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with the Knowledg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투고 : 2018.02.13
  • 심사 : 2018.04.18
  • 발행 : 2018.04.28

초록

본 연구는 일부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간호전문직관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G도에 소재한 K대학교 간호학과와 K도에 소재한 K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 학생 총 3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K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은 3학년보다 4학년에게서(t=3.69, p<.001)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행자신감은 환자안전 및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교육유무를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간호전문직관과의 차이에서는 학년을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약한 순 상관관계(r=.148, p<.001)를 보였으며 수행자신감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는 중간정도의 상관관계(r=.456, p<.001)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임상실습에 대한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자안전에 대한 강화교육을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a target sample of nursing students.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students' knowledge regarding patient safe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 The subjects were 309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 K University located in G and K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5, 2017 to November 15,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0K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tudy results were that the senior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patient safety than did the junior students (t=3.69, p<.001). With the exceptions of two attributes, education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 all other characteristics were variables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confidence (p<.05). Moreover, all characteristics except for the school year were variables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professional value (p<.05). A weak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knowledge regarding patient safe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r=.148, p<.001). A moderat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erformance confidence (r=.456, p<.001). Reinforced education regarding patient safety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confidence for clinical practice.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제희, 송은솔, 최성은, 우경숙, 환자안전에 대한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2. 김재영, 황은애, 의료서비스 소비자안전 개선방안연구, 한국소비자원, 2014.
  3.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7년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7.
  4. 이재호, "환자안전과 의료표준," 대한의사협회지, 제54권, 제5호, pp.444-446, 2011. https://doi.org/10.5124/jkma.2011.54.5.444
  5. 최선주, 신규간호사를 위한 학습전이기반 환자안전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 A. A. Abbott, K. T. Fuji, K. A. Galt, and K. A. Paschal, "How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value an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cours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natioi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Nurse, Vol.2012, pp.1-7, 2012. http://dx.doi,org/10.5402/2012/401358
  7. M. M. Walton, T. Shaw, S. Barnet, and J. Ross, "Developing a nat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framework for Australia,"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5, No.6, pp.437-442, 2006. https://doi.org/10.1136/qshc.2006.019216
  8. 정연이, 백현지, 이순교, 최윤경, 환자안전사고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방안 보고서, 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
  9. 유하나, 이해영,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과리활동 측정도구에 대한 검증과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6권, 제6호, pp.3423-3436, 2014.
  10. 정현숙, 공정현, 전미양,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121-130,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6.121
  11. 정미현, "간호대학생의 혈액 및 체액 노출실태, 감염예방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 및 수행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316-32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316
  12. 이소진, 박주영, 조나리,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도,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4호, pp.347-358, 2017.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4.347
  13. M. Vaismoradi, M. Salsali, and P. Marck, "Patient safety: Nursing students'perspectives and the role of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safe ca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58, No.4, pp.434-442, 2011. https://doi.org/10.1111/j.1466-7657.2011.00882.x
  14. 손숙현, 박정숙,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및 안전관리 행위,"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1047-1053, 2017. http://dx.doi.org/10.13000/JFMSE.2017.29.4.1043
  15. 박정혜, 박명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5-14,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5
  16. 허성수, 강희영,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5458-5467, 2015.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458
  17. 박영례, "간호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자신감,"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29-436, 2007.
  18. 김나래,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 임파워먼트와 환자 안전문화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9. 최승혜, 이해영,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환자 안전관리 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84-192,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2.184
  20.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개발," 한국간호과학회지, 제35권, 제6호, pp.1091-1100, 2005.
  21. 한상숙, 김명희, 윤은경,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3-79,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73
  22. 함영림, 박미정, 이해영, "응급구조과 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환자안전관리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지, 제21권, 제1호, pp.75-85, 2017.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1.075
  23. R. Schnall, P. Stone, L. Currie, K. Desjardins, R. M. John, and S. Bakken,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fety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40, No.4, pp.391-394, 2008.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8.00256.x
  24. 이재호, 이상일, "환자안전의 개념과 접근 방법론," 한국의료QA학회지, 제15권, 제1호, pp.9-18, 2015.
  25. 박미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1호, pp.317-327,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1.317
  26. 고정은, 김미희, 김은진, 김혜지, 엄지은, 이행아, 장누리, 장동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일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간호학회지, 제45호, pp.29-44, 2011.
  27. 이광옥, 최현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6호, pp.68-77,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68
  28. 임경민, 조은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p.556-566, 2016.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556
  29. 장태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과,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0. 박병준, 박선정, 조하나,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화전문직관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20-22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7.220
  31. 방경숙, 채선미, 유주연, 송민경, 이지혜, "아동간호 임상프리셉터십 경험유무에 따른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실습만족도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96-404,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96
  32. 임경춘, 박미성, 신계영, "간호대학생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가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40-149, 2017. https://doi.org/10.5953/JMJH.2017.24.2.140
  33. M. Askarian, Z. A. Memish, and A. A. Khan, "Knowledge, practice, and attitude among Iraninan nurses, midwives and students regarding standard isolation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Hospital Epidemiology, Vol.28, No.2, pp.241-244, 2007. https://doi.org/10.1086/510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