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how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Changed in Movement Instruction Under the Guidance of an Expert Professor

우수교수의 동작수업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지식변화와 수업의 특성 탐색

  • 김선형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곽은순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8.02.13
  • Accepted : 2018.04.04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how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changed in the field of movement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 they perceived during a 15-week course. Methods: The drawing of concept map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discuss how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chang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terrelated concepts in a more systematic way, and the concepts they used were increased while master concepts were decreased, indicating that their knowledge changed in a far more hierarchical order after the class.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that led to a change in their knowledge appeared under the proper guidance of a professor. This was well demonstrated by feedback and evaluation at the stage of planning instruction and simulation teach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oper guidance of a professor was a useful tool for foste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in regard to constructing knowledge in movement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곽은순 (2010). 우수경력교사의 유치원활동 특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257-281.
  2. 곽은순 (2015).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261-283.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8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권은주, 최윤정 (2010).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분석. 유아교육연구, 30(2), 57-82. doi: 10.18023/kjece.2010.30.2.003.
  5. 권혜진 (2013). 마이크로티칭 분석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반성 및 자기평가: 유아동작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4, 77-79.
  6. 김성재, 황지애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동작교육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301-330.
  7. 김은심, 박수미 (2003).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 형성에 미치는 동작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2), 295-314.
  8. 김은심, 최혜진 (2005). 유치원 교사의 대학(교)에서의 동작교육 수강 만족도와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251-271.
  9. 김자영 (2003). 초등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6(1), 141-159.
  10. 김재희 (2013).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 신념형성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은혜 (200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12.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2007).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13. 유난숙 (2009). 가정교과 교육학 지식(H-PCK)에 관한 가정과 교사의 반성적성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정아 (1998).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윤현숙 (2012). 유아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과 동작교육 교육실제와의 관계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1), 255-274.
  16. 이경실, 강재희 (2006). 유아동작교육 내용에 대한 현직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유아체육학회지, 7, 109-127.
  17. 이경희, 김태운 (2005).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동작교육 실태 분석연구. 교사교육연구, 44, 1-15.
  18. 이영순, 곽은순 (2017). 유치원 교사의 동작활동에서 나타난 내용지식의 특성 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77-303. doi:10.22155/JFECE.24.3.277.303.
  19. 이지현 (2009).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 연구. 교육과학연구, 40(1), 1-33.
  20. 이효숙 (2009). 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동작 교육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차이. 육아지원연구, 4(2), 141-158. doi: 10.16978/ecec.2009.4.2.007
  21. 임부연, 김영연, 박향원 (2008). 유아동작교육 수업사례를 통하여 본 예비 유아교사의 '몸'에 대 한 인식 연구: Merleau-Ponty의 몸-담론에 근거하여. 어린이미디어연구, 7(2), 37-56.
  22. 전재식, 김미란, 민주홍 (2011).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 교육-노동시장 생애 경로조사 보고서 3.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지성애, 오세경 (2012). 유아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1), 5-30.
  24. 홍병선 (2012). 대학교육의 현실과 사회적 요구. 교양교육연구, 6(2), 269-291.
  25.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4). 유아교사의 행복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doi:10.14698/jkcce.2014.10.1.059.
  26.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27. Glesne, C. (2008).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질적 연구자 되기(안혜준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판2006).
  28. Mergendoller, J. R. & Sacks, C. H. (1994).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heoretical orientations toward reading and their concept map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0(6), 589-599. doi:10.1016/0742-051X(94)90028-0.
  29. Munby, H., Russell, T. & Martin, A. K. (2001). Teachers' knowledge and how it develops. In V. Richard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4th. ed.)(pp.877-904).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30. Novak, J.D. & Gowin, D.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1139173469
  31. Rovegno, I. (1993). Content knowledge acquisition during undergraduate teacher education: Overcoming cultural templates and learning through practi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3), 611-642. doi:10.3102/00028312030003611.
  32. Shim, H. S. & Roth, G. L. (2007). Sharing tacit knowledge among expert teaching professors and mentees: Considerations for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teacher educators.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4(4), 5-28.
  33. Sevimli-Celik, S. & Johnson, J. E. (2016). Teacher preparation for movement education: Increasing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for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3), 274-288. doi:10.1080/1359866X.2015.1079303.
  34. Strauss, A. & J. Corbin.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CA: Sage Publications.
  35. Zimmer, R. (2010). Handbuch der Bewegungerziehung, 움직임교육의 이해 (김경숙, 주성숙, 김도연, 최지연 옮김). 서울: 대한미디어(원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