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식당의 다목적 공간 활용 인식 분석

Analysis of Recognition of the Multipurpose Space Utilization in Middle School Cafeteria Space

  • 윤홍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투고 : 2018.10.26
  • 심사 : 2018.12.19
  • 발행 : 2018.12.31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에 따른 학습활동 공간, 학생자치 등 학생활동 공간, 학생들간의 소통 및 지역사회와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공간 등으로 학교 식생활관의 식당을 다목적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위한 교육공동체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식당의 다목적 공간 활용에 관한 인식조사 하였으며 분석 결과 첫째, 식당 공간을 운영하는 중학교의 거의 대부분이 식사 이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다른 용도로 활용하지 않은 이유는 위생관리의 어려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교 식당공간의 일부를 유리벽이나 가변형의 벽체로 구획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찬성하는 이유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활용 등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학습 공간 지원과 학생들간의 소통 공간 확보를 위해서라고 분석되었다. 넷째, 식당공간의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용도로는 영양 식생활 교육 공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유학기 등 교육과정 운영, 학생 간의 소통 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식당공간을 다용도로 활용 시 공간 조성 방향에 대해서는 공간의 가구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이동과 조합이 편리한 것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chool dining spac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study activity space, student self-government space, student communication and community building, as well as to suggest ways to utilize them.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understanding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study of the school facility space,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lunch, th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 middle schools, 90 middle schools, and 65 non-cooking transportation middle schools in Jeollabuk - do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status and standards of the Cafeteria dining spa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re will be a follow-up study on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according to the usage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school dining space.

키워드

표1.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교공간

HKKOAH_2018_v17n3_46_t0001.png 이미지

표2. 중학교 식생활관 식당공간의 활용 실태

HKKOAH_2018_v17n3_46_t0002.png 이미지

표3. 교원의 일반적 사항

HKKOAH_2018_v17n3_46_t0003.png 이미지

표4. 학생의 일반적 사항

HKKOAH_2018_v17n3_46_t0004.png 이미지

표5. 분석요소와 분석도구

HKKOAH_2018_v17n3_46_t0005.png 이미지

표6. 전체 교내 학교시설 내 식당공간 점유 비율

HKKOAH_2018_v17n3_46_t0006.png 이미지

표7. 학교식당공간의 식사 이외 다른 용도 활용 경험

HKKOAH_2018_v17n3_46_t0007.png 이미지

표8. 학교 식생활관의 식당공간 활용 용도

HKKOAH_2018_v17n3_46_t0008.png 이미지

표9. 학교 식생활관의 식당공간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교원)

HKKOAH_2018_v17n3_46_t0009.png 이미지

표10. 학교 식당공간을 점심시간 식사 장소로만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HKKOAH_2018_v17n3_46_t0010.png 이미지

표11. 학교 식당공간의 일부를 유리벽이나 가변형의 벽체로 구획하여 식사 이외의 용도 사용 인식

HKKOAH_2018_v17n3_46_t0011.png 이미지

표12. 중학교 식당공간의 일부를 유리벽이나 가변형의 벽체로 구획하여 식사 이외의 용도 사용 찬성 이유

HKKOAH_2018_v17n3_46_t0012.png 이미지

표13. 학교 식당공간의 일부를 유리벽이나 가변형의 벽체로 구획하여 식사 이외의 용도 사용 반대 이유(교원)

HKKOAH_2018_v17n3_46_t0013.png 이미지

표14. 학교 식당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면 활용 가능한 공간 인식

HKKOAH_2018_v17n3_46_t0014.png 이미지

표15. 학교 식당공간을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 시 공간 조성 방향

HKKOAH_2018_v17n3_46_t001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김성권, 초등학교 식당의 다목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0
  2. 김수연, 학교 급식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특성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16
  3. 김영택, 학교시설을 활용한 문화 공간 확대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8
  4. 김위정, 학생자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016, 27권, 1호, pp.179-203. https://doi.org/10.14816/sky.2016.27.1.179
  5. 김지아, 공공디자인을 활용한 창의.인성 디자인교7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5
  6.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정책과제, 교육부, 서울, 2015
  7. 서붕교 외, 학교 급식시설의 이용특성 분석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2017, 24권, 2호, pp.11-18. https://doi.org/10.7859/kief.2017.24.2.011
  8. 서울시학교보건진흥원, 학교급식 환경개선 매뉴얼,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 2015
  9. 이경숙, 중학교 교사 내 공용공간의 커뮤니케이션 환경 적합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6
  10. 이진임, 학교 식당의 다목적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8
  11. 이혜숙, 소통중심의 창의.인성 학교환경 조성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3
  12. 정장홍, 미래학교의 친사회적 지속가능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17
  13.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시설 선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