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10대 여중생(n=126) 대상으로 그들의 화장품관심도가 구매행태, 정보화수준을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구매만족도와 연계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을 토대로 3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중생들은 초등학교시절부터 화장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교육이 초등학교때 부터 요청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화장품사용에 대한 올바른 조기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행태는 화장품구매만족도와 정(+)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화장품구매만족에는 '화장품구매행태' 변수가 '화장품관심도' 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화장품구매행태' 변수는 구매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화장품범주(관심도, 구매행태, 정보화수준, 구매만족도)에 대하여 학년별 평균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중생들의 화장품구매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화장품구매행태에 대하여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향후 지역범위와 연령대를 확대한 추가적 연구가 지속되기를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cosmetic interest of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n=126) is related to purchase satisfaction by using purchase behavior and informatization level as control variable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three hypotheses were set and statistical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used cosmetics from elementary school and cosmetics education was requested from elementary school. Therefore proper early education on cosmetic use is needed. Second, the degree of interest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urchase satisfaction of cosmetics. Thir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was found to have a mor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than the cosmetics interest. Especially, 'cosmetics purchase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among the grades about cosmetics category(cosmetic interest, purchase behavior, informatization level, purchase satisfaction). This study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which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osmetics purchasing among middle school girls, and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tinued to expand the range and ag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