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n Women's Space

여성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경향 분석

  • 이소연 (중앙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 김나영 (중앙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10.26
  • Accepted : 2018.12.2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Although women's status in society have been improving, the existing space for women's main activities is still perceived as limited in scop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domestic literature on women's space and discusses the space for women with intent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space associated with women. Articles on women's space were sub-classified in light of keywords, years of publication, sites, purposes, methods and journal categories, followed by network and frequency analyses.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a new orientation for further studies. The degree centrality was found high in such keywords as 'women's clinics', 'CPTED', 'women-friendly cities' and 'femininity'. In addition, there is a paucity of studies on women's space. Recent studies have diversified the scope of women's space. At the same time, macroscopic 'urban' approaches to women's space have lately been emerging. Finally, the focus group interview on women's space highlighted the needs to further studies about 'femininity, 'maternity', and 'gender equality' in space, and 'safe environment'.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되고 지위가 상승하고 있으나 기존의 공간은 아직도 여성들의 주요 활동 공간이 제한된 범위에 머물러 있다는 인식 안에 있다. 본 연구는 여성과 공간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과 토론을 통해 기존의 여성 공간 연구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선행 문헌을 키워드, 게재연도, 연구대상지, 연구목적, 연구방법, 학회지 분야의 유목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해 기존 공간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키워드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여성전문병원',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여성친화도시', '여성성'이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그동안의 여성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나, 최근 연구 공간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도시'적 관점에서 여성 공간에 접근하는 거시적이고 입체적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 공간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여성의 니즈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한 '여성성'과 '출산·양육'을 고려한 공간 연구와 '양성 평등 공간' 및 '안전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