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nding Type of Movie Plot from the Viewpoint of Problem Based Storytelling : Focusing on 'StoryHelper'

문제 기반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영화 플롯의 결말 유형 연구 : '스토리헬퍼'를 중심으로

  • 윤혜영 (가톨릭대학교 글로컬문화스토리텔링 융복합전공)
  • Received : 2018.01.29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roblem-based storytelling of the three-act structure, which sees the plot of the story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haracter, has been the guide of creation to the creator of popular stories since Aristotle. Also problem-based storytelling has served as a schema that provides dramatic catharsis to the audience of the story, and one of the dramatic catharsis It has been working as a schema. This problem - based storytelling has been used as a structure for story production programs that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1980s. However, this story authoring program is focused only on the external problem of the story, but it has the limitation of producing the story that can not solve the internal problem of the character and provide the catharsis. This paper analyze the plot structure of 'StoryHelper', which is a domestic story authoring program, and the ending of 900 films, both domestic and foreign, which are database in 'StoryHelper'. 'StoryHelper' presents a problem-based plot structure that can consider not only external problems but also internal problems by applying causality and mythical episodes. The structure of these plots is based on the parameters of external problem solving, unresolved internal problem solving, and unresolved variables maturity plot(542films), disillusion plot(111films), education plot(132films), tragedy plot(205film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expected to provide a meaningful structure for plot-based creative and creative program development.

이야기의 플롯을 인물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해결 과정으로 보는 3막 구조의 문제 기반 스토리텔링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로 대중적인 이야기의 창작자에게 창작의 가이드가 되어주었고, 이야기의 수용자에게는 극적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스키마로 작용해왔다. 뿐만 아니라 문제 기반 스토리텔링은 80년대 이후 지금까지 개발되고 있는 이야기 저작프로그램을 위한 구조로도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다수의 이야기 저작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문제 기반은 이야기의 외적 문제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수용자에게 인물의 내적 문제의 해결로부터 발생하는 카타르시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 기반 스토리텔링의 대안으로 국내의 이야기 저작 프로그램인 '스토리헬퍼'의 플롯 구조와 '스토리헬퍼'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국내외 영화 900편의 결말을 분석하였다. '스토리헬퍼'는 인과율과 신화적 에피소드를 적용하여 인물의 외적 문제뿐만 아니라 내적 문제까지 고려할 수 있는 문제 기반의 플롯 구조를 제시한다. 이러한 플롯의 구조는 외적 문제의 해결과 미해결, 내적 문제의 해결과 미해결이라는 변수를 기준으로 성숙의 플롯(542편), 환멸의 플롯(111편), 교육의 플롯(132편), 비극의 플롯(205편)으로 유형화된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는 플롯을 기반으로 한 창작과 창작 프로그램 개발에 유의미한 구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 유지희 옮김, 영화의 내레이션2, 서울: 시각과 언어, 2007.
  2. 시모어 채트먼,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3. 아리스토텔레스, 최상규 옮김, 시학, 예림기획, 2002.
  4. 조남현, 소설원론, 고려원, 1995.
  5. 조셉 캠벨, 이윤기 옮김, 천의 얼굴을 한 영웅, 민음사, 1999.
  6. 크리스토퍼 보글러, 함춘성 옮김,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무우수, 2005.
  7. 피터 브룩스, 박혜란 옮김, 플롯 찾아 읽기: 내러티브의 설계와 의도, 강, 2011.
  8. E. M. 포스터, 이성호 옮김,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3.
  9. Frank Kermode, The Sense of an Ending: Studies in the Theory of Narrative Fi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10. R. S. 크레인, 최상규 옮김, 현대 소설의 이론, 예림기획, 2007.
  11. S. R. Turner, Minstrel: A computer model of creativity and storytelling,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A, 1993.
  12. 공현희, 시리즈애니메이션 등장인물의 역할 및 욕구변화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43호(2016, 6), pp.77-102.
  13. 류철균, 정유진, 디지털 서사도구의 인과율 개념 연구, 인문콘텐츠 , 제22호(2011,9), pp. 183-207.
  14. Craig Batty, The physical and emotional threads of the archetypal hero's journey: proposing common terminology and re-examining the narrative model, Journal of Screenwriting, Vol.1 No.2, 2010, pp.291-308. https://doi.org/10.1386/josc.1.2.2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