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ype and Spread of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

  • Received : 2018.02.06
  • Accepted : 2018.04.09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and spread of framed structures of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showed in old architecture and documentary paintings of houses, which were well lik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can be divided or recognized in 4 type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s size and purlin's position. Three of those types were noted to be in Seoul. Second, the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begun from the awareness of their independence from one another. Each space was divided based on their functions. Therefore, it could be extended in various forms, not only in the square plan physique but also in many different forms. And allowed free plan configuration regardless of column layouts or size of structure. Third, 5 purlins and 3 purlins crossing structure were preferred in Han-yang,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related to the specific construction conditions of urban houses, such as the slope of land, limited land area, and economic power. Fourth, urban housing techniques were diffused throughout the country by officials who lived in Kae-gyeong and Han-yang at the end of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In other regions,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households decreased, but in some regions of Gyeongsang-province,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has maintained with Staggered purlin.

Keywords

References

  1. 近藤 豊, '韓國建築史圖錄', 東京: 思文閣, 1974
  2. 강영환, '새로 쓴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2002
  3. 국립한글박물관, '2015년 소장자료총서 2: 여러 여성들의 이야기, 열녀전', 2015
  4. 동월 저. 윤호진 옮김, '조선부', 까치, 1995
  5. 문화재관리국, '동궐국', 1991
  6. 문화재관리국, '중요민속자료지정조사보고서', 1996
  7. 문화재관리국, '1996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 1997
  8. 문화재청, '향단 실측조사보고서', 1999
  9. 문화재청, ''98년도 문화재수리보고서(상)', 2001
  10.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19: 해남 윤두서 가옥', 2007
  11. 문화재연구소, '양동 서백당 기록화보고서', 2008
  12. 문화재청, '가옥과 민속마을 3: 호남.제주지역', 2010
  13.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사업보고서 37', 2011
  14. 문화재청,'상주 양진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1
  15. 문화재청, '한국전통가옥기록화보고서', 2014
  16. 이기봉, '조선의 도시, 귄위와 상징의 공간', 새문사, 2014
  17. 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청진 12-16지구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I.II.III.IV', 2013
  18.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공평구역 1.2.4지구 발굴조사보고서: I.II.III', 2017
  19. 조성기 등 6인, '한국의 뜰집', 기문당, 2013
  20. 주남철, '개정판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21. 김버들.이종서, '조선시기 궁궐건축 꺾음부의 구조와 그 변화',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12
  22. 김버들.이종서, '조선전기 당(堂).실(室) 결합 건축의 가구특성 분석: 방형 평면의 맞배직교형 지붕 가구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26권 2호, 2017.4
  23. 김화봉.조성기, '안동문화권 '뜰집'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4권 11호, 1998.11
  24. 김화봉, '조선시대 안동문화권의 '뜰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25. 김화봉, '안동문화권 안동권씨 뜰집의 변천과정:安東權氏 僕射公派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25권 2호, 2016.4
  26. 김정현.전봉희, '조선시대 주택 꺾음부의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권, 2009.6.
  27. 류성룡, '조선전기(15-16세기) 주택건축의 특징과 변화 양상 연구: 엇도리 맞배지붕에서 맞춤도리 팔작지붕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권, 10호, 2012.10
  28. 박진기.조재모, '꺾음형 팔작지붕의 합각의장과 조정양상',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2권, 9호, 2009.9
  29. 박진기.조재모, '조선후기 경북부지방 'ㅁ'자형 꺾음부 온돌방 확장과 단면계획 양상',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3호, 2017.5
  30. 이종서, '朝鮮前期의 住居用 層樓 建築 傳統', 역사민속학 22호, 2006.6
  31. 이종서,'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防寒설비와 炊事도구',역사민속학 24호, 2007 참고)
  32. 이종서, '홍성 '노은리 고택'의 건축 시기와 가구(架構)의 원형 고찰', 건축역사연구, 25권 1호, 2016.2
  33. 이종서, '안동 '임청각(臨淸閣)'의 건축 이력과 원형 가구(架構) 추정: 사랑채와 안채를 중심으로', 건축역사 연구 25권 2호, 2016.4
  34. 전봉희, '해남 윤씨가의 주택 경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2권 11호, 1996.11
  35. 한진욱, '조선시대 주택의 꺾음부 지붕구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