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rough the Process for a case of Visually Impaired Person in Rural Area

농촌거주 시각장애인의 주택개조사례 과정을 통해 본 맞춤형 개조 방향도출연구

  • 이연숙 (연세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 안소미 (백석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전공) ;
  • 김민주 (연세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 현지원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7.12.21
  • Accepted : 2018.04.10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and expansion of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them,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how high adaptation to environments in comparison to peopl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thus a large percentage of them live in their own houses rather than residing in a c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housing statu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ratio of their residence in rural areas is high. In rural areas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often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s, requiring much improvement. However, such improvement is too costly for them to pay, and home modification that does not fully consider the user, may cause less efficiency and another dangerous situ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empirical lessons for direction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analysis of process of home modification including the execution as a intervention. This study used qualitative method to examine and analyzed the entir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roc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ome modification measures should be derived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the target building for the specific condition of residents. Second, discussions with various stakeholders from the early stage during which proper home modification measure is searched are essential for realizing appropriat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mpirical data that could reduce trials and errors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국회입법조사처, 장애인거주시설 소규모화 정책의 개선방안, NARS 현안보고서 제303호, 2017
  2. 남서울은혜교회 장애우위원회, 이준우, 통합 그 아름다운 도전, 서현사, 2008
  3. 이경림,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이해와 실제, 서현사, 2008
  4. 국토연구원, 농촌거주 장애인의 주거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2011
  5. 국토해양부, 한국 선설 교통기술평가원,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생활시설 개선연구, 2010
  6. 보건복지부,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거 모형 개발, 2015
  7. 보건복지부, 장애인 편의시설 상세표준도, 1998
  8. 보건복지부, 2014 장애인 복지시설 일람표, 2014
  9. 서울특별시, 2016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매뉴얼, 2016
  10. 장애인편의시설 촉진시민연대, 지체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매뉴얼, 2000
  11.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장애인 주거환경개선 매뉴얼 : I.지체 장애, 2000
  12.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장애인 주거환경개선 매뉴얼 : II.시각 장애, 2000
  13.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장애인 주거환경개선 매뉴얼 : III.청각 장애, 2000
  14. 한국장애인개발원, 농.어촌 장애인 주거환경개선 기술 매뉴얼, 2008
  15.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 주거지원 방안 연구, 2010
  16. 한국장애인개발원, 베리어프리 주거매뉴얼, 2011
  17.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서울특별시지부, 시각장애란, 2015.5
  18. 강미나, 김진범, 이현지, 김태환, 김현진, 주현태, 서종균, 장애인 주거실태와 주거정책 연구, 국토연구원, 2010
  19. 김근용, 강이나, 장애인 주거실태와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개원 32주년 기념세미나, 국토연구원, 2010
  20. 김민경, 금요찬, 박용환, 주거공간계획을 위한 시각장애인의 행위에 따른 동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호, 2권, 2006
  21. 김보애, 이연숙, 국내 기존 장애인주택 가이드라인 구성체계 분석, 한국 디자인 트렌드학회논문집, 제46권, 1호, 2015
  22. 김상운, 강병근, 성기창, 박광재, 윤영삼, 정은영, 시각장애인 주택의 실태 및 요구도 분석에 관한 연구, 의료.복지 건축(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5권, 1호, 2009
  23. 김정희, 장애인 주거지원 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24. 김혜원, 천진희, 김우중, 시각 장애인의 접근성, 이동성 및 안전성 증진을 위한 실내 환경의 사인 및 색채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8권, 2001
  25. 김효관, 최영규, 시각장애인 보행안전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집, 제9권, 4호, 2016
  26. 박금영, 한규영,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지체장애인 주거 개조 실태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1 호, 2007
  27. 성기창, 강병근, 시각장애자를 고려한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제8권, 1호, 1988
  28. 안성준, 김상운, 강병근, 후천적장애인의 주거개조 방향에 관한 연구:휠체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2호, 2005
  29. 양승호, 송지원,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8(1), 2009
  30. 이선우,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주거복지수준 비교: 최저 주거기준과 주거비부담능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2권, 2호, 2010
  31. 이진희, 신병석, 카메라와 거리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실내 보행안내 시스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2011
  32. 이상진, 정의철, 장애유형별 주택소비 특성에 관한 실증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21권, 3호, 2011
  33. 이석현,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내 공공사인색채의 시각 인지성 평가,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30권, 1호, 2016
  34. 이연숙, 박지영, 이동주, 장애인 맞춤형 주택 계획 관점에서 본 농촌지역 지체장애인 주거특성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4권, 6호, 2015
  35. 이연숙, 임예지, 김현정, 안창헌, 저소득층 고령자를 위한 주택 개조 가이드라인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3호, 2015
  36. 이익섭, 박수경, 곽지영,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제54권, 2003
  37. 이희봉, 장은희, 장애인 주거복지시설 계획을 위한 심층 현장연구:기숙사형의 세면, 목욕, 위생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8호, 2003
  38. 차지언, 김민경, 박용환, 장애인 및 노인주거의 접근성과 이용성에 관한 국내외 건축기준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3권, 6호, 2007
  39. R Hamer, House Hunting for All: Opening up Property Search Systems to Disabled People, Edinburgh: Ownership Options in Scotla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