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thematics Teachers' Use of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Developing Material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Enhancing Employ Ability

특성화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교육과정 활용 방안: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Received : 2018.02.11
  • Accepted : 2018.03.19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n vocational high schools, mathematics classes aims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s-applying ability as the employ ability. However, these classes ar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likewise general high schools. In this study, we develop and present the material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We analyze the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TEENUP) a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consider how teachers can use this curriculum to enhance employ ability. As a result, material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should be developed in terms of use of curriculum based on teachers' didactical understanding. Moreover, we present the developed materials as examples reflecting on the framework of TEENUP and connect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draw some recommendations for applying and developing material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특성화고등학교의 수학 수업은 일반계고등학교와 달리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수리활용 능력의 함양을 지향하고 있으나 일반계고등학교와 동일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수학 수업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 실제 개발 결과를 사례로서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업성취도평가 대신 실시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의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활용할 수학 교수-학습 자료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에 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어야 하며, 직업기초능력평가의 평가틀 활용 및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강화 등 개발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주요 시사점 및 이를 반영한 개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수학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과 개발에 대한 제언을 각각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이광연, 박대원, 박윤주, 정승호, 지영명, 탁병주(2017a). 직업기초능력(수리활용) 향상을 위한 교사지도안 개발 연구. 연구보고, 대한상공회의소, 서울.
  2. 강현영, 이광연, 박대원, 박윤주, 정승호, 지영명, 탁병주(2017b). 직업기초능력(수리활용)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3.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4. 김은주(2012). 직업기초능력의 수리활용에 대한 학습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원.
  5. 노국향, 신재은, 이명규, 윤수철, 정연재(2012). 직업기초능력평가 평가틀. 서울: ORP Press.
  6. 노국향, 최인화(2015). NCS 능력 중심 채용을 위한 직업기초능력평가 길라잡이. 서울: 한국경제신문.
  7. 대한상공회의소(2017). 직업기초능력평가 문항해설서: 수리활용.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8. 박경미 외 43인(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연구보고,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
  9. 박정배(2009). 직업기초능력 관점에서 본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인천.
  10.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1. 이근범(2017). 수학 교사의 과제 변형 및 적용을 통한 조건부확률 오개념 교정.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2. 이승희(2008).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13. 이종혁(2017). 직업기초능력평가 수리활용 영역의 지도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14. 이승희(2008).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15. 임소라(2012). 특성화고등학교 수학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인천.
  16. 장명희, 김선태, 박윤희, 최동선(201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전문계고 교육과정 개선방향 탐색. 연구보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
  17. 정광우(2011). 특성화 고둥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 평가의 수리활용능력을 위한 교재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18.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연구보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
  19. 주인중, 박동열, 진미석(2010).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연구보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
  20. 최승현, 황혜정, 남금천(201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과 진단평가 및 보정학습 자료 개발 연구: '변화와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09-434.
  21. 최승현, 류현아, 남금천(2013).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655-674.
  22. 한혜숙, 주홍연(2015). 수학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김진호, 권나영(편.). 수학교사 지식. (pp. 67-88). 서울: 경문사.
  23. 함남우, 윤덕한, 김완일(2017). 직업기초능력평가(수리활용)와 학교교육 연계방안 연구. 연구보고, 대한상공회의소, 서울.
  24.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4554
  25.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372-400.
  26. Lee, K. H., Lee, E., & Park, M. (2016). Task modific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by Korea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dagogical Research, 1(2), 54.
  27. Lloyd, G. M., Remillard, J. T., & Herbel-Eisenmann, B. A. (2009). Teachers'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n emerging field. In J. T. Remillard, B. A. Herbel-Eisenmann, & G. M. Lloyd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3-14). New York: Routledge.
  28. Lobato, J., Ellis, A. B., Charles, R. I., & Zbiek, R. M. (2016). 비, 비례, 비례추론의 필수 이해 (박정숙,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역). 서울: 교우사. (원서출판 2010년).
  29. McClain, K., Zhao, Q., Visnovska, J., & Bowen, E. (2009).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ext. In J. T. Remillard, B. A. Herbel-Eisenmann, & G. M. Lloyd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pp. 56-69). New York: Routledge.
  3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31. Son, J. W., & Kim, O. K. (2015). Teachers' selection and enactment of mathematical problems from textbook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7(4), 491-518. https://doi.org/10.1007/s13394-015-0148-9
  32. Sullivan, P., Askew, M., Cheeseman, J., Clarke, D., Mornane, A., Roche, A., & Walker, N. (2015). Supporting teachers in structuring mathematics lessons involving challenging task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8(2), 123-140. https://doi.org/10.1007/s10857-014-9279-2
  33. Sullivan, P., Clarke, D., & Clarke, B. (2016). 수학 수업 이야기: 수학, 과제, 학습의 삼중주 (이경화, 김동원 역).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