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s for improving data quality assurance and spatial representativeness of Cheorwon AAOS data

철원 자동농업기상관측자료의 품질보증 및 대표성 향상을 위한 제언

  • Received : 2017.11.13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Providing high-quality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at sites that represent actual farming environments is essential for useful agrometeorological services. The Automated Agricultural Observing System (AAOS)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wever, has been deployed on lawns rather than actual farm land. In this study, we show the inaccuracies that arise in AAOS data by analyzing temporal and vertical variation and by comparing them with data record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AgroMeteorology (NCAM) tower that is located at an actual farming site near the AAOS tower. The analyzed data were gathered in August and October (before and after harvest time, respectively). Observed air temperature and water vapor pressure were lower at AAOS than at NCAM tower before and after harvest time. Observed reflected shortwave radiation tended to be higher at AAOS than at NCAM tower. Soil variables showed bigger differences th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variables. In August, observed soil temperature was lower at NCAM tower than at AAOS with smaller diurnal changes due to irrigation. The soil moisture observed at NCAM tower continuously maintained its saturation state, while the one at AAOS showed a decreasing trend, following an increase after rainfall. The trend changed in October. Observed soil temperature at NCAM showed similar daily means with higher diurnal changes than at AAOS. The soil moisture observed at NCAM was continuously higher, but both AAOS and NCAM showed similar trend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data gathered at the AAOS are inaccurate, and that ground surface cover and farming activities evoke considerable differences within the respective meteorological and soil environments. We propose to shift the equipment from lawn areas to actual farming sites such as rice paddies, farms and orchards, so that the gathered data are representative of the actual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s.

