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Network Analysis of the Diffusion on the Disaster Issue Via SNS based on Types of Information, Issue Contractiveness and Diffusion

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확산된 재난 이슈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의 정보 종류 및 이슈의 집중도·확산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12.29
  • Accepted : 2018.02.19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network analysis is done to explore what kind if issues are diffused about earthquake and the role of social media. The types of disaster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formal and informal. The role of actor is classified based on the concentrativeness and the diffusion of issue. Youttube is functioned as a formal channel and an informal channel when disaster happened. In case of government's video, issue contractiveness is high but the diffusion is low. In case of media's video, issue contractiveness and the diffusion are all high. In case of individual channel, issue contractiveness is low, but diffusion is high. In disaster, youtube is a tool to respread the disaster issue. Government needs to try diffusion of government's news actively in disaster.

이 연구는 재난과 같은 위기가 발생했을 때 소셜 미디어가 위기 정보의 확산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튜브를 통해 포항 지진 관련해서 어떤 이슈가 확산되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재난 정보의 종류를 공식적인 정보와 비공식적인 정보, 의견으로 구분하고 이슈의 집중도와 확산성을 기준으로 재난 관련 행위자의 역할을 알아봤다. SNS에서 재난 이슈의 이슈 집중도와 확산성이 클 경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고 비공식적인 정보의 이슈 집중도와 확산성이 클 것으로 보았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유튜브는 언론사의 뉴스가 확산되는 공식적인 채널의 역할과 지진 상황을 보여주는 동영상, 지진 관련 루머, 잘못된 정보 등이 공유되면서 확산되는 비공식적 채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련 동영상은 집중도는 높지만 확산성이 낮아 '한정적 역할'을 한다고 보았고, 언론사는 이슈의 집중도, 확산성이 높아 '주도적 핵심 역할'을 했다. 개인은 집중도는 낮지만 확산성이 높아 '핵심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유튜브는 언론사의 뉴스가 재확산 되는 공식 채널과 비공식 채널의 역할을 모두 하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정부는 SNS를 통해서 정부의 메시지가 적극적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S. R. Veil, T. Buehner, and M. J. Palenchar, "A AWork-In-Process Literature Review: Incorporating Social Media in Risk and Crisis Communication," Journal of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 Vol.19, No.2, 2011.
  2. J. Hirano and T. Nakatsuji, Influence of Daily SNS Usage on Collecting Disaster information and inhabitants' Behavior during Flood, 2014. http://www.eng.hokudai.ac.jp/e3/alumni/files/ab stract/m187.pdf
  3. C. Wendling, J. Radisch, and S. Jacobzone, The Use of Social Media in Risk and Crisis Communication. OECD, Working Papers on Public Governance, No.25, OECD http://dx.doi.org /10.1787/5k3v01fskp9s-en
  4. Y. Jin and B. Liu, Examining the Role of Scocial Media in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e Effects of Crisis Origin, Information Form, and Source on Public's Crisis Responses, Communication Research, XX(X) 1-21, 2012.
  5. Zogby Interactive, Poll: Online news sources top all others, 2009. http://pww.org/article/view/16025
  6. 홍주현, 윤해진, "트위터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 연구: 한미 FTA 관련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의견 확산 추이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6권, 제2호, pp.59-86, 2014.
  7. G. Christodoulou, C. Georgiou, and G. Pallis, The Role of Twitter in YouTube Videos Diffusion. https://www.cs.ucy.ac.cy/-gpallis/publications/ Conferences/wise2012.pdf
  8. S. Paterson, Chapter 11: Social Media and Emergency Management, https://cmci.colorado. edu/-palen/palen_papers/Critical-Issues-in-Disa ster-Science-and-Management_CH11.pdf
  9. J. N. Sutton, L. Palen, and I. Shklovski, Backchannels on the Front Lines: Emergent Use of Social Media in the 2007 Southern Caliornia Fires. In Proceedings of the Information Systems for Crisis Response and Management Conference (ISCRAM 2008). Washington D.C. 2008. http://www.itu.dk/people /irsh/pubs/iscram08.pdf
  10. K. J. Tierney, Social Inequality, Hazards and Disasters, In Daniels, R.J., D.F. Kettl, & H. Kunreuther Eds. On Risk and Disaster: Learning from Hurricane Katrin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 http://cis.uchicago. edu/oldsite/outreach/summerinstitute/2013/docu ments/sti2013_tierney_inequality-hazards-disast ers.pdf
  11. M. Grandjean,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witter: Mapping the digital humanities community," Cogent Arts & Humanities, Vol.3, No.1, 2016. http://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233 11983.2016.1171458