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D. Fosha, D. Siegel, and M. Solomon, 감정의 치유력, [The Healing Power of Emotion], (노경선, 김건종 공역), 서울:눈출판사, 2012.
- A. Schor, Affect dysregulation and disorders of the self, New York: Norton, 2003.
- J. Rustin, 몸, 뇌, 마음, [Infant Research and Neuroscience at Work in Psychotherapy], (노경선, 최슬기 공역), 서울:눈출판사, 2016.
- S. Hart, Brain, attachment personality: An introduction to neuroaffective development, London:Karnac Books, 2008.
- 정미라, 권정윤, 강수경, "영아기 부모를 위한 뇌 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 모형 개발," 幼兒敎育硏究, Vol.36, No.2, pp.561-583, 2016.
- D. Hughes and J. Baylin, 두뇌에 기초한 양육:신경과학으로 풀어가는 건강한 양육, [Brain-Based Parenting: The Neuroscience of Caregiving for Healthy attachment], (김세영,신현정,윤미원,홍라나 공역), 학지사, 2017.
- 김성호,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2.
- 김동한, "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명상심리상담, 제7호, pp.267-308, 2012.
- 박형빈, "뇌신경과학과 Adler 단기치료(ABT) 기반의 상담 심리치료 프로그램," 초등도덕교육, 제4호, pp.179-214, 2015.
- 최승원, "뇌과학적 관점에서의 상담의 실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학술대회, 제1호, pp.1-8, 2010.
- 이인영, 집단미술치료가 섭식장애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용기, 안성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아동의 작업기억과제수행시 fMRI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54-8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54
- R. Pally, "Emotional processing: The mind-body connection," International J. of Psychoanalysis, 79, 1998a.
- J. Panksepp, Affective neuroscience: The foundations of human and animal emotion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 S. Lindaman, How Polyvagal Theory Helps Us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raplay, 7th International Theraplay Conference 자료집, 2016.
- 김은영, "감각처리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증거들," 신경재활치료과학, 제1권, 제1호, pp.5-16, 2012(1).
- S. Porgers, "The polyvagal theory: Phychogenetic substrates of a social nervous system," International J. of Psychophysiology, Vol.42, pp.123-146, 2001(a). https://doi.org/10.1016/S0167-8760(01)00162-3
- S. Porgers, "Making the World Safe for our Children: Down-regulating Defence and Up-regulating Social Engagement 'Optimise' the Human Experience, Children Australia, 2015.
- S. Porgers, The Polyvagal Theory:The transformative power of feeling safe, 7th International Theraplay Conference자료집, 2016.
- http://nrepp.samhsa.gov
- APA,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대표역자 권준수), 학지사, 2015.
- 왕희정, 정선아,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의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83-69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683
- 강현진, 장문영, 김경미,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9권, 제2호, pp.41-49, 2011.
- 공성숙, 폭식행동집단의 식이행위와 심리적 변인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안동현, "청소년기의 섭식장애," 대한의사협회 학술저널, 제39권, 제12호, pp.1506-1514, 1996.
- 이상선, 여대생의 식사 행동과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이상선, 오경자, "여대생의 식사행동과 심리적 요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pp.247-258, 1994.
- 한진화, 신경성 폭식증의 인지행동집단치료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김미진, 신경성 폭식증 여성의'몸 이미지'미술치료 활동 경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선현, 조영주,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임상미술 치료학연구, 제9권, 제2호, pp.27-38, 2014.
- 김남선, 이규은, "여대생의 섭식장애와 신체증상, 기분상태간의 상관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4권, 제3호, pp.388-401, 1998.
- 김민지, 김현택, "섭식 절제, 섭식 장애 위험 수준에 따른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주의편향과 뇌 활동 분석,"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17(2).
- F. Lapides, Neuroscienc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Amsterdam: Academic Press/Elsevier, 2010.
- 오숙현, 여대생의 섭식장애 행동과 부모와의 애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P. Booth and A. Jernberg, 치료놀이, [Theraplay(3rd)], (윤미원, 신현정, 전은희, 김윤경 공역), 학지사, 2011.
-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997.
- 조용환, 사회복지연구의 질적접근: 기초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질적 연구방법론 워크숍 자료집, 2012.
- K. Yin, 사례연구방법, [Case study and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신경식, 서아양 공역), 서울: 한경사, 2003.
- P. Ogden, C. Pain, K. Minton, and J. Fisher, "Including the body in mainstream psychotherapy for traumatized individuals,"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5.
- D. Siegel, The developing mind: Toward a neurobiology of interpersonal exper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1999.
- S. Geller and S. Porges, "Therapeutic Presenc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Mediating Feeling Safe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J.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2014.
- 서정민, 음악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템퍼 텐트럼 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A. Kestly, "Presence and play: Why mindfulness matters," International J. of Play Therapy, 제1호, pp.14-2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