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generation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and Japan: A comparative study using the EASS2006

남편 부모 및 부인 부모와의 지원 양상의 특징과 기혼 자녀의 결혼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EASS*2006 데이터를 이용한 한일 비교-

  • Lee, Su-Jin (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Hirosaki)
  • 이수진 (히로사키대학 교육학부)
  • Received : 2017.12.01
  • Accepted : 2018.02.20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provided by husbands and wives to their parents and vice versa on marital satisfaction of grown-up children. The study consisted of 229 married men and 319 married women in Korea and 220 married men and 249 married women in Japan. EASS2006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Among Korean 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frequently offered financial support to their own parents and their spouse's parents. Among Korean fe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offered daily support to their own parents. Among males and fe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frequently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husband's parents. In the case of Japanese 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no provided daily support to their own parents and to their spouse's parents.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2).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과 경제자원이전: 20-40대 기혼여성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19.
  2.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3. 김영순.고선강(2014). 중년기 부모와 기혼 자녀간 상호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도구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43-162.
  4. 김정석.김익기(2000). 세대 간 지원 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5. 김정석.조윤주(2012). 일본 기혼 여성들과 친정부모간의 세대관계: 동거여부 및 대화 빈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5(2), 55-72.
  6. 김정석.최형주(2011). 노년부부가구 남편과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 한국인구학, 34(2), 1-15.
  7. 김주희(2009). 결혼 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외동딸에 대한 사례연구. 가족과 문화, 21(4), 95-118.
  8. 윤숙현(2003).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 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3(3), 15-28.
  9. 윤원아(2010). 배우자 간 의사결정력에 따른 노부모로의 시간 자원 이전. 대한가정 학회지, 48(4), 83-102.
  10. 이주리(2012). 부모의 수용-거부가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효과 모델(APIM)의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11. https://doi.org/10.7466/JKHMA.2012.30.4.001
  11. 임효연(2009). 일본 대도시 독거 노인의 자녀와 의 지원 교환 형태에 따른 생활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7(5), 59-66.
  12. 전세송.김수경(2011). 장모-사위 간 관계 변인이 사위의 관계 만족도 및 부정적 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7), 123-133. https://doi.org/10.6115/khea.2011.49.7.123
  13. 전세송.전귀연(2014). 장모가 지각한 장모-사위 관계만족도 연구. 가족과 문화, 26(1), 152-177.
  14. 조성례(2013). 기혼 여성의 부모부양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통계청 보도 자료(2016). 2016년 사회조사 결과 (가족.교육.보건.안전.환경).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3/index.board?.
  16. 통계청 보도 자료(2017). 2016년 생명표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 board?.
  17. 파이낸셜 뉴스(2014). 부모품 못 떠나는 자식들 노부모 동거자녀 절반 '캥거루족.' 2014. 8. 22. 26면.
  18. 한광희(2010). 부부역할수행과 생활만족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경혜.김상욱(2010). 세대 간 지원 교환 설명요인에 있어서의 부계와 모계의 비교. 한국사회학, 44(4), 1-31.
  20. 한경혜.윤성은(2004).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7(2), 177-203.
  21. 한경혜.이정화(2000). 농촌 지역 며느리의 부양의식이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 169-182.
  22. 한경혜.홍진국(2000). 세대 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 55-80.
  23. 한민아.한경혜(2004). 세대 간 지원 교환 유형과 성인 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 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24. 한은주.김태현(1994).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부양 만족도와 부양 부담도. 한국노년학, 14(1), 95-116.
  25. Bengtson, V. L.(2001). Beyond the nuclear family: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ultigenerational bon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 1-1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001.x
  26. Chesley, N. & Poppie, K.(2009). Assisting Parents and In-Laws: Gender, Type of assistance, and Couples' Employment. Journal of Marriage & Family, 71(2), 247-26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9.00597.x
  27. Lin, I. F., Goldman, N., Weinstein, M., Lin, Y. H., Gorrindo, T. & Seeman, T.(2003). Gender Differences in Adult Children's Support of Their Parents in Taiwan.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5(1), 184-20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184.x
  28. Lee, E. J., Spitze, G. & Logan, J. R.(2003). Social Support to Parents-in-Law: The Interplay of Gender and Kin Hierarchies.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5(2), 396-40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396.x
  29. Lee, G. R., Netzer, J. K., & Coward, R. T. (1995). Depression Among Older Parents: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823-833. https://doi.org/10.2307/353935
  30. Sarkisian, N. & Gerstel, N.(2004). Explaining the Gender Gap in Help to Parents: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Journal of Marriage & Family, 66(2), 431-45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4.00030.x
  31. Yang, H.(1996). The Distributive Norm of Monetary Support to Older Parents: A Look at a Township in China.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404-415. https://doi.org/10.2307/353505
  32. 李秀眞(2012). 親への支援に対する規範意識と世代間支援における男女差-EASS2006データを用いた日韓比較-.日本版総合的社会調査共同研究拠点研究論文集, 12(9), 55-67.
  33. 岩井紀子.保田時男(2008). 世代間援助における夫側と妻側のバランスについての分析-世代間関係の双系化論に対する実証的なアプローチ. 家族社会学研究, 20(2), 34-47.
  34. 岩井紀子.保田時男(2009). データで見る東アジアの家族観-東アジア社会調査に よる日韓中台の比較. 京都: ナカニシヤ出版.
  35. 厚生労働省(2017). 平成 28 年簡易生命表の概況 http://www.mhlw.go.jp/toukei/saikin/hw/life/life16/dl/life16-15.pdf.
  36. 宍戸邦章(2008). 実親.義親への世代間援助にみる「家」 の原理. 日本版General Social Surveys 研究論文集, 7(4), 1-12.
  37. 施利平(2008). 戦後日本の親子.親族関係の持続と変化-全国家族調査(NFRJ-S01)を用いた計量分析による双系化説の検討-. 家族社会学研究, 20(2), 20-33.
  38. 白波瀬佐和子(2005). '少子高齢社会の世代間支援'. 少子高齢社会のみえない格差― ジェンダー.世代.階層のゆくえー. 東京: 東京大学出版会, 135-160.
  39. 田渕六郎(2011). 世代間居住関係の変容と規定 要因-NFRJ08.03.98の比較を通じて-. 第3回家族についての全国調査(NFRJ08)第2次報告書 第2巻世代間関係の動態. 日本家族社会学会全国家族調査委員会, 1-14.
  40. 千年よしみ(2013). 近年における世代間居住関係の変化. 人口問題研究, 69(4), 4-24.
  41. 張英恩.嚴基郁.金貞淑.尹靖水.中島和夫(2009). 韓国高齢者の介護における息子の嫁の介護ストレス認知とQOLの関係. 東アジア研究,52, 97-106.
  42. 毎日新聞(2008). <仕事と家族調査>既婚者6割 すねかじり 50代も半数. 2008. 3. 18.
  43. 宮本みち子.岩上真珠.山田昌弘(1997). 未婚化社会の親子関係. 東京: 有斐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