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usability factors for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모바일 교육 콘텐츠의 사용성 평가요인 분석: 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 최은영 (서울디지털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Mobile learning, which provides educational services with a mobile platform, has been greatly expanding with the increasing spread of digital devices. The transition from PC-based online education to mobile-based education enables users to access online education anytime and anywhere. Despite this expansion of mobile learning, there is a lack of user-oriented content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a measure to evaluate usefulness of the content design.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existing measures, which evaluate usefulness and content of mobile learning. As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s have both educational service and mobile device features, they can be representative of pedagogical usability criterion and can be divided into system and content areas to further develop effectiveness of learning.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these applications on 15 experts using the del phi technique. The analysis suggests the ease of use, learning efficiency, aesthetics, and ease of learning to be criteria of pedagogical usability. This study expects to serve as a basi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learning users.

디지털 기기의 확산으로 모바일을 이용하여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러닝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PC중심의 온라인 교육에서 모바일 교육으로의 전환은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러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설계가 부족한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설계를 위한 사용성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사용성 평가 및 교육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고찰을 이용하여 교육용 모바일 특성에 맞는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육용 모바일 앱은 교육서비스의 특징과 모바일 디바이스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적 사용성 항목으로 대표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과 콘텐츠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델 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사용성과 관련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조작용이성, 학습효율성, 심미성, 학습용이성이 교육적 사용성 평가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기반 학습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호,최환언, 정출곤, 홍수봉, 사용성(Hueuristic)평가항목을 통한 온라인 게임성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게임학과논문지, 제9원 1호 (2009), pp.64-74
  2. 박주환, 한성호, 박재현, 박원규, 김현경, 홍상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평가방법 비교분석, 대한인간공학회,심포지엄, (2012),pp.154-157
  3. 유서연, 김관배, 국내모바일 오픈마켓의 사용성 평가항목도출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2호 (2015),pp.193-202
  4. 이민우, 원격교육에서의 모바일 콘텐츠 제공에 따른 만족도 및 효율성 증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5. 이은정, 웹기반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기준연구, 과학교육논총, 제17집(2004), pp.161-170
  6. 이진수,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권 3호 pp 1169-1192, (2007)
  7. 이진영, 석중휘, 영화 예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사용성평가_CGV,메가박스, 롯데 시네마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1호(2015), pp.469-476
  8. 임정훈, 평생학습사회에서의 m-러닝:개념적 논의와 미래교육에 주는 시사점, 평생학습사회,3권2호 (2007)
  9. 정예슬,정병용,모바일 내비게이년의 사용성 평가 체크리스트 분석, 대한 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회,pp 91-932012
  10. 정종완, 최보아, U-캠퍼스 환경에서 모바일 캠퍼스맵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수도권내 일반대학교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제12권3호(2012), pp.125-133
  11. 황재훈, 김동현, 성공적인 m-learning구현을 위한 핵심요인에 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Management, 12(3)pp7-80, 2005
  12. Badre, A : Shopping Web usability: interaction design in context, Addison-Wesley Professional, 2002
  13. Dalkey NC,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The Rand Corp. RM-5882-PR,1981
  14. Folmer, E. & Bosch, J. (2004). Architecting for usability: a survey. The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70, 61-78 https://doi.org/10.1016/S0164-1212(02)00159-0
  15. Hix, D. and Hartson, H.R., Developing user interfaces: Ensuring usability through product and process, John Wiley and Sons, 1993.
  16. Hertzum, M &Jacobsen, N.E, THe evaluator effect : A chilling fact about usability evaluation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13(4), 2001
  17. Khan, B.H.(Ed), Managing e-learnginSesign, deliver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FGI Globa, 2005
  18. M. F. Costabil ,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E-Learning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38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2005
  19. Nielson,J. Usability engineering, Elsevier, 1994
  20. Nokelainen, P. An empirical assessment of pedagogical usability criteria for digital learning material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9 (2), 178-197
  21. Silius,K,,&Tervakare,A.M., An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The evaluation tool into the portal of Finish virtual university, Proceeding of mENU, 8-9
  22. Shackel, B, Usability-context, framework, definition design and evaluation, Human factors of informatic usability, pp 21-37,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