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김성미 (가툴릭대학교 상당심리대학원) ;
  • 이수림 (가툴릭대학교 상당심리대학원)
  • Received : 2018.01.31
  • Accepted : 2018.02.28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pouse's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300 adults who were marri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bjected to covert narcissism, marital satisfac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followed. First, perceived spouse's covert narcissism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ereas 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ut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econd,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spouse's covert narcissism of on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각된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기혼자 30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결혼만족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의 경우 결혼만족도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결혼만족도의 경우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지각된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 M. Twenge and W. K. Campbell, The narcissism epidemic: Living in the age of entitlement, New York: Free Press, 2010.
  2. 권석만, 한수정,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2000.
  3. P. Wink, "Two faces of narcissism,"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4, pp.590-597,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4.590
  4. 강연우,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 김소연,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J. Briere, Inventory of altered self-capacities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orid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000.
  7. 신혜인,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정서경험특성과 정서조절방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R. C. Martin and E. R. Dahl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on of j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9, No.7, pp.1249-1260, 2005. https://doi.org/10.1016/j.paid.2005.06.004
  9. M. Mikolajczak, D. Nelis, M. Hansenne, and J. Quoidbach, "If you can regulate sadness, you can probably regulate shame: Associations between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gulation and coping efficiency across discrete emo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4, No.6, pp.1356-1368, 2008. https://doi.org/10.1016/j.paid.2007.12.004
  10. C. C. Wagner, D. J. Kiesler, and J. A. Schmidt, "Assessing the interpersonal transaction cycle : convergence of action and reaction interpersonal circumplex measure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No.5, pp.938-949,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9.5.938
  11. 함경애, 이은혜, 박명숙, 천성문, "교사의 자기애적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615-3631, 2013.
  12. 최민경, 김종남,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문제 사이에서 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5권, 제4호, pp.747-763, 2010.
  13. 박성애,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강선영, 홍혜영, "직장인의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통합치료연구, 제4권, 제1호, pp.25-31, 2012.
  15. 배미정, 조한익, "내현적 자기애 성향, 자존감,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련성 연구," 상담학연구, 제15권, 제6호, pp.2417-2435, 2014.
  16. 홍서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73-95, 2014.
  17. 이진숙, 현명호,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161-181, 2012.
  18.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773-1794, 2013.
  19. R. S. Lazarus,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4, pp.1-21, 1993 https://doi.org/10.1146/annurev.ps.44.020193.000245
  20. J. J. Gross,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Vol.39, No.3, pp.281-291, 2002. https://doi.org/10.1017/S0048577201393198
  21. 이서정, 현명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4호, pp.887-905, 2008.
  22.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장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심리학회: 임상, 제24권, 제2호, pp.255-266, 2005.
  23. C. C. Morf and F. Rhodewalt, "Narcissism and self-evaluation maintenance: Explorations in object relation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19, No.6, pp.668-676, 1993. https://doi.org/10.1177/0146167293196001
  24. L. Carroll, N. Hoenigmann-Stoval, and G. I. Whitehead III, "Interpersonal consequences of narcissism," Psychological Reports, Vol.79, pp.1267-1272, 1996. https://doi.org/10.2466/pr0.1996.79.3f.1267
  25. S. B. Robbins and P. Dupont, "Narcissistic needs of the self and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behaviour,"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9, No.4, pp.462-467, 1992. https://doi.org/10.1037/0022-0167.39.4.462
  26.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8권, 제1호, pp.123-139, 1999.
  27. J. L. Hawkins, "Association between compan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0, pp.647-648, 1968. https://doi.org/10.2307/349510
  28. F. P. Rice, Marriage and Parenthood. Boston: Allyn and Bacon, 1979.
  29. 김희진, "한국 부부의 결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pp.839-853, 2004.
  30. E. L. Kelly and J. J. Conley, "Personality and compatibility: A prospective analysis of martial stab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1, pp.27-40,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1.27
  31. 김우정, 기혼자들의 자기애성향, 공감, 자존감 및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2. 강은정, 장성숙, "자기애와 내현적 대인반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913-932, 2007.
  33. 이성미, 자기애 성향자의 배우자 평가와 결혼 만족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4. N. H. Frijda, The emotions: Studies in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5. D. Western,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affect regulation: Applications to social-psychological reseaarch," J. of Personality, Vol.62, pp.641-667, 1994.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4.tb00312.x
  36. J. J. Gross,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2, No.3, pp.271-299, 1998. https://doi.org/10.1037/1089-2680.2.3.271
  37.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13-6
  38. 이세연, 유미숙, "청소년의 자기애 및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7호, pp.101-128, 2010.
  39. 강문선, 이영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내면화된 수치심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5호, pp.1545-1560, 2011.
  40. M. Mikolajczak, C. Menil, and O. Luminet, "Explaining the protective effort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Exploration of emotional labour processes," J.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41, pp.1107-1117, 2007. https://doi.org/10.1016/j.jrp.2007.01.003
  41. 김두길, 유영달,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77-19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177
  42.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69-990, 2002.
  43. 진흥신, "초등학생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 (CPSQ)에 의한 정서.행동문제 특성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9권, 제4호, 2013.
  44.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5. R. M. Bo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6.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 issues and applications(pp.56-75), Newbury Park, CA:Sage, 1995.
  47. 박근아,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8. N. Garnefski, J. Teerds, V. Kraaij, J. Legerstee, and T. van den Komm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6, No.2, pp.267-276, 2004. https://doi.org/10.1016/S0191-8869(03)00083-7
  49.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서울: 학지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