농업은 인간의 활동 중 기상 활동에 가장 종속적이며, 기후 변화 및 기상 재해와 같은 대기 변동성의 증가 속에서 농업기상서비스의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유용한 농업기상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측 자료의 품질 관리와 더불어 실제 농경 활동 현장을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의 기상 관측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기상청에서는 자동농업기상관측망(AAOS)을 실제 농경지 근처로 재배치하는 등 관측망 환경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모든 농업기상관측이 실제영농 환경이 아닌 잔디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가 남아 있다. 기온, 상대 습도, 토양 온도, 토양 수분 관측요소는 지표면의 식생 형태와 관개 등의 영농 활동에 큰 영향을 받는데, 현재의 농업기상관측은 이러한 요소들의 영향을 관측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OS 관측 자료의 시간적, 연직적 변이를 분석하고, 실제 농경지 위에 설치된 국가농림기상센터(NCAM) 타워에서 관측하고 있는 공통 기상 및 토양 관측 요소를 비교하여, AAOS 관측 자료의 특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기는 결측이 가장 적고 추수 이전인 8월과 추수 이후인 10월로 선정하였다. 각 관측 요소별로 관측 높이 및 깊이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차이가 가장 적은 높이 또는 깊이 값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온의 경우 AAOS 4 m 관측 값이 NCAM타워 관측 값이 비해 낮과 밤 또는 추수이전과 이후 모두 낮았으며, 큰 일중 변화 없이 일정한 차이를 유지하였다. 수증기압 역시 NCAM 관측 값이 AAOS 관측 값에 비해 항상 높았으며, 8월이 10월에 비해 더 큰 차이를 보였다. AAOS 순단파복사의 경우 AAOS 관측 반사복사량이 NCAM 관측 값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토양 관측 요소는 대기 관측요소에 비해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추수 이전인 8월에는 대부분 논에 물이 차 있었으며, 그로 인해 NCAM 관측 토양 온도가 AAOS 관측 토양 온도에 비해 낮았으며, 일 변화 폭 역시 작았다. NCAM 관측 토양 수분은 강수 여부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포화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AAOS 관측 토양 수분은 강수에 의해 증가한 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추수 이후인 10월에는 8월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 토양 온도의 경우, NCAM 관측 값과 AAOS 관측 값의 일 평균값은 비슷하였으나 일 변화 폭은 NCAM 관측 값이 더 컸다. 토양 수분은 NCAM 관측 값이 지속적으로 높았으나, 두 관측 값 모두 강수에 의해 상승하고 증발 또는 배수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AAOS 관측 자료의 품질 관리 문제와 함께 논과 잔디밭이라는 지표면 피복 및 영농 활동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대표성 문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연구는 2011년 이후 이루어지고 있는 기상청 농업기상관측장비의 농지 부근 이동 작업에 이은 후속 조치로, 농업기상 관측을 대표할 수 있도록 잔디밭이 아닌 논, 밭, 과수원 등 실제 지역 대표 농업 현장에 설치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lberto, M. C. R., R. Wassmann, T. Hirano, A. Miyata, R. Hatano, A. Kumar, A. Padre, and M. Amante, 2011: Comparisons of energy balance and evapotranspiration between flooded and aerobic rice fields in the Philippine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98, 1417-1430. https://doi.org/10.1016/j.agwat.2011.04.011
  2. Barnett, T., J. Ritchie, J. Foat, and G. Stokes, 1998: On the space-time scales of the surface solar radiation field. Journal of Climate 11, 88-96. https://doi.org/10.1175/1520-0442(1998)011<0088:OTSTSO>2.0.CO;2
  3. Chen, S. K., and C. W. Liu, 2002: Analysis of water movement in paddy rice fields (I) experimental studies. Journal of Hydrology 260, 206-215.
  4. Choi, S. W., S. J. Lee, J. Kim, B. L. Lee, K. R. Kim, and B. C. Choi, 2015: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environment and periodic report of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 14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32/KJAFM.2015.17.2.144
  5. GROM (Gwangju Regional Office of Meteorology),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factor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eather data. Publication registration #11-1360102-000061-01, 119pp. (in Korean)
  6. KMA, 2011: A study on suitability for the relocation of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system. Publication register #11-1360000-000723-01, 59pp. (in Korean)
  7. KIMPA, 2016: A study on the advancement plan for services in the agrometeorological sector. 224pp. (in Korean)
  8. Li, Z., M. Cribb, F. L. Chang, A. Trishchenko, and Y. Luo, 2005: Natural variability and sampling errors in solar radiation measurements for model validation over the Atmospheric Radiation Measurement Southern Great Plains reg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0, D15S19.
  9. Liu, C. W., C. H. Tan, and C. C. Huang, 2005: Determination of the magnitudes and values for groundwater recharge from Taiwan's paddy field. Paddy and Water Environment 3, 121-126. https://doi.org/10.1007/s10333-005-0005-7
  10. Oh, G. L., S. J. Lee, B. C. Choi, J. Kim, K. R. Kim, S. W. Choi, and B. L. Lee, 2015: Qualiy control of agro-meteorological data measured at Suwon weather station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 2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532/KJAFM.2015.17.1.25
  11. Oue, H., 2005: Influences of meteorological and vegetational factors on the partitioning of the energy of a rice paddy field. Hydrological Processes 19, 1567-1583. https://doi.org/10.1002/hyp.5589
  12. Post, D. F., A. Fimbres, A. D. Matthias, E. E. Sano, L. Accioly, A. K. Batchily, and L. G. Ferreira, 2000: Predicting soil albedo from soil color and spectral reflectance data.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4(3), 1027-1034. https://doi.org/10.2136/sssaj2000.6431027x
  13. Ramakrishna, A., H. M. Tam, S. P. Wani, and T. D. Long, 2006: Effect of mulch on soil temperature, moisture, weed infestation and yield of groundnut in northern Vietnam. Field Crops Research 95, 115-125. https://doi.org/10.1016/j.fcr.2005.01.030
  14. Schmid, H., 1997: Experimental design for flux measurements: matching scales of observations and flux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7, 179-200. https://doi.org/10.1016/S0168-1923(97)00011-7
  15. Tetens, O., 1930: About some meteorological terms. Z. Geophys. 6, 297-309.
  16. WMO, 2010: Guide to Agricultural Meteorological Practices. 2010 edition,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