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tudent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8.11.23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o make suggestions to help develop and extend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 students of two classes. One class of 24 students, experimental class, took developed 10 period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While the other class of 25 students, comparative class, took ordinary teacher driven periods using photo materials and study paper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re and post test we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Second, the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From the interview with experimental class, we could know that students had a favorable impression and high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activities program.

본 연구는 학교 숲 체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 숲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을 정하고 사전검사 후, 실험반은 자체 개발한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 10차시를, 비교반은 같은 차시 동안 사진 자료와 교사의 설명, 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사후검사를 하였고 실험반은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소감을 인터뷰 형식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의 평균 점수에 있어서의 향상 폭이 비교반 보다 더 크긴 했지만 그것이 유의미한 결과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과학의 사회적 의의',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 '과학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관심' 등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뷰를 통하여 학생들은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해서 흥미롭게 생각했으며 만족도 또한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그것이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KHGOB1_2018_v11n3_182_f0001.png 이미지

Fig. 1. Daily record of cultivation and observation

KHGOB1_2018_v11n3_182_f0002.png 이미지

Fig. 2. Drawing plant character

KHGOB1_2018_v11n3_182_f0003.png 이미지

Fig. 3. The different feeling of bark in tree

KHGOB1_2018_v11n3_182_f0004.png 이미지

Fig. 4. The different shape of leaf in tree

KHGOB1_2018_v11n3_182_f0005.png 이미지

Fig. 5. Wood of Japanese cherry

KHGOB1_2018_v11n3_182_f0006.png 이미지

Fig. 6. Three line acrostic with pine

KHGOB1_2018_v11n3_182_f0007.png 이미지

Fig. 8. Bookmark made with pressed leaves

KHGOB1_2018_v11n3_182_f0008.png 이미지

Fig. 7. Observation of small animal in the school forest

Table 1. Participants’ personnel composition

KHGOB1_2018_v11n3_182_t0001.png 이미지

Table 2.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by periods

KHGOB1_2018_v11n3_182_t0002.png 이미지

Table 3. The results of pre-test on science process skill

KHGOB1_2018_v11n3_182_t0003.png 이미지

Table 4. The results of pre-test on attitude toward science

KHGOB1_2018_v11n3_182_t0004.png 이미지

Table 5. The results of post-test on science process skill

KHGOB1_2018_v11n3_182_t0005.png 이미지

Table 6. The results of post-test on attitude toward science

KHGOB1_2018_v11n3_182_t0006.png 이미지

Table 7. Examples of interview with students about the activities

KHGOB1_2018_v11n3_182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지하, 이정하, 정연옥(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05-124.
  2. 곽영순(2018). TIMSS 2015에서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113-12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13
  3. 교육부(2018). 3-4학년군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4. 국지하,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8). 학교 조경 만족도 및 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3), 27-34.
  5. 권유선, 최혜진(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6. 김기원(2004). 숲이 들려준 이야기. 서울: 효형출판.
  7. 김범기, 권재술(1994). 초, 중학교 학생들을 위한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8. 김윤지(2014). 환경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51-158.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151
  9. 김인호(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3(1), 122-132.
  10.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탐색을 위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현재, 김관영(2000). 학교 숲에서의 과학 활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4(1), 3-36.
  12. 신원섭(1999). 학교 숲이 학생과 교사에게 주는 심리적 효용. 숲과 문화, 8(1), 19-21.
  13. 신원섭(2003). 숲의 사회학. 서울: 따님.
  14. 유주리, 박종민(2015). 숲 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3), 462-473. https://doi.org/10.13047/KJEE.2015.29.3.462
  15. 윤여창(2000). 산림환경교육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연구. 산림청.
  16. 이상균, 김순식(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제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61-270.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61
  17. 이용섭, 김순식(2013).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지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35-241.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35
  18. 정택상,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이지연(2010). 학교 숲이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 87-98.
  19. 최영순(2003). 숲 체험학습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하병건, 김용권(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206
  21. 하정연(2007). 아이들이 그리는 세상. 서울: 양서원.
  22.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23. Fraser. B. J. (1981). Development of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Education, 62(4), 509-515. https://doi.org/10.1002/sce.37306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