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경화(2013).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강지연(2017). 초등교사의 완벽주의의 성향과 자기격려의 수준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혜원, 홍계옥(2013) 생의 의미와 자기위로능력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4), 95-110.
- 고동우, 문상정, 이형래(2008). 칭찬의 의미: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관광학연구, 32(2), 83-108.
- 권나연, 이희영(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8.
- 권영란, 문영경(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 권영미(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2013). 유치원의 조직특성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251-266.
- 기채영, 홍경자(2008). 아동의 자기격려적 생각, 행동, 감정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1), 55-69.
- 김경희(2008). 보험심사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소진과의 관계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누리, 박상희(2018). 보육교사의 자기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9), 465-473.
- 김선희, 김경현(1999). 아동의 행동문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155-166.
- 김성철(2010).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연옥, 천성문, 이정희(2012). 유아교사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73-298.
- 김영은(2011).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한 조직지원인식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1(3), 45-64.
- 김유정, 박수경, 임정진, 안선희(2011). 보육교사-원장 간의 관계의 질과 근무기관 내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89-213.
- 김은숙(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 김정은, 이한우(2017). 예비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자기격려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7(2), 131-151.
- 김정희(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희, 문혁준(2010).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교사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임파워먼트의 영향 비교. 아동학회지, 31(2), 69-83.
- 김지연(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중재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춘경(2006). 아들러 아동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 노안영, 정민(2007). 자기격려-낙담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75-692.
- 노은호(2012). 보육환경의 질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2(2), 67-83.
- 박미화(2016).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 110-129.
-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 박성호(2001).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소영(2009). 보육교사로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배성희, 김연화, 한세영(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234-258.
- 보건복지부(2017). 영유아보육법. 세종: 보건복지부.
- 서선순(2007).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경주, 황성원(2017).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4), 71-90.
- 신성아(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안선희, 김지은(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 오선균(2001). 보육교사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수경(2016). 유아교사의 개인변인과 낙관성 및 정서지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1), 55-74.
- 유연화, 이신혜, 조용례(2010). 자기 자비,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 유은경(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혜미, 노필순(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 이선희, 곽정현(2016).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자기격려가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2), 93-107.
- 이재영(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정순(2012). 청소년지도자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현(2006).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정희, 조성연(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 이주령(2016). 사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주연, 지명원, 김경화(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1), 41-57.
- 이지영, 문혁준(2015).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2, 103-125.
- 이현주(2017).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3), 65-82.
- 정덕희(2015).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77-99.
- 정재은, 김성현(2018).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8(1), 193-216.
- 정현희(2017).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임상미술심리연구, 7(1), 1-17.
-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 조영주, 박익렬(2015). 무용수행의 자기격려 인식과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54(5), 651-662.
- 조은진(2013). 격려 프로그램 소그룹 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주진(2010). 한중 충고와 경고 화행에 대한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윤진, 김정희(2014).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225-246.
- 최형성(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5), 271-292.
- 최혜윤(2002).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희아(2017). 심리치료사의 소진과 자기 돌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허용남(2007).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지애, 김정문(2017). 자기격려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지지 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스트레스연구, 25(1), 44-51.
- Fredu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 Maslach C., & Jackson S. E. (1981). Understanding Burnout: Definitional Issues in Analyzing a complex phenomenon. In W. S. Paine (Ed.), Job stress and burnout (pp. 29-40). Beverly Hills, CA: Sage.
- Neff, K.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https://doi.org/10.1080/15298860309027
- Rogers, C. R. (1980).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 Schaufeli, W. B., Bakker, A. B., & Van Rhenen, W. (2009). How changes in job demands and resources predict burnout, work engagement, and sickness absenteeism.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0(7), 893-917. https://doi.org/10.1002/job.595
- Schwarzer, R. & Nina, K. (2007). Foundation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https://doi.org/10.1080/00207590701396641
- Sweeney, T. J. (2005). 아들러 상담이론과 실제(노안영, 강만철, 오익수, 김광운, 송현종, 강영신, 오명자 공역), 서울: 학지사(1998 원저 발간).
피인용 문헌
- A Path Model for Burnout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vol.18, pp.18, 2018, https://doi.org/10.3390/ijerph18189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