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iddle Leader Impersonal Behavior of SMEs on th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of Organization Member -Focused on the Trickle dow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POS-

중소기업 중간리더의 비인격적 행동이 구성원의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적하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12.08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8.01.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ehavior on leader' s imperson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members 'semi - productive task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SMEs of auto parts industry in Chungnam, Sejong, and Daejeon, the non-personality behaviors of the top lead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on-personality behaviors of the middle leaders (p <.001, ${\beta}=.9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supervis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non-personality behaviors. In addition, higher leader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negative behaviors and semi-productive task behaviors toward the organization of members. The control effect of semi - productive task behavior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reducing economic loss and social loss due to semi-productive task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by revealing the phenomenon of non-personality behavior of middle leader to non-personality behavior of upper leader.

본 연구는 리더의 비인격적인 행동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과 세종, 대전시의 자동차부품산업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위리더의 비인격적 행동은 중간리더의 비인격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p<.001, ${\beta}=.910$)을 미쳤으며, 조직의 상위리더의 비인격적 행동 중 부정행동과 모욕행동은 중간리더의 학력과 상사와 함께 근무한 기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위리더의 경우 부정행동과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상위리더의 비인격적 행동에 대한 중간리더의 비인격적 행동의 적하현상을 밝힘으로써 조직구성원의 반생산적 과업행동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훈.문지영.허일무.이종호(2014).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 동일시와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5(5), 2806-2820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806
  2. 박계홍.최영근(2012).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탐색. 인적자원개발연구, 15(1), 127-151.
  3. 박규석(2014).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태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순천대학교 경영학 박사논문
  4. 홍영옥(2013). 호텔기업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5. 한주원(2008).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요인과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시민 행동과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6. 이규용. 송정수(2011). 상사의 개인특성이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윤리 리더십과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2), 1049-1076.
  7. 박오수.고동운(2009). 차상위 리더의 리더에 대한 모욕행위의 적하효과 -리더십을 매개하여 부하의 리더신뢰 및 LMX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8(4), 1027-1058.
  8. 김미경.문재승(2017). 진성리더십행동과 비인격적 리더행동의 적하효과와 LMX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4(3), 79-100.
  9. 황성주.전병준(2014).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HRD 연구, 9(3), 1-24.
  10. Duffy, M. K., Ganster, D. C., & Pagon, M. (2002), "Social undermining a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 anagement Journal, 45, 331-351.
  11. Tepper, B. J.(2000).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43(2), 178-190. https://doi.org/10.2307/1556375
  12. Hoel, H. & Cooper, C. L.(2001). Origins of bullying: Theoretical frameworks for explaining workplace bullying, In N. Tehrani(Ed.), Bullyding a Culture of Respect : Managing Bullying at Work , 3-19, London: Taylor & Francis.
  13. Rospenda, K. M.(2002). "Workplace harassment, services utilization and drinking outcom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 141-155. https://doi.org/10.1037/1076-8998.7.2.141
  14. Tepper, B. J.(2007). Abusive supervision in work organizations: Review, Synthesis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33, 261-289.
  15. Eby, L. T., McManus, S. E., & Russell, J. E. A.(2000). The protege's perspective regarding negative mentoring experiences : The development of a taxonom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7, 1-21.
  16. Schat, A. C. H., Frone, M. R., & Kelloway, E. K.(2006). Prevalence of workplace aggression in the U.S. Workforce: Findings from a national study. In E.K. Kelloway, J. Barling, & J. J. Hurrell (Eds.), Handbook of workplace violence (pp.4789). Thousand Oaks, CA: Sage.
  17. House, R. J., Shane, S. A., & Herold, D. M.(1996). Rumors of the death of dispositional research are vastly exaggerate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 203-244. https://doi.org/10.5465/amr.1996.9602161570
  18. Tepper, B, J., Duffy, M. K., & Shaw, J. D.(2001). Personality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resist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5), 974-983. https://doi.org/10.1037/0021-9010.86.5.974
  19. Duglas, S. C., & Martinko, M. J. (2001). Exploring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rediction of workplace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4), 547-559. https://doi.org/10.1037/0021-9010.86.4.547
  20. Marcus-Newhall, A., Pedersen, W. C., Carson, M., & Miller, N.(2000). Displaced aggression is alive and well : A meta-anlytic review.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670-689. https://doi.org/10.1037/0022-3514.78.4.670
  21. Vollrath, M.(2001). Personality and stres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2, 335-347.
  22. Adorno, T. W., Frenkel -Brunswik, E., Levinson, D. J., & Sanford, R. N.(1950).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New York: Harper, 1950
  23. Altemeyer, B.(1988). Enemies of Freedom : Understanding Right -Wing Authoritarianism, San Francisco, Je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