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코딩 (Coding) 교육-미래를 준비하는 코딩교육," 사학, 제143권, pp.22-23, 2016.
- 김경현,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1호, pp.69-91, 2015.
- 교육부,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기본계획 발표 - 초.중등 SW교육 필수화 준비 및 학교 중심의 SW교육 추진 -, 교육부, 2015.
- 송정범, 조성환, 이태욱,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23-332, 2008.
- 황요한, 문공주, 박윤배,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스크래치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6권, 제2호, pp.325-335,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25
- 김형철, 고영민, 김한일, 김철민, "PSA 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1-13, 2015.
- L. Jorgen and T. Holgersson, "Does lego training stimulate pupils' ability to solve logical problems?," Computers & Education, Vol.49, No.4, pp.1097-1111, 2007. https://doi.org/10.1016/j.compedu.2005.12.008
- 김용민, 김종훈, "초등학교 여학생의 컴퓨팅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S/W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385-398,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385
- 이은경, 이영준,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제33권, 제2호, pp.120-136, 2009.
- 배영권, 남재원, "웹 2.0을 활용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468-47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468
- 김재웅, "열린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집단의 불순응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219-238, 2011.
- 최미애, 디지털교과서 지속 활용을 위한 영향 요인분석: 연구학교 교사와 학생인식 조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강명희, 신은미, 유지원,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3호, pp.637-665, 2013.
- J. Piaget, The child's construction of reality, Routledge & Kegan Paul Limited, 1955.
- S. K. Reddy, "The Stalawarts: Jean Piaget," AP J Psychol Med, Vol.13, No.1, pp.50-51, 2012.
- 서순식, 배영권, 양유정, 고유하, 신승기, 장의덕, 최미애, 로봇 활용 SW교육 효과성 검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6-1, 2016.
- 정웅열,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동기 유발 및 지속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장윤호,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기반 교육용 로봇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채수풍, 전석주, "로봇을 활용한 STEAM 기반 프로그래밍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p.159-166,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59
- 박경재, 이수정, "두리틀과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619-626, 2010.
-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227-251, 2011.
- 백상용, "조절변수 탐색을 위한 기술수용모형 메타분석," 경영학연구, 제38권, 제5호, pp.1353-1380, 2009.
-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982-1003,1989. https://doi.org/10.1287/mnsc.35.8.982
- S, Taylor and P.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144-176, 1995. https://doi.org/10.1287/isre.6.2.144
-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 박소영, "인터넷활용수업의 확산모형 탐색: 정보기술모형(TAM)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0권, 제3호, pp.3-17, 2004.
- 박성열, 남민우, "정보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생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8권, 제1호, pp.51-75, 2012.
- J. W. Moon and Y. G. Kim,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Vol.38, No.4, pp.217-230, 2001. https://doi.org/10.1016/S0378-7206(00)00061-6
- J. Lu, J. E. Yao, and C. S. Yu,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s and adopt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via mobile technology," Th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Vol.14, No.2, pp.245-268, 2005. https://doi.org/10.1016/j.jsis.2005.07.003
- 이종만,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417-42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417
- 백제은, 김경현,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35-45, 2017.
- R. Agarwal and J. Prasad, "Are individual differences germane to the acceptanc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Vol.30, No.2, pp.361-391, 1999. https://doi.org/10.1111/j.1540-5915.1999.tb01614.x
- E. M. Rogers, 김영석 역, 개혁의 확산,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 C. A. Lin, "Explor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dyna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2, No.1, pp.95-112, 1998. https://doi.org/10.1080/08838159809364436
- 김영주, 이화진, "모바일 콘텐츠의 채택 요인과 잠재적 이용자 특성,"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6권, 제1호, pp.168-203, 2005.
- M. Law, R. Chi-Wai Kwok, and M. Ng, "An extended online purchase model for middle-aged online users,"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 Vol.20, pp.132-146, 2016. https://doi.org/10.1016/j.elerap.2016.10.005
- G. Tan, K. B. Ooi, S. C. Chong, and S. C. Hew, "NFC mobile credit card: The next frontier of mobile payment?,"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1, pp.292-307, 2014. https://doi.org/10.1016/j.tele.2013.06.002
- R. Thakur, "Customer adoption of mobile payment services by professionals acceptance model," Business Perspectives and Research, Vol.1, pp.17-29, 2013. https://doi.org/10.1177/2278533720130203
- 진명희, "유아 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측정 및 관련변인 탐색," 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51-67, 2001.
- A. V. Hausman and J. S. Siekpe, "The effect of web interface features on consumer online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2, No.1, pp.5-13, 2009.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1.018
- M. M. Tsang, S. C. Ho, and T. P. Liang,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8, No.3, pp.65-78, 2004.
- 김민정, "노인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이러닝 수용태도 및 수용의도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11권, 제1호, pp.217-239, 2015.
- 현은자, 윤현민,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수용성 및 수용의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639-65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639
- D. Bullock, "Moving from theory to practice: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that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 as they attempt to gain experience teaching with technology during field placement experience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2, No.2, pp.211-237, 2004.
- G. Kersaint, B. Horton, H. Stohl, and J. Garofalo, "Technology beliefs and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faculty,"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Vol.11, No.4, pp.549-577, 2003.
- 엄우용, 윤정의, "중등학교 수업과정에서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제11권, 제2호, pp.29-48, 2005.
- 이성일, 민세홍, "특수교사의 교수.학습 변수, ICT 활용태도, ICT 활용의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8권, 제3호, pp.341-363, 2012.
- 김미량, 조혜경, 한정혜, 한광현,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pp.427-449, 2009.
- 신승용, 김미량,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참여자의 학습의도 구조모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61-73, 2011.
- 오준석, 조혜경, "멀티모달 상호작용 중심의 로봇기반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r-러닝 시스템 사용의도 분석,"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619-624, 2014.
- 김수환, 한선관,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461-470, 201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4.461
- V. Venkatesh, J. Y. Thong, and X. Xu,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Vol.36, No.1, pp.157-178, 2012.
-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서울, 2012.
- 김계수, Arnos 16.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서울, 2009.
-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13, pp.290-312, 1982. https://doi.org/10.2307/270723
- 김문조, 김종길, "정보격차 (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pp.123-155, 2002.
- N. Selwyn,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23, No.2, pp.83-94, 2007.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6.0020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