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of the Elderly Movie -Focused on

노인영화의 환몽구조 연구-<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

  • 임정식 (백석대학교 연기예술학과)
  • Received : 2018.02.19
  • Accepted : 2018.03.23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is article sees the cor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movies, which have become active in the 2000s, as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And I analyze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of 'reality-dream-reality', which is centered on .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is a traditional form handed down from the Silla era, and it is well-known in "Gumoshinwha" and "Guunmong". In , the aspect of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is summarized as 1)the duality of person and space, 2)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unrealism. In this film, heroine is suffering from a disagreement with daughter-in-law, hospitalized in a nursing home. After heroine passed the world of dreams, becomes a new person. expresses the process of solving the conflict of the characters, realizing the hope, and the process of mental rebirth through a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The elderly movies accept the universality of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n aging society.

이 글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제작이 활발해진 노인영화의 핵심적인 특징을 환몽구조로 파악한다. 그리고 <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 '현실-꿈(비현실)-현실'의 환몽구조가 작품에 구현된 양상과 의미를 고전소설 "금오신화"와 비교해 살펴본다. <수상한 그녀>에서 환몽구조가 구현되는 양상은 1)인물과 공간의 이중성, 2)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넘나들기로 요약된다. 이 영화에서 며느리와의 불화, 요양원 입원 등으로 괴로워하던 70대 할머니 오말순은 20대 오두리로 변신했다가 오말순으로 돌아온다. 오말순은 20대 처녀라는 꿈(비현실)의 세계를 경험한 후 내면의 변화를 겪고, 새로운 인물로 거듭난다. 이때 꿈의 세계가 현실 세계안에서 펼쳐지는 점이 일반적인 판타지영화의 환몽구조와 다르다. <수상한 그녀>는 환몽구조를 통해 인물의 갈등 해소와 소망 실현, 정신적 재탄생의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치매 노인이 등장하는 <장수상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노인영화는 환몽구조의 보편성과 고령화 사회의 시대적 특수성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nsportalStats/-10&NUM=1014
  2. 마르크스, 엥겔스, 김영기 옮김, 문학예술론, 논장, 1989.
  3. 박진아, "환몽구조로 본 <조신전> 연구," 국학연구론총, 제6집, pp.247-276, 2010.
  4. 김시습, 김수연, 탁원정, 전진아 편역, 금오신화, 미다스북스, 2010.
  5. 강진옥, "변신설화에서의 '정체확인'과 그 의미," 진단학보, 제73호, pp.165-185, 1992.
  6. 강진옥, "변신설화에서의 '정체확인'과 그 의미," 진단학보, 제73호, pp.165-185, 1992.
  7. 윤경희, "<만복사저포기>의 환상성," 한국고전연구, 제4집, pp.235-257, 1998.
  8. 캐스린 흄, 한창엽 옮김,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9. 임정식, "영화 <괴물>의 통과제의 구조와 그 의미," 대중서사연구, 제22권, 제2호, pp.233-266, 2016.
  10. 시몬느 비에른느, 이재실 옮김,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996.
  11. 김지선, "동아시아 서사에서의 변신 모티프 연구 -한국과 중국의 서사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제25집, pp.153-175, 2003.
  12. 김선자, "중국 동물변신신화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제10권, pp.153-179,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