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oretical Study on Urban Brand Formation Facto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도시브랜드 형성요인에 관한 개념연구 (도시브랜드 관련의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 권지혜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계획및교통공학과) ;
  • 박승훈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 Received : 2018.02.07
  • Accepted : 2018.03.27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In order to survive the competition, cities are trying to form an original city brand through attractive city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urban brand formation and to present the framework of the theoretical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factors of city brand formation by examining the precedent studies of city brand, and to suggest new urban brand conceptualization based on thi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city brand which are mentioned in 20 major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r strategy among the previous studies on urban bran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factors that form the city brand can be classified into 1) landscape factors, 2) administrative factors, 3)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4) cognitive factors, and 5) empirical factors. Based on these factors, it is possible to form an original city brand,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urban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도시들은 경쟁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매력적인 도시콘텐츠를 통해 독창적인 도시브랜드를 형성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브랜드 형성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이론적인 개념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도시브랜드 형성의 주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도시브랜드 개념화를 제시하는 연구이다. 도시브랜드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 중 평가기준 또는 전략에 대해 연구한 주요 선행연구 20개에서 언급된 도시브랜드 형성요인을 종합 및 분석하여 새로운 개념의 틀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브랜드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은 1)경관적 요인, 2)행정적 요인, 3)역사 문화적 요인, 4)인지적 요인, 5)경험적 요인으로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형성요인을 기반으로 독창적인 도시브랜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도시경쟁력 제고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office.kms.co.kr/mylovekbs
  2. 이희복, 신명희, "주요 도시 브랜드슬로건의 개성 요인 분석:서울과 광역시.도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6권, 제2호, pp.289-315, 2015.
  3. 이수태, 임정은, "도시브랜드 디자인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브랜드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6권, 제1호, pp.51-62, 2008.
  4. 변재상, "국내 도시 이미지 전략 및 브랜드 슬로건의 경향 분석," 국토계획, 제44권, 제6호, pp.105-121, 2009.
  5. 이준호, "도시이미지 형성요인에 의한 도시브랜드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0권, 제2호, pp.43-54, 2012.
  6. 권재경, 최원수, "도시이미지 유형에 따른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제10권, 제4호, pp.15-26, 2012.
  7. 박혜영, 김상수, "도시 비전과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드 활용방안 연구 -경기도 포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2호, pp.53-66, 2015.
  8. Michalis Kavaratzis, "From city marketing to city branding: Toward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city brands," Place Branding, Vol.1, No.1, pp.58-73, 2004. https://doi.org/10.1057/palgrave.pb.5990005
  9. Simon Anholt, "The Anholt-GMI City Brands Index How the world sees the world's cities," Place Branding, Vol.2, No.1, pp.18-31, 2006. https://doi.org/10.1057/palgrave.pb.5990042
  10. Reeman Mohammed Rehan, "Urban branding as an effective sustainability tool in urban development," HBRC Journal, Vol.10, No.2, pp.222-230, 2014. https://doi.org/10.1016/j.hbrcj.2013.11.007
  11. 주치수, 임지선,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도시 브랜드 디자인 연구 -서울 브랜드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3권, 제2호, pp.61-85, 2005.
  12. Maja Konecnik Ruzzier and Leslie de Chernatony, "Developing and applying a place brand identity model: The case of Sloveni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6, No.1, pp.45-52, 2013. https://doi.org/10.1016/j.jbusres.2012.05.023
  13. Mihalis Kavaratzis, "Cities and their brands: Lessons from corporate branding,"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Vol.5, No.1, pp.26-37, 2009. https://doi.org/10.1057/pb.2008.3
  14. Bill Merrilees, Dale Miller, and Carmel Herington, "City branding: A facilitating framework for stressed satellite cit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6, No.1, pp.37-44, 2013. https://doi.org/10.1016/j.jbusres.2011.07.021
  15. 황태규, 송철호, "도시브랜드 구성요소가 도시브랜드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학회지, 제17권, pp.131-153, 2010.
  16. 박정아, "도시이미지와 도시 관광의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지, 제25권, 제5호, pp.231-248, 2010.
  17. 김형보, 윤상복, 윤항묵, "도시의 정체성 향상을 위한 도시이미지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9권, 제6호, pp.3065-3076, 2007.
  18. 오주연, "도시브랜드 이미지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1호, pp.182-217, 2012.
  19. H. Efe Sevin, "Understanding cities through city brands: City branding as a social and semantic network," Cities, Vol.38, pp.47-56, 2014. https://doi.org/10.1016/j.cities.2014.01.003
  20. 윤지영, "부산시 도시브랜드전략에 관한 탐색적 고찰,"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0권, 제4호, pp.91-104, 2012.
  21. 이상훈, 박성현, "부산과 울산의 브랜드자산 구축을 위한 도시브랜드 개성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1호, pp.201-227, 2011.
  22. 서용모, 천명환, 김형준, "도시 정체성을 통한 도시마케팅 전략 도출 : 근대역사물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297-30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297
  23. 임경수, 한종길,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역 브랜드개발전략," 도시 행정 학보, 제16권, 제3호, pp.95-11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