7. L. Jorgen and T. Holgersson, "Does lego training stimulate pupils' ability to solve logical problems?," Computers & Education, Vol.49, No.4, pp.1097-1111, 2007. https://doi.org/10.1016/j.compedu.2005.12.008
  8. 김용민, 김종훈, "초등학교 여학생의 컴퓨팅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S/W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385-398,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385
  9. 이은경, 이영준,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제33권, 제2호, pp.120-136, 2009.
  10. 배영권, 남재원, "웹 2.0을 활용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468-47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468
  11. 김재웅, "열린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집단의 불순응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219-238, 2011.
  12.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 요인분석: 연구학교 교사와 학생인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강명희, 신은미, 유지원,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3호, pp.637-665, 2013.
  14. J. Piaget, The child's construction of reality, Routledge & Kegan Paul Limited, 1955.
  15. S. K. Reddy, "The Stalawarts: Jean Piaget," AP J Psychol Med, Vol.13, No.1, pp.50-51, 2012.
  16. 서순식, 배영권, 양유정, 고유하, 신승기, 장의덕, 최미애, 로봇 활용 SW교육 효과성 검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6-1, 2016.
  17. 정웅열,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동기 유발 및 지속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장윤호,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기반 교육용 로봇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채수풍, 전석주, "로봇을 활용한 STEAM 기반 프로그래밍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p.159-166,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59
  20. 박경재, 이수정, "두리틀과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619-626, 2010.
  21.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22.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227-251, 2011.
  23. 백상용, "조절변수 탐색을 위한 기술수용모형 메타분석," 경영학연구, 제38권, 제5호, pp.1353-1380, 2009.
  24.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982-1003,1989. https://doi.org/10.1287/mnsc.35.8.982
  25. S, Taylor and P.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144-176, 1995. https://doi.org/10.1287/isre.6.2.144
  26.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27. 박소영, "인터넷활용수업의 확산모형 탐색: 정보기술모형(TAM)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0권, 제3호, pp.3-17, 2004.
  28. 박성열, 남민우, "정보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생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8권, 제1호, pp.51-75, 2012.
  29. J. W. Moon and Y. G. Kim,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Vol.38, No.4, pp.217-230, 2001. https://doi.org/10.1016/S0378-7206(00)00061-6
  30. J. Lu, J. E. Yao, and C. S. Yu,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s and adopt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via mobile technology," Th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Vol.14, No.2, pp.245-268, 2005. https://doi.org/10.1016/j.jsis.2005.07.003
  31. 이종만,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417-42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417
  32. 백제은, 김경현,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35-45, 2017.
  33. R. Agarwal and J. Prasad, "Are individual differences germane to the acceptanc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Vol.30, No.2, pp.361-391, 1999. https://doi.org/10.1111/j.1540-5915.1999.tb01614.x
  34. E. M. Rogers, 김영석 역, 개혁의 확산,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35. C. A. Lin, "Explor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dyna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2, No.1, pp.95-112, 1998. https://doi.org/10.1080/08838159809364436
  36. 김영주, 이화진, "모바일 콘텐츠의 채택 요인과 잠재적 이용자 특성,"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6권, 제1호, pp.168-203, 2005.
  37. M. Law, R. Chi-Wai Kwok, and M. Ng, "An extended online purchase model for middle-aged online users,"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 Vol.20, pp.132-146, 2016. https://doi.org/10.1016/j.elerap.2016.10.005
  38. G. Tan, K. B. Ooi, S. C. Chong, and S. C. Hew, "NFC mobile credit card: The next frontier of mobile payment?,"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1, pp.292-307, 2014. https://doi.org/10.1016/j.tele.2013.06.002
  39. R. Thakur, "Customer adoption of mobile payment services by professionals acceptance model," Business Perspectives and Research, Vol.1, pp.17-29, 2013. https://doi.org/10.1177/2278533720130203
  40. 진명희, "유아 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측정 및 관련변인 탐색," 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51-67, 2001.
  41. A. V. Hausman and J. S. Siekpe, "The effect of web interface features on consumer online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2, No.1, pp.5-13, 2009.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1.018
  42. M. M. Tsang, S. C. Ho, and T. P. Liang,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8, No.3, pp.65-78, 2004.
  43. 김민정, "노인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이러닝 수용태도 및 수용의도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11권, 제1호, pp.217-239, 2015.
  44. 현은자, 윤현민,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수용성 및 수용의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639-65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639
  45. D. Bullock, "Moving from theory to practice: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that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 as they attempt to gain experience teaching with technology during field placement experience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2, No.2, pp.211-237, 2004.
  46. G. Kersaint, B. Horton, H. Stohl, and J. Garofalo, "Technology beliefs and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faculty,"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1, No.4, pp.549-577, 2003.
  47. 엄우용, 윤정의, "중등학교 수업과정에서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제11권, 제2호, pp.29-48, 2005.
  48. 이성일, 민세홍, "특수교사의 교수.학습 변수, ICT 활용태도, ICT 활용의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8권, 제3호, pp.341-363, 2012.
  49. 김미량, 조혜경, 한정혜, 한광현,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pp.427-449, 2009.
  50. 신승용, 김미량,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참여자의 학습의도 구조모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61-73, 2011.
  51. 오준석, 조혜경, "멀티모달 상호작용 중심의 로봇기반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r-러닝 시스템 사용의도 분석,"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619-624, 2014.
  52. 김수환, 한선관,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461-470,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4.461
  53. V. Venkatesh, J. Y. Thong, and X. Xu,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Vol.36, No.1, pp.157-178, 2012.
  54.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55.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서울, 2012.
  56. 김계수, Arnos 16.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서울, 2009.
  57.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13, pp.290-312, 1982. https://doi.org/10.2307/270723
  58. 김문조, 김종길, "정보격차 (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pp.123-155, 2002.
  59. N. Selwyn,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23, No.2, pp.83-94, 2007.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6.0020